영화로 읽는 한국 사회문화사

이효인 · History
296p
Where to buy
content
Rate
3.5
Average Rating
(5)
Comment
More

영화와 TV, 만화, 유행상품 등을 통해서 한국 사회문화사를 조망하는 '한국 사회문화사' 시리즈의 첫 번째 권인 <영화로 읽는 한국 사회문화사>는 한국 영화를 통해 우리들의 과거와 현재를 조망함과 동시에 한국 영화의 내면을 바라보는 시도를 하고 있다. 지은이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최근까지 나온 한국 영화 모두를 아우르면서, 쾌락.근대.강박.여자라는 네 가지 개념을 통해 한국 사회를 살핀다. 한국의 영화는 어지러움과 고통으로 점철되었던 우리의 어두운 지난 날을 그대로 반영하는 매체였다. 쾌락과 강박은 바로 이 세월들을 회피하거나, 혹은 짓눌린 채 반응하는 표현들을 설명하기 위해 쓰인 개념으로, 60~80년대 영화들은 이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었다. 또한, 최근까지도 철저하게 남성적 시각에서 구성되어 온 한국 영화 속에서 '여자'는 뒤틀린 욕구와 은밀한 욕구를 대신 채워주는 수단으로 소비되어 왔음을 보여주는 책은 가끔씩 억지로 끼워맞춘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무리없이 읽히며 영화와 (한국) 사회의 관계를 생각하게 한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1부 쾌락 1. 가학의 쾌락 왜곡되고 굴절된 욕망의 시대 가련한 여자, 경아의 사랑 이야기 '쪼다'들의 야간 교본 남자들은 위로받아야 한다? 2. 전근대 쾌락과 근대의 쾌락 누추한 서사와 빛바랜 이미지의 시대 순수한 사랑에 대한 집단 염원 젊은이들이 꿈꾼 쾌락 욕망을 훔치다 좌절당한 가난한 청춘의 욕망 쾌락과 죄책감 사이에서 '결단하는 쾌락'의 대리만족 3. 사회적 욕망과 성적 욕망의 분화 통렬한 시선도 저항도 없었던 시대 사랑의 쟁취 혹은 욕정의 투쟁 사회적 욕망과 성적 욕망의 불일치 남성 중심 사회의 희극 같은 비극 비판하며 즐기는 이율배반 전복과 투항의 중간 자리 4. 풍요·폭력·노스탤지어의 나른한 쾌락 '개인의 안일한 행복을 드러내놓고 추구하는' 시대 '가벼움'과 '개인주의적 행복'의 물꼬를 튼 영화 코미디의 이름으로 사회적 가치를 조롱하다 '착오'와 거짓 해결을 통한 쾌락 자멸 또는 공멸을 선동한 깡패 영화 아슬아슬한 위법의 줄타기를 통한 쾌락 상상의 공간에서 벌어지는 덧없는 쾌락 기획 시대의 무기획적 사랑의 쾌락 헛노래를 부르는 먹먹한 도피, 혹은 나르시시즘의 쾌락 2부 근대 1. 근대에 내몰린 남성들 '불안한 희망'의 시대 열패감에 빠진 남성, 응징당하는 여성 비판적으로 근대 바라보기 남성 가장의 문제를 다룬 멜로드라마 국가 민족주의에 매몰된 남성 비판하고 조롱하다 2. 전근대와 근대의 충돌 새로운 시작, 혹은 투쟁의 시대 행위와 관념의 이율배반 '실성한 근대인'의 모습 가난을 극복하기 위한 '상록수'의 찬가 굴절된 적응의 한 형태 힘없이 무너지는 아버지의 모습 구세대와 신세대와의 갈등 코믹하게 왜곡된 냉소 입자도 전망도 없이 풍자하다 3. 근대, 1980년대 풍경의 오독 강압과 저항의 시대 강제된 '성공을 향한 열망' 사회적 분열증상을 보인 작가·감독·영화 분열의 시대에 드러난 리얼리즘 콤플렉스 실천의 한계를 설정하거나 지나치게 과장해 야유하거나 지식인들의 한계에 비판의 과녁을 겨냥하거나 민중지향적 인텔리의 자기 변명 4. 근대와 탈근대의 착종 전복, 혹은 혼합의 시대 원본이 무시당하고 복사본이 행세하는 세상 우울하고 좌절감 짙게 깔린 세계관 "너희도 별 희망은 없어" 스스로 몰락한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의 절묘한 임무 교대 혹은 세대교체 3부 강박 1. 강점된 기억의 강박 강박의 시대 항일투쟁 영화 제작한 친일감독 항일 영화의 '바이블'? 대상 리비도의 전이 통해 강박 노이로제 극복 2. 전쟁 강박의 전개 국가주의, 반공주의의 시대 전쟁에 대한 강박 노이로제 전쟁도 이데올로기도 말랑말랑하게 50년 걸린 분단과 전쟁의 극복 3. 전쟁 후유증, 악몽의 나르시시즘 광란의 시대, 상처의 시대 전쟁이 야기한 절대 비극 재회에 대한 현실적 두려움 작은 역사의 푼크툼 4장 여자 1. 한국 영화의 부인들 욕망의 시대 흔들리는 가부장제와 일부일처제 결혼과 연애에 대한 또 다른 방법론 하나 결혼한 여성들의 혼외 사랑 애욕에 불타는 '부인'들 '마초 파라다이스' 대한민국 2. 김기영 감독의 여·여·여 혼재된 이중성의 시대 왜곡되어 쾌락의 중심에 놓인 여자들 육욕과 세속적 욕망의 비틀어진 고통 응징의 대상이 된 '하녀들' '난장판 같은 남녀 사회'에 대한 묘사 3. 여자 영화와 여성 영화 개인적·탐닉적·문화의 시대 화려한 미장센에 갇힌 여성주의 영화 유사 페미니즘 혹은 페미니즘 지향의 영화들 '괴이한' 여자 영화 '결코 드러낼 수 없는 감정'의 은밀한 교류 4. 영자와 엽기적인 그녀 다이어트의 시대 '영자'라는 이름 그 시절의 '영자'들 미모를 갖춘 21세기의 '영자'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