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는 스타일이다

장석주
324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7(22)
0.5
4
5
Rate
3.7
Average Rating
(22)

시인이자 비평가, 북멘토로 널리 알려진 장석주가 30년 넘게 자신의 글을 쓰고, 또 글을 쓰는 방법을 강의하면서 얻은 깨달음을 정교하고 섬세하게 정리한 창작 교본이다. 좋은 글쓰기를 위한 필수요소에서부터 작가로 성장하는 법, 헤밍웨이, 카뮈, 헤세, 다치바나 다카시, 박경리, 피천득 등 대가들의 스타일에 담긴 비밀에 이르기까지 실용적인 지침과 작가들의 노하우가 총동원됐다. 단순히 기교에 치중한 얄팍한 비책이 아니라 시인의 통찰과 인문학적인 소양을 바탕으로 글쓰기의 힘을 길러주고 글눈을 틔워주는 교양과 지식이 담겨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 시대 최고의 다독가로 3만여 권의 다종다양한 책들을 탐독한 독서광답게 책 곳곳에는 글쓰기에 밑거름이 된 작가들의 말, 정신을 견고하게 해주고 열정에 기름을 부어줬던 명문장들이 실려 있어 그것을 읽는 지적 유희 역시 이 책의 또 다른 재미다.

Rating Graph
Avg 3.7(22)
0.5
4
5

Author/Translator

Comment

2

Table of Contents

밀실-글쓰기를 위한 책읽기 읽기와 쓰기 그리고 자기 짓기 / 책읽기는 운명을 바꾼다 / 꿈꿀 권리 / 책읽기에서 글쓰기로 입구-글쓰기를 시작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허기진 삶 / 불확실성 / 실패 가능성 / 진짜 재능 / 독창성과 창의성 / 경험, 그 발견되고 해명된 삶 / 백지의 공포 / 고독과 칩거 미로-글쓰기에서 마주치는 문제들 작가의 연장통 / 언제든 졸작을 쓸 수 있는 용기 / 어쩌다 전업 작가가 되어 / 날마다 글을 쓴다는 의미 / 일기, 나와 대면하는 연습 / 떠나고 싶을 날의 글쓰기 출구-작가의 길 문체란 무엇인가 / 나도 모르는 나, 무의식 / 글쓰기와 집짓기 / 몸으로 글쓰기 / 등단을 꿈꾼다면 / 어느 날 시가 내게로 왔다 / 문학이 가르쳐 준 것들 광장-글쓰기 스타일 스타일이란 무엇인가 글쓰기에 미친다는 것 : 문장은 감각적인 디테일이다 | 김연수 비정한 문체 : 하드보일드는 냉정과 열성 사이의 스타일이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강건한 탐미주의의 문체 : 잉여를 배제하고 사실과 사실을 잇다 |김훈 감각적인 너무나 감각적인 : 문장을 재즈 리듬으로 연주하다 | 무라카미 하루키 직관적인 문체 : 낯설고 기이한 삶의 기표를 좇다 | 허먼 멜빌 담백한 문체 : 무욕을 꿈꾸는 자의 세상 보기 | 피천득 따뜻한 냉소주의의 문체 : 세상을 등진 은둔 작가의 상상력 | J. D. 샐린저 읽기는 문장의 첩경 : 지식의 바다를 항해하는 오디세우스 | 다치바나 다카시 청춘의 문장들 : 자유와 탐닉을 겨냥하다 | 최인호 모성성의 문체 : 세상을 품고 아우르다 |박경리 부조리의 문체 : 삶이라는 백일몽을 찢고 나가다 | 알베르 카뮈 낭만적인 영혼의 문체 : ‘나’를 찾아가는 구도의 문장들 | 헤르만 헤세

Description

"무엇을 읽고 어떻게 쓸 것인가?” 첫 문장의 설렘부터 마지막 퇴고의 고통까지 30년 문장 노동자 장석주의 창작 노트 “글을 잘 쓰려면 우선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고 입을 모아 말하지만, 어떤 책이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는 누구도 쉽게 말하지 못한다. 사실 많이 읽고 쓰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제대로 읽고 쓰는’ 것이다. 즉, 작문 테크닉과 작가들의 비법을 무턱대고 따르기보다는 글쓰기의 기본을 다지고 본질적인 안목을 기르는 과정이 필요하다. 『글쓰기는 스타일이다』는 시인이자 비평가, 북멘토로 널리 알려진 장석주가 30년 넘게 자신의 글을 쓰고, 또 글을 쓰는 방법을 강의하면서 얻은 깨달음을 정교하고 섬세하게 정리한 창작 교본이다. 좋은 글쓰기를 위한 필수요소에서부터 작가로 성장하는 법, 헤밍웨이, 카뮈, 헤세, 다치바나 다카시, 박경리, 피천득 등 대가들의 스타일에 담긴 비밀에 이르기까지 실용적인 지침과 작가들의 노하우가 총동원됐다. 단순히 기교에 치중한 얄팍한 비책이 아니라 시인의 통찰과 인문학적인 소양을 바탕으로 글쓰기의 힘을 길러주고 글눈을 틔워주는 교양과 지식이 담겨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 시대 최고의 다독가로 3만여 권의 다종다양한 책들을 탐독한 독서광답게 책 곳곳에는 글쓰기에 밑거름이 된 작가들의 말, 정신을 견고하게 해주고 열정에 기름을 부어줬던 명문장들이 실려 있어 그것을 읽는 지적 유희 역시 이 책의 또 다른 재미다. "누구나 자신이 살아온 만큼 쓴다!” 책읽기에서 글쓰기까지 나를 발견하는 시간 기형도가 가장 사랑한 시인이자 소설가, 에세이스트, 평론가 등 전 방위 문인으로 활동하는 장석주는 독학으로 문학과 철학을 공부해 60권이 넘는 책을 펴냈다. 그는 날마다 하루 8시간씩 책을 읽고 4시간씩 책상 앞에 앉아 글을 쓴다. 어마어마한 생산 능력과 성실한 글쓰기의 비결에 대해 그는 “어떤 글이 나오는가는 삶의 경험과 자세, 태도의 문제로 그것이 곧 자기 문장이나 글의 스타일이 된다.”고 강조하며, 작가의 삶을 날것의 목소리로 생생하게 들려준다. 날마다 도서관에서 책이나 꾸역꾸역 읽으며 아무도 읽어주지 않는 시를 끼적이던 ‘문청’ 시절의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고민에서부터 등단 후에도 계속된 창작의 고통과 재능에 대한 회의, 생계에 대한 불안을 극복할 수 있었던 원동력까지 작가로서의 신산한 삶에 관한 진솔한 고백들도 털어놓는다. 수많은 위기의 순간을 겪어냈지만 마음의 끼니로 책을 먹고, 읽고, 써 온 그는 자신이 존경하는 작가 사무엘 베케트의 말에 빗대어 이렇게 이야기한다. “시도했었다. 실패했었다. 상관없다. 다시 시도하라. 더 잘 실패하라.” 일상이 글감이 되고, 글쓰기가 일상이 되는 삶을 통해 그가 체득한 것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것을 자기답게 표현하는 것’이 좋은 글이라는 사실이다. 자신이 주체가 되어 쓰기 시작하면 삶의 의미에 눈뜨게 되고, 살아갈 힘도 얻게 된다. 그것이 글쓰기의 본령이고, 인문학 공부임을 이 책은 말한다. “무언가를 쓴다는 것은 현실의 지옥을 벗어나 빛 속을 뚫고 나가는 일과도 같다. 삶에의 의욕과 글쓰기에의 욕망은 하나다.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일이다.” 즉, 글쓰기는 재능이나 소질의 문제가 아니라 누구나 자신이 살아온 만큼 글을 쓸 수 있다는 뜻이다. 그 방법론을 제시하는 이 책은 초보 작가뿐 아니라 글쓰기 입문자들, 자신만의 글쓰기를 마음먹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마는 사람들, 혹은 아예 시도조차 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확실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 문장 노동자 장석주의 30년 작법 노하우 】 ·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글을 쓰는 게 바로 재능이다. · 중요한 것은 문장에 실린 생각이지 문장 자체는 아니다. · 나쁜 문장이란 덜 숙성된 생각의 결과물이다. · 좋은 글은 마음속에 흐르는 노래처럼 리듬을 타고 온다. · 왠지 모르게 끌리는 글의 힘은 그 진실성에 숨어 있다. · 소소한 일상을 꾹꾹 눌러쓰다 보면 진심이 된다. · 단풍잎에 무심한 눈길을 주는 순간, 삶이라는 꽃이 피워난다. · 이름을 붙일 수 없는 것에다 이름을 지어 붙여라. · 가장 쓰기 어려운 것이야말로 정말 써야 하는 ‘그것’이다. · 아침부터 저녁까지 쓰고 생각하며 의미로 가득 찬 삶을 살아라 김훈, 김연수, 피천득, 박경리, 최인호부터 헤밍웨이, 하루키, 샐린저, 카뮈, 헤세까지 아는 만큼 보이는 작가들의 스타일 노하우 『글쓰기는 스타일이다』는 저자의 체험에서 건져 올린 창작론이자 고전문학에서부터 현대시에 이르기까지 작가들의 스타일을 광범위하게 탐구한 작가론이다. 국내외 다양한 작가들의 예문을 하나하나 되짚어보며 각각의 문체와 형식, 내용과 철학을 본격적으로 다루는 최초의 책이다. 소설쓰기로 삶에 대한 태도를 말하는 김연수, 강건한 탐미주의의 문체로 사실을 생생하게 드러내는 김훈, 문장을 재즈 리듬으로 연주하는 하루키, 『노인과 바다』를 15년이나 구상하고 200번 이상 고쳐 쓴 헤밍웨이, 오감을 행복하게 만드는 문장으로 인간의 부조리함을 명석하게 꿰뚫는 카뮈, 우주와 자연, 인간에 대한 심오한 통찰을 그린 허먼 멜빌, 세상을 등진 따뜻한 냉소주의자 J. D. 샐린저 등 ‘작가들의 작가’라고 일컬어지는 이들의 스타일을 한 데 모아 보여주는 책인 만큼 그 의미가 특별하다. 삶의 파고를 헤쳐 가며 하나의 스타일을 완성해간 작가들의 내밀한 이야기는 그 자체로 감동적이기까지 하다. 저자는 이것이 바로 ‘마음의 무늬’이자 ‘사상의 실체’라고 말하며, 글쓰기 스타일을 둘러싼 지적 여정을 밀실-입구-미로-출구-광장이라는 경로를 따라 산책하듯 나아간다. 저자가 안내하는 생각의 경로를 따라 책의 행간을 걷다보면 어느새 한 줄 한 줄 쓰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펜 끝에서 진짜 나는 무엇인지 그 실존적 물음에 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