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

로버트 새폴스키
1040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4.7(13)
0.5
5
Rate
4.7
Average Rating
(13)
Comment
More

사회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가 “인간 본성에 대한 탁월한 안내자”라 칭하고 신경의학자 올리버 색스가 “우리 시대 최고의 과학 저술가”라 평한, 세계 최고의 신경과학자 로버트 M. 새폴스키의 저서 『행동』이 드디어 한국에 출간됐다. 집필에만 10년 이상 걸린 역작으로, 출간 이후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등극, <LA 타임스> 도서상 수상, <워싱턴 포스트> ‘올해 최고의 책’ 선정 등의 쾌거를 이루며 대중과 학계의 관심과 화제를 모은 이 책은 ‘인간 행동의 과학을 개괄하려는 눈부신 시도’이자 ‘인간 본성의 복잡다단한 세계로 안내하는 명쾌한 가이드’이다. 이 책을 관통하는 핵심 질문은 “왜 인간은 서로에게 때로는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끔찍하게 굴고, 또 때로는 더할 나위 없이 너그러워지는가?”라는 것. 우리 본성의 ‘특별한 잔인함’과 ‘희소한 이타성’, 그 양면성에 대한 답을 추적하고자 저자는 신경생물학부터 뇌과학, 유전학은 물론 사회생물학과 심리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문 분야를 종횡무진 넘나들며 최첨단 연구 결과를 일목요연하게 종합해 살펴본다. 그리고 그 이해를 기반으로 삼아, 인간사회의 부족주의와 외국인 혐오, 위계와 경쟁, 도덕성과 자유의지, 전쟁과 평화에 관한 가장 심오하고도 모순적인 질문들에 답한다. 세계적 과학 저널 『스켑틱』의 창간자 마이클 셔머가 이 책 『행동』을 “『총균쇠』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통섭의 장엄한 정점”이라고 극찬하고, <뉴욕 타임스>가 “이 책을 읽는다면 다윈도 감격했을 것”이라고 평가한 이유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4.7(13)
0.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5

Table of Contents

서문 1장. 행동 2장. 1초 전 3장. 몇 초에서 몇 분 전 4장. 몇 시간에서 며칠 전 5장. 며칠에서 몇 달 전 6장. 청소년기, 혹은 저기요, 내 이마엽 겉질 어디 갔어요? 7장. 요람으로, 자궁으로 돌아가기 8장. 수정란이었던 순간으로 돌아가기 9장. 수백 년 전에서 수천 년 전 10장. 행동의 진화 11장. 우리와 그들 12장. 위계, 복종, 저항 13장. 도덕성과 옳은 일을 하는 것, 일단 무엇이 옳은지 알아냈다면 14장. 타인의 고통을 느끼기, 이해하기, 덜어주기 15장. 살인을 부르는 메타포 16장. 생물학과 형사사법제도, 그리고 (내친김에) 자유의지 17장. 전쟁과 평화 맺음말 감사의 말 부록 1. 신경과학 입문 부록 2. 내분비학의 기초 부록 3. 단백질의 기초 주에 쓰인 약자 주 그림 출처 찾아보기

Description

인간의 폭력성, 공격성, 경쟁을 이보다 더 잘 다룬 책은 없었다! 우리 본성의 ‘특별한 잔인함’과 ‘희소한 이타성’, 그 양면성에 대한 영웅적 통찰! “이 책을 읽는다면, 다윈도 감격했을 것이다!” - <뉴욕 타임스> 사회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가 “인간 본성에 대한 탁월한 안내자”라 칭하고 신경의학자 올리버 색스가 “우리 시대 최고의 과학 저술가”라 평한, 세계 최고의 신경과학자 로버트 M. 새폴스키의 저서 『행동』이 드디어 한국에 출간됐다. 집필에만 10년 이상 걸린 역작으로, 출간 이후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등극, <LA 타임스> 도서상 수상, <워싱턴 포스트> ‘올해 최고의 책’ 선정 등의 쾌거를 이루며 대중과 학계의 관심과 화제를 모은 이 책은 ‘인간 행동의 과학을 개괄하려는 눈부신 시도’이자 ‘인간 본성의 복잡다단한 세계로 안내하는 명쾌한 가이드’이다. 이 책을 관통하는 핵심 질문은 “왜 인간은 서로에게 때로는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끔찍하게 굴고, 또 때로는 더할 나위 없이 너그러워지는가?”라는 것. 우리 본성의 ‘특별한 잔인함’과 ‘희소한 이타성’, 그 양면성에 대한 답을 추적하고자 저자는 신경생물학부터 뇌과학, 유전학은 물론 사회생물학과 심리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문 분야를 종횡무진 넘나들며 최첨단 연구 결과를 일목요연하게 종합해 살펴본다. 그리고 그 이해를 기반으로 삼아, 인간사회의 부족주의와 외국인 혐오, 위계와 경쟁, 도덕성과 자유의지, 전쟁과 평화에 관한 가장 심오하고도 모순적인 질문들에 답한다. 세계적 과학 저널 『스켑틱』의 창간자 마이클 셔머가 이 책 『행동』을 “『총균쇠』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통섭의 장엄한 정점”이라고 극찬하고, <뉴욕 타임스>가 “이 책을 읽는다면 다윈도 감격했을 것”이라고 평가한 이유다. “우리가 폭력을 싫어하지 않는다는 것, 이것이 이 책의 핵심 논점이다. 우리가 싫어하고 겁내는 것은 잘못된 종류의 폭력, 잘못된 맥락의 폭력이다. 옳은 맥락의 폭력은 다르기 때문이다. (...) 총의 방아쇠를 당기는 행동이 악랄한 공격 행동일 수도 있고 자기희생적 사랑의 행동일 수도 있다는 이 모호함이야말로 폭력을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다. 이 책은 폭력, 공격성, 경쟁의 생물학을 살펴볼 것이다. 그런 현상 이면의 행동과 충동, 개인과 집단과 국가의 행위, 그리고 이런 행위들이 언제 나쁘고 좋은지를 살펴볼 것이다. 인간이 서로를 해치는 여러 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사람들이 그 반대로 행동하는 방식들도 살펴볼 것이다. 생물학은 협동, 제휴, 화해, 감정이입, 이타성에 대해서 무엇을 알려줄까?” _<서문> 중에서 ‘인간 본성에 대한 탁월한 안내자’가 전하는 인간 행동의 모든 것 “인간이 할 수 있는 이야기 중 가장 중요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 - 에드워드 O. 윌슨, 생물학자·하버드대학교 명예교수 “『총균쇠』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통섭의 장엄한 정점” - 마이클 셔머, 『스켑틱』 창간자 우리는 대체 왜 ‘그 행동’을 할까? 새폴스키는 이 질문을 다각도로 살펴보며, 모든 학문의 영역을 허물고 오직 그만이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충실하게 대답한다. 그는 흥미로울 뿐 아니라 설득력 있는 내적 논리에 따르는 구성을 선보인다. 우선 누군가의 어떤 행동이 벌어진 그 순간에 그 사람의 반응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알아본 뒤, 그 시점으로부터 조금씩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서(1초 전, 몇 시간 전, 며칠 전을 거쳐 수정란이던 시기까지) 끝내 우리 종의 오랜 진화 역사가 남긴 유산까지 살펴보는 구성이다. 총 17장 중 1~10장에 해당하는 책의 전반부는 기존 연구의 학제 간 경계를 뛰어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뉴런과 호르몬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감정이 의사결정의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이유는 무엇인가’ ‘청소년이 성인보다 더 폭력적이기 쉬운 까닭은 어디에 있는가’ ‘유전자와 문화는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는가’ 등 뇌, 유전자, 호르몬, 유년기, 문화적 환경, 진화, 생태계 등이 우리의 공격성과 폭력성, 경쟁심, 협력, 이타심, 공감, 소속감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새폴스키 자신의 연구와 신경생물학, 유전학, 행동학에 관한 방대한 지식으로 쌓아올린 이 책의 학문적 깊이와 폭은 그야말로 놀라울 따름이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이야기 중 가장 중요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이라는 생물학자 에드워드 O. 윌슨의 평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지는 이유다. 더불어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이 책의 강점 중 하나는 ‘재미있다’는 것이다. 〈뉴욕 타임스〉가 “제인 구달에 코미디언을 섞으면, 새폴스키처럼 글을 쓸 것”이라고 했을 만큼, 톡톡 튀는 유머로 무장한 깊이 있는 글쓰기로 유명한 저자의 저서답게 현명하고, 인간적이고, 종종 아주 웃긴 이 책 『행동』은 그 자체로 영웅적이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대단한 업적이다. # 행동 자, ‘어떤’ 행동이 일어났다. 어쩌면 나쁜 행동일 수 있다. 당신은 무고한 사람을 겨냥해 방아쇠를 당겼다. 어쩌면 좋은 행동일 수도 있다. 당신은 적의 이목을 끌어서 다른 사람을 구하고자 방아쇠를 당겼다. 여하튼 여기서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다. 그 행동은 왜 일어났을까? # 1초 전 책은 시간적으로 제일 가까운 차원부터 시작한다. 그 행동을 하기 ‘1초 전’에 그 사람의 머릿속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1초 전에 어떤 결정적 사건이 있었기에 그 친사회적 혹은 반사회적 행동이 벌어졌을까? 이것은 신경생물학과 관련된 이야기다. 여기서 우리는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을 부추기는 정서 활동에 있어서 ‘변연계’가 핵심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사실, 지적인 기능을 관장하는 겉질 중에서도 가장 최근에 진화한 부분인 ‘이마엽 겉질’이 행동 조절과 제약을 좌우한다는 것, 공포와 공격성에서 주된 역할을 맡는 것이 ‘편도체’라는 증거, 보상과 동기부여에 있어 ‘도파민 시스템’의 역할 등을 확인하게 된다. “한 연구에서 피험자들에게 구입할 수 있는 물품을 보여주었다. 이때 기댐핵 활성화 정도는 그 피험자가 돈을 지불할 가능성을 잘 예측했다. 그다음 그들에게 가격을 알려주었다. 만약 가격이 피험자가 기꺼이 지불하려고 했던 값보다 싸면, 정서를 담당하는 배쪽안쪽이마앞엽 겉질이 활성화했다. 더 비싸면, 혐오에 관련된 섬겉질이 활성화했다. 이 뇌 영상 데이터를 종합하면 피험자가 그 물품을 살지 말지를 예측할 수 있었다. 이처럼 전형적인 포유류에서 도파민 시스템은 좋은 놀라움과 나쁜 놀라움 둘 다를 폭넓은 범위에서 무척도적으로 암호화하고, 어제의 소식에 대응하여 끊임없이 습관화한다. 하지만 인간은 여기에 추가되는 점이 있다. 우리가 자연이 제공하는 그 어떤 쾌락보다 훨씬 더 강렬한 쾌락들을 발명해낸다는 점이다.” _ 중에서 # 몇 초에서 몇 분 전~몇 시간에서 며칠 전 이제 그보다 좀더 앞선 시점을 살펴보자. 어떤 시각, 청각, 후각 자극이 그의 신경계에 작용하여 그 행동을 일으켰을까? 또 몇 시간 전, 며칠 전에는 어떤 호르몬이 작용하여 그런 자극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쳤을까? 이 단계까지 시야를 넓혔을 때, 새폴스키는 ‘어떤’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신경생물학뿐 아니라 우리를 둘러싼 감각의 세계와 내분비학까지 동원한다. 이를 통해 감각 정보와 내수용 정보가 뇌에 영향을 미쳐 몇 초에서 몇 분 만에 행동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 시각이나 냄새나 복통이나 단어 선택, 그리고 그보다 더 미묘한 단서들이 무의식적으로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또 공격성 호르몬으로 알려진 ‘테스토스테론’에 대한 오해에서 벗어나 이 호르몬이 공격성을 ‘발명’해

Collections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