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 과학혁명 - 아리스토텔레스적 세계관의 전복
제1부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
- 고대 그리스의 자연철학자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승리
1장 그리스 자연철학
1. 탈레스
2. 아낙시만드로스
3. 피타고라스
4. 파르메니데스
5. 플라톤
6. 아낙시메네스
7. 헤라클레이토스
8. 데모크리토스
9. 엠페도클레스
2장 아리스토텔레스가 본 세계
1. 아낙사고라스 - 아리스토텔레스를 예비하다
2. 4원인론, 실체와 연속체
3.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
4. 운동은 왜 일어나는가?
5.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 - 동식물의 위계
6. 아리스토텔레스의 화학 - 혼합과 결합의 원리
7. 남은 이야기 - 사변과 실험
3장 지구중심설 대 태양중심설
1. 피타고라스의 행성
2. 아리스타르코스 - 지구가 돈다
3. 에우독소스 - 천체에 대한 수학적 설명
4. 히파르코스 - 관측과 수학적 계산
5. 프톨레마이오스의 등장
제2부 소멸, 복권, 균열
- 아리스토텔레스의 부활과 반란의 전조
4장 헬레니즘 시대
1. 무세이온과 도서관
2. 신플라톤주의와 헤르메스주의
3. 새로운 원자론, 에피쿠로스학파
4. 최초의 회의주의, 피론주의
5장 이슬람으로 간 아리스토텔레스
1. 유럽, 아리스토텔레스를 지우다
2. ‘지혜의 집’
3. 이슬람의 수학
4. 이슬람의 천문학
5. 이슬람의 역학
6. 이슬람의 광학
7. 이슬람의 의학
6장 아리스토텔레스의 복권에서 균열까지
1. 유럽의 중세
2. 번역 르네상스
3. 대학의 탄생
4. 대학, 아리스토텔레스를 품다
5. 15세기, 불온한 조짐
6. 16세기의 균열
제3부 과학혁명
-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의 종언
7장 새로운 철학, 새로운 방법론
1. 점성술과 연금술 - 근대 과학의 싹
2. 유명론자들
3. 영국 경험론
4. 프랜시스 베이컨, 경험과 귀납
5. 데카르트, 사유와 방법
8장 천문학 혁명
1. 코페르니쿠스
2. 튀코 브라헤
3. 요하네스 케플러
4. 조르다노 브루노
5. 갈릴레오 갈릴레이
9장 역학 혁명
1. 임페투스
2. 윌리엄 길버트
3. 관성의 개념
4. 낙하 운동의 분해
5. 상대성 원리
6. 갈릴레오와 실험물리학의 탄생
10장 뉴턴
1. 뉴턴의 우주
2. 힘과 가속도
3. 빛은 입자다
4. 뉴턴의 시공간
11장 데모크리토스의 후예들
1. 갈릴레오와 토리첼리 - 신과 진공
2. 스코틀랜드의 기체화학자들
3. 라부아지에
4. 돌턴
5. 볼츠만과 마흐
12장 생물학 혁명
1. 혁명 이전
2. 베살리우스와 하비
3. 현미경과 세포
4. 린네와 종의 분류
5. 생물학 혁명과 진화론
맺는 글: 과학혁명과 근대 과학의 탄생
참고도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