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훈 평론선집

이승훈
230p
Where to buy
content
Rate
3.9
Average Rating
(5)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지식을만드는지식 한국평론선집. 아방가르드 시인이면서 이론가인 이승훈의 평론 선집이다. 그는 김수영 김춘수 등의 뒤를 이어 시와 시론 모두에서 지속적인 탐색과 변주의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시사에 일정한 충격파와 독자적인 미학을 구축했다. 또 그는 시와 시론 사이의 경계를 가장 뚜렷하게 해체한 시인이기도 하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2

Table of Contents

비대상 시적인 것은 없고 시도 없다 비빔밥 시론 변기와 인터랙티브 미학 예술, 나를 웃겨라 김춘수와 무의미시의 세 유형 선과 조오현 선과 아방가르드 해설 이승훈은 해설자 이재복은

Description

‘한국평론선집’은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한국 근현대 평론을 대표하는 주요 평론가 50명을 엄선하고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를 엮은이와 해설자로 추천했습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습니다 시적 사유와 방법적 깊이의 차원에서 굳이 아방가르드의 계보를 작성하자면 이상을 시작으로 조향, 김수영, 김춘수를 거쳐 이승훈, 오규원, 황지우, 박남철, 장정일 등으로 이어진 흐름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이 시인들 중 시와 시론 모두에서 지속적인 탐색과 변주의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시사에 일정한 충격파와 독자적인 미학을 구축한 이는 김수영, 김춘수, 이승훈, 오규원 정도가 될 것이다. 우리 시사의 아방가르드 시인들 중에 이승훈은 시와 시론 사이의 경계를 가장 뚜렷하게 해체한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아방가르드적인 세계는 내적 응축 내지 함열(陷裂)의 성격을 띤다. 이것은 그의 의식의 방향이 외부를 향해 있는 것이 아니라 늘 내부 혹은 내면을 향해 있기 때문이다. 비대상시와 시론이 나오기 이전 그의 의식 세계를 지배한 것은 불안, 공포, 소외, 고독, 분리, 추위 같은 어두운 내면의 심리와 감정이었으며, 이것은 그로 하여금 외부 대상의 존재를 자신의 세계에서 배제하고 제거하게 한다. 외부 대상이 없는 상태에서 그의 의식이 겨냥한 것은 나를 나로부터 분리시키고 언어 자체에 도취하는 비대상의 세계이다. 그의 표현대로 하면 그것은 ‘완전한 내면의 응결’이자 ‘내면세계의 밖으로의 투사’(<발견으로서의 수법>)다. 비대상이 내면성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것은 필연적으로 ‘에고’의 문제를 제기할 수밖에 없다. 그 자신도 자신의 시 쓰기의 목적을 ‘자아 찾기의 긴 여정’(<자아 찾기의 긴 여정>)으로 명명하고 있다. 이 자아 찾기라는 여정을 위해 그는 ‘내면(내면성)?비대상?해체?선’이라는 사유의 방법을 끊임없이 발견하고 변주하면서 독자적인 아방가르드의 역사를 써 온 것이다. 자아에 대한 그의 집요한 탐색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해체주의와 선 사상, 언어(언어 중심)와 자기 수양(무아 중심), 시와 비시(일상), 인식과 존재 등의 영역까지 포괄하고 있으며, 이 다양하고 역동적인 사유의 궤적은 그의 자아 찾기가 그렇듯이 하나의 ‘생성’ 그 자체다. 그는 40년 넘게 자아의 문제를 천착해 오면서 그 자아를 긍정하기도 하고 또 부정하기도 했지만 이상처럼 그 자아에 대해 죽음을 선고하지는 않았다. 이로 인해 그의 자아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끊임없이 유동하면서 다양한 의미의 변화와 생성을 거듭할 수 있었다. 이 변화와 생성은 시와 시론에 걸쳐 상보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나타난다.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