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풀꽃 시인이 골라준 봄 햇살 아래 읽는 내 마음 같은 시들 인생이 항상 봄날처럼 내내 따뜻하기만 하면 좋겠지만, 봄날은 눈부시다가도 또 아쉽게 떠나가고, 잊혀질 즈음 해가 바뀌고 또 새롭게 찾아오고는 한다. 인생이 그렇고, 사랑도 그렇다. 새롭게 찾아오는 사랑과 잊혀져가는 사랑. 그 사이에 우리들 마음이 놓여 서성인다. 울고 싶어지지만, 소리내어 울지는 앉는다. 그렇게 울음을 참고 있다 보면 마음속으로부터 들려오는 소리들이 있다. 나태주 시인의 이야기다. 시인은 “그것이 바로 우리들의 시”라고 말한다. 그 말들이 바로 시이고, 이 봄에 우리가 마땅히 가져야 할 우리들의 마음인 동시에 시의 문장이라는 것이다. 마치 내 마음을 써놓은 것만 같은 시. 그리고 차마 어떻게 표현하지는 못했지만 읽는 순간 눈물이 나올 것만 같이,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시. 나의 봄날과 나의 인생을 보듬어 안아줄 시. 나태주 시인은 그런 시들을 모아 한 권의 시집을 만들었다. 봄 햇살 아래 읽을 수 있도록, 행복과 사랑과 희망을 담아서. “부디 당신도 그러시기를 바란다. 울고 싶지만 울지는 마시라. 그대 앞에 눈부신 봄이 있고 그 뒤에 그대의 인생이 기다리고 있다. 그대의 봄을 안고 그대의 인생을 안아보시라. 그대의 봄과 그대의 인생이 무언가를 말해 주리라. 부디 그 말을 잊지 마시라.” 행복과 삶과 사랑과 희망의 시,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읽다 이 시집에서는 나태주 시인의 시와 함께 세계적으로도 널리 읽히는 에밀리 디킨슨, 폴 엘뤼아르, 로버트 프로스트, 자끄 프레베르, 윤동주 시인 등의 명시도 소개한다. 크게 ‘행복, 삶, 사랑, 희망’이라는 네 가지의 주제로 작품이 구성되어 있으며, 1장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요’에서는 행복이 무엇인지에 관해 이야기 하는 시, 행복한 기운이 담긴 시를 만날 수 있고, 2장 ‘사랑하는 마음이란 어떤 걸까요’에서는 사랑하는 감정에 대해 표현한 시, 사랑의 기쁨과 슬픔을 말하는 시를 만날 수 있다. 3장 ‘삶이란 무엇일까요’에서는 삶을 살아가며 느끼는 다양한 생각, 삶이 무엇인지, 어떻게 살아가야 좋을지에 대해 쓰인 시를 만날 수 있고, 4장 ‘희망은 어디에 깃들었을까요’에서는 우리가 희망하는 것들, 희망이 깃들어있는 곳들에 대해 쓰인 시를 만나볼 수 있다. 수복 한아롱 작가만의 스타일로 그려낸 아름다운 수묵담채화와 캘리그라피는 시 작품들과 완벽한 조화를 이루어, 읽는 이로 하여금 작품 감상에 더욱 몰입할 수 있게 해준다. 우아하면서도 편안한 느낌의 그림이 시집과 잘 어울린다. 읽다보면 어느 문장에선가 멈춰 서서 가만히 바라보게 되는, 어느새 시가 나를, 나의 인생과 봄날을 가만히 안아주고 있음을 깨닫게 되는 그런 시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