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연못

김민기 and other · Kids
66p
Where to buy
Rate
4.0
Average Rating
(2)
양희은이 부른 '작은 연못'은 1972년 발표된 이래 교과서에 수록되고 지속해서 리메이크되는 등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아 왔다. 40여 년간 우리 대중음악의 고전으로 자리 잡은 '작은 연못'의 문학적인 노랫말이 그림책으로 만들어져 독자들과 새롭게 만난다. <위를 봐요!>, <벽> 등의 작품을 펴내며 볼로냐 국제아동도서전에서 라가치 상을 두 차례 수상한 작가 정진호가 그림책 <작은 연못>의 그림을 맡았다. 70년대 시대 상황에 대한 비판적 성찰로 해석되어 온 곡의 노랫말에 작가 정진호가 시각적 은유를 더해 오늘날의 어른과 어린이 모두에게 자유와 평화의 의미를 일깨운다.

Author/Translator

Description

“깊은 산 오솔길 옆 자그마한 연못엔…….“ 한국 대중음악의 고전 「작은 연못」 볼로냐 라가치 상 수상 작가 정진호가 그리는 평화의 노래 「작은 연못」(김민기 작사?작곡, 양희은 2집 앨범 「양희은 고운 노래 모음 제2집」 수록)은 1972년 발표된 이래 교과서에 수록되고 지속해서 리메이크되는 등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아 왔다. 40여 년간 우리 대중음악의 고전으로 자리 잡은 「작은 연못」의 문학적인 노랫말이 그림책으로 만들어져 독자들과 새롭게 만난다. 『위를 봐요!』 『벽』 등의 작품을 펴내며 볼로냐 국제아동도서전에서 라가치 상을 두 차례 수상한 작가 정진호가 그림책 『작은 연못』의 그림을 맡았다. 70년대 시대 상황에 대한 비판적 성찰로 해석되어 온 곡의 노랫말에 작가 정진호가 시각적 은유를 더해 오늘날의 어른과 어린이 모두에게 자유와 평화의 의미를 일깨운다. 오랜 시간 동안 거리와 학교에서 불려 온 곡의 아름다운 노랫말이 담긴 그림책을 통해 어린이와 부모, 조부모가 세대를 아울러 공감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0여 년간 거리와 학교에서 불려 온 곡 「작은 연못」, 그림책으로 찾아오다 1972년 발표된 김민기의 곡 「작은 연못」은 70년대의 광장을 물들인 대표적인 우리 민중가요 중 하나이다. 뚜렷한 이유도 없이 금지곡으로 지정되어 세상과 격리되어야 했던 이 곡은 대중매체의 전파를 타지 않고 거리에서 구전되어 널리 퍼졌다. 수많은 이들이 자유와 평화를 꿈꾸는 마음으로 이 노래의 불씨를 살려 왔다. 이후 90년대에는 시대 상황을 비판적으로 성찰한 곡으로 교과서에 소개되어 학교에서 불리기도 했다. 노래의 메시지는 긴 세월의 파도에 바래지 않았다. 「작은 연못」에 담긴 자유와 평화, 반전을 바라는 마음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깊은 울림을 남긴다. 「작은 연못」의 가사는 맑은 연못 속에 살던 붕어 두 마리의 이야기를 전한다. 사이좋게 지내던 붕어들이 서로 싸우는 바람에 한 마리가 죽게 되고, 그 살이 썩고 물도 따라 썩어 “연못 속에선 아무것도 살 수 없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싸움의 끝에는 공멸밖에 없음을 암시한다. “깊은 산 오솔길 옆 자그마한 연못엔 지금은 더러운 물만 고이고 아무것도 살지 않죠.”라는 후렴구는 서늘하다. 그렇지만 동시에 분명하고 희망적이다. 언젠가 존재했던 맑은 연못을 기억하는 목소리는 우리가 사는 연못에 더러운 물이 고이도록 더 놔두어서는 안 된다고 간곡히 노래한다. 맑은 세상을 잃어버린 우리의 현실을 비추는 이야기 책을 펼쳐 깊은 산, 오솔길, 작은 연못으로 이어지는 평화로운 풍경을 감상하다 보면 주인공인 붉은 붕어를 발견하게 된다. 붕어는 연못에서 자유로이 헤엄치다가 또 한 마리의 붕어와 만난다. 그의 정체가 예상치 못한 반전으로 밝혀지면서 연못의 평화는 깨어지고, 『작은 연못』의 무대는 산속 연못을 벗어나 대형 할인 매장의 수조로 탈바꿈한다. 수조에서 건져 올려진 붕어는 작은 어항에 담겨 어느 가족을 따라 떠난다. 독자를 붕어에게로 안내했던 도입부의 깊은 산과 오솔길은 첩첩의 건물들과 끝없이 이어진 차도로 변해 있다. 인간의 편의에 맞추어 급속도로 발전한 세상에서 훼손되어 버린 자연이 어항 속 붕어의 눈에 담긴다. 매캐한 매연과 검은 강물, 산처럼 쌓인 쓰레기로 가득한 이곳에서 붕어는 제 삶을 되찾을 수 있을까? 썩어 가는 바다, 흐려져 가는 하늘을 보며 생각합니다. 지구가 유일한 연못임을……. 앞으로 이곳에 찾아올 어린 삶들이 자유롭게 헤엄치기를 소망합니다. _정진호 작가의 말 작가 정진호의 빛나는 재해석으로 탄생한 그림책 『작은 연못』 『위를 봐요!』 『벽』 등의 작품을 선보이며 2015년, 2018년 볼로냐 국제아동도서전에서 라가치 상을 두 차례 수상한 그림책 작가 정진호가 『작은 연못』의 그림을 맡았다. 정진호 작가의 참신한 재해석과 이미지 속 숨은 장치들을 살피는 재미는 이 작품만이 가지는 매력이다. 80년대 생 젊은 작가는 부모님 세대에 만들어진 노랫말을 지금 시대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와 연결 지었다. 작가는 노랫말에 등장하는 붕어를 보고 환경 위기 속에서 살아가는 어린 삶들을 떠올렸다. 그리고 제한된 색조에 상징을 더해 한 편의 시와 같은 그림책으로 현 시대상을 그렸다. 생명의 이미지는 붉은 면과 흰 선으로, 생명들의 터전은 푸른 면으로, 삶을 억압하고 방해하는 것은 노란색으로, 오염된 세상은 회색으로 표현했다. 붉은 면과 흰 선으로 나타낸 생의 흔적이 모든 화면을 떠나지 않는 데서 우리는 작가가 소중하게 마련한 희망을 읽을 수 있다. 노래로 먼저 불린 작품인 만큼 음악적 리듬감을 고려하여 장면과 흐름을 구축한 흔적 또한 느껴진다. 작가의 섬세한 시각 언어에 힘입어 「작은 연못」의 노랫말은 오늘날의 그림책 독자에게 새로운 울림을 선사한다. ● 창비 노랫말 그림책 시리즈: 창비에서는 문학성 있고 아름다운 우리말로 표현된 한국 대중가요를 그림책으로 펴내는 ‘창비 노랫말 그림책’ 시리즈를 기획, 출간 중이다. 아이와 부모, 조부모까지 세대를 아울러 함께 읽으며 공감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