옮긴이의 말
시작하며
1장 / 오키나와전쟁으로 뒤엉킨 역사, 불가시화된 조선인
1. 오키나와전쟁 속 조선인들
2. 오키나와인과 조선인의 관계
3. 조선인과 오키나와인들의 위계질서를 넘어선 관계
2장 / 조선인들의 ‘전후’-수용·귀향·잔류
1. 미군의 점령정책 속 조선인들
2. 수용 후 두 갈래의 길-귀향하는 조선인과 오키나와에 잔류하는 조선인
3. 일본 ‘본토’와 오키나와의 입국(역) 관리체제-무국적자가 된 오키나와의 조선인
3장 / ‘오키나와’를 둘러싸고-국제적 동향과 내부의 저항운동
1. 미국의 군사전략 속 오키나와와 한국
2. 한일회담, 한일조약과 오키나와의 조선인
3. 탈식민지화를 향한 오키나와-『류다이분가쿠』와 복귀운동
4장 / 오키나와 내 조선인의 출현과 담론공간
1. 오키나와 내 조선인들의 출현
2. 주민이 주체가 된 오키나와전쟁의 기록운동과 조선인 담론
3. 담론공간을 둘러싼 사태-오키나와, 일본 ‘본토’, 한국정부
5장 / 오키나와 내 조선인의 행방-시정권 반환 이후
1. 조선총련과 일본인이 함께 한 오키나와전쟁 합동조사
2. 돈을 벌기 위해 오키나와로 건너온 한국인 노동자(1973~1976)
3. 배봉기의 등장
4. 결론-회귀하는 조선인들과 오키나와의 탈식민지화
나가며 | 오키나와의 조선인 관련 비 및 탑 소개
1. 백옥의 탑
2. 청구의 탑
3. 오키나와 병참 위령의 비
4. 통한의 비
5. 한국인 위령탑
6. 평화의 초석
7. 아리랑 위령 기념비
8. 유혼의 비
9. 아시아태평양전쟁·오키나와전쟁 피징발 조선반도 출신자 한의 비
10. 아리랑 비·여자들에게
저자 후기
참고문헌·영상·사이트
인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