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1부 기억의 정치 제1장 대량학살의 기억 I. 개념 정의 II. 기억의 정치 III. 대량학살의 기억: 억압과 저항 IV. 기억과 문화적 재현 V. 제주 4.3 사건의 기억 제2장 4.3의 사회적 기억 I. 4.3 생존자의 기억 II. 사회적 기억과 증언: 이론적 논의 III. 4.3의 라쇼몬 IV. 다양한 대중담론들 제2부 대량학살 과정 제3장 대량학살의 심리 I. 왜 민간인을 학살하는가 II. '그들'은 누구인가: 경계짓기 III. '그들'은 어떻게 처벌하고 보복하는가: 문화적 조건 IV. 왜 대량학살이 빚어졌는가: 폭력의 상승 작용 제3부 후체험 시대의 기억 제4장 세대 간 기억 전수 I. 후체험 세대의 4.3 II. 기억의 전수 이론 및 기존 연구 III. 연구 방법 IV. 기억의 전수 경로 V. 기억의 전수 내용 VI. 4.3 기억의 재구성 VII. 세대 간 기억 변화 제5장 기억의 재구성 과정 I. 기억과 사회 II. '기억의 사회성' 가설 및 연구 방법 III. 후체험 시대의 기억 유형 IV. 기억 재구성 과정과 사회집단 V. 4.3의 역사화 과정 제4부 기억과 문화적 재현 제6장 대항기억과 영상 I. 대항기억의 재현 II. 재현 이론과 분석 방법 III. TV 다큐멘터리의 담론 변화 IV. 독립영화의 담론 변화 V. 4.3의 재현과 담론의 시대적 경향 제7장 대량학살의 기억과 젠더 이미지 I. 전쟁과 젠더 이미지 II. 젠더 이미지론 및 연구 방법 III. 이미지와 기호 IV. 스토리 구성 V. 4.3의 영상 재현과 젠더 이미지 부록1 4.3 영상 감독, PD 및 취재기자 면담 내용 요약 부록2 제주 4.3 TV 다큐멘터리 내용 요약 부록3 4.3 독립영화 요약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