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 안녕, 나의 모든 것 1부 지방시 첫 번째 이야기, 대학원생의 시간 1. “스물여섯의 나는 그렇게 이 삶을 시작했다”_제도권 삶의 시작 2. “이것이 대학원의 전통이라며 불편한 표정을 지었다”_대학원 입학과 조교 생활 3. “숨 쉬는 비용을 제외하고도 삼백만 원이 비었다”_등록금과 장학금 4. “그냥 연구소 잡일 돕는 아이입니다”_연구소 조교 생활 5. “지식을 만드는 공간이 햄버거를 만드는 공간보다 사람을 위하지 못한다면”_과정생의 노동과 처우 대학 시간강사 K께 6. “여기서 혼자 할 일 없는 놈”_내 부모의 보호자가 되지 못하는 현실 7. “너 그러다 늙겠구나”_그리고…… 8. “야 그만 좀 얻어먹어 인마”_외로움에 대한 이야기… 친구들 9. “나는 반사회적인 인간이다”_외로움에 대한 이야기… 시간강사와 사회인 10. “아직도 하고 있냐”_꿈과 현실에 대한 이야기… 친구 허벌에게 11. “발표가 이제는 좀 들을 만하네, 좋아요”_그렇게 대학원생이 되었다 12. “한번 해보겠습니다”_학위논문 주제를 선정하다 13. “자네, 혹시 삼계탕 좋아하나”_학위논문 자료를 수배하다 14. “걔들도 힘들었대, 하고 적혀 있었다”_학위논문을 쓰다 15. “그래도 자네 살 만했지?”_연구원 등록이라는 ‘희망 고문’ 16. “결국 나도 비겁한 인간인 것이다”_내가 만난 학부생 조교들 17. “미안해 꾸마우더리”_학자금 대출 18. “내 몸에 그저 미안하다”_수료, 그리고 대학원생의 몸 어느 날의 일기: 노동한다는 것의 의미 2부 지방시 두 번째 이야기, 시간강사의 시간 1. “연구만 하고 강의는 안 할 수 없을까”_강의 수임을 거절하다 2. “네, 할게요, 고맙습니다”_30인의 지도 교수를 만나다 3. “여러분은 저보다 더욱 좋은 선생님입니다”_학생들에게 배운 인문학 “You are very hard teacher”_강의실에서의 내 첫 번째 지도 교수에게 4. “당신은 나를 볼 수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_강단에서의 시야 5. “조별 과제에 불만이 많던 학생은 강사가 되어 강단에 섰다”_평범한 집단 지성의 인문학 6. “나는 학생들이 언제나 옳다고 생각하지 않아요”_강의실에 언제나 옳은 존재는 없다 7. “내일 뵈어요”_우리 주변의 인문학 8. “교수님 일베 하세요?”_강의실 안에서의 ‘정치적인 것’ 9. “교수님 논문도 검색해주세요”_강의와 연구 사이의 균형 찾기 10. “지몽미 그게 뭐야”_‘신종족’과 소통하는 ‘젊은 교수님’ 11. “여러분 마음속으로 제게 에프를 주세요”_학생들 앞에 부끄럼이 없도록, 진심 어린 사과하기 12. “아메리카노 나오셨습니다”_맥도날드에서 배운 인문학 13. “교수님은 무척 행복해 보이세요”_나의 구원자, 학생들 14. “후회하지 않으시나요?”_‘헬조선’에서 꿈꾼다는 것 에필로그 | 그 어디에도 지방시는 있다 감사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