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머리말
프롤로그
01 출생과 성장
1. 고구려인 포로 노예의 아들
2. 구당서가 전하는 고선지론
1) <고선지전>의 기록
2) <봉상청전>의 기록
02 고선지의 토번 정벌
1. 당과 토번의 관계
1) 당이 토번 정벌에 나선 이유
2) 토번과 사라센제국의 연합
2. 토번과 소발률국의 관계
1) 출정 직전 토번-소발률국의 정세
3. 고선지 부대의 출정
1) 고선지의 출정 배경
2) 고선지 부대의 원정 루트
3) 원정 루트 분석
4) 고선지 부대의 식량 조달법
4. 고선지 부대의 토번 연운보 공략법
1) 토번의 요새 연운보와 당의 삼군법
5. 토번 연운보의 함락
1) 하늘이 도운 도하(渡河) 작전
2) 고선지 부대의 연운보 함락
3) 연운보 함락이 갖는 의미
6. 계속되는 진군
1) 고선지 부대의 탄구령 횡단
7. 고선지 부대의 소발률국 점령 작전
1) 제1차 작전―평화적 담판과 교로 수축
2) 제2차 작전―왕성 포위와 선무 공작
3) 제3차 작전―수령 참수와 등교 절단
8. 소발률국 정복을 둘러싼 이견과 영향
1) 항복이 먼저냐, 등교 절단이 먼저냐?
2) 고선지의 업적에 대한 왜곡된 평가
3) 소발률국 정복이 불러온 변화
9. 고선지 부대의 회군
10. 개선장군 고선지가 당한 수모
1) 부몽영찰의 부당한 핍박
2) 연운보 정벌은 이사업의 공이다?
3) 부몽영찰의 시대착오적인 협박전술
11. 환관 변령성의 고선지 구명
1) 변령성의 도움과 고선지의 승진
2) 고선지, 서역의 새 주인으로 부상
03 사진절도사 고선지의 활약
1. 고구려인 지휘관에 대한 반발(747년 12월~748년 2월)
1) 장수들의 반발
2) 고선지의 처방―훈계와 용서
3) 고선지의 처방―재물을 통한 회유
4) 고선지의 처방―징계와 사면
2. 사진절도사 고선지의 서역 경략
1) 고선지의 연전연승
2) 소발률국을 둘러싼 주변 정세의 변화
3. 현종의 추가 포상과 토번의 굴복
04 고선지의 석국 정벌
1. 석국 정벌과 그 배경
1) 석국의 친이슬람화
2) 석국 정벌
3) 석국 정벌의 의미
4) 석국 정벌 후 중앙아시아의 판도 변화
2. 석국 정벌을 둘러싼 오해와 곡해
1) 베크위즈의 악평
2) 샤반느의 악평
3) 『자치통감』의 악평
4) 『구당서』의 악평
3. 고선지의 진면목
1)노랫말에 비친 진면목
2) 봉상청의 일화에 비친 진면목
05 동서 문명의 대회전, 탈라스 전투
1. 8세기초 이슬람 세계의 표정
2. 탈라스 전투와 고선지의 참패
1) 탈라스 전투의 성격과 패인(敗因)
3. 탈라스의 참패는 전적으로 고선지의 책임?
1) 『구당서』의 고선지 때리기
2) 스튜어트 레그의 고선지 때리기
3) 오렐 스타인의 고선지 때리기
4. 문명 전파의 교량, 탈라스 전투
1) 제지술의 전파
2) 화약 제조술의 전파
3) 나침반의 전파
5. 탈라스 전투가 불러온 동서 문명의 변화
1) 중앙아시아의 무슬림화
2) 중국에 소개된 아랍의 풍물―『경행기』
3) 제지술의 아랍 전파
6. 탈라스 이후 중앙아시아의 세력 판도
7. 패전 후 고선지 장군의 동정
06 안록산의 반란과 고선지의 최후
1. 고선지의 재등장
1) 고선지를 밀운군공에 봉한 이유
2) 봉상청의 출정
3) 고선지의 출정
2. 고선지의 대(對)반란군 작전
1) 섬주에서 동관으로의 퇴각
2) 동관 입성과 반란군의 퇴각
3) 고선지에게 우호적인 『당서』의 기록
3. 고선지와 환관 변령성의 갈등과 대립
1) 변령성의 지나친 간섭
2) 변령성의 추악한 모함
4. 고선지 장군의 최후
1) 봉상청의 최후
2) 고선지의 최후―100명의 칼잡이를 풀다
3) 고선지의 최후―결백함을 토로하다
4) 고선지의 최후―모든 장졸들이 고선지의 결백을 외치다
5) 고선지의 최후―고선지는 안록산이 아니었다
6) 고선지의 최후―봉상청의 시신에 대고 독백하다
5. 고선지의 사후에 빚어진 혼란상
6. 고선지 장군의 행적
1) 『탐라국 왕세기』에 적힌 행적
2) 「이임보전」에 적힌 행적
07 종이 문명
1. 종이의 기원(채륜-당)
1) 중국에서 종이
2) 중국 문화권에서 종이전파(고구려?백제?신라?왜)
2. 탈라스 전투와 종이의 이슬람전파
3. 이슬람에서 유럽으로 종이 전파
4. 아메리카에서의 종이 문명
에필로그
기고문
참고문헌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