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말, 글, 역사와 문화를 조우하는 어원의 인문학 말은, 곧 인간의 언어는 개개인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가장 보편화된 수단이다. 그와 동시에 셀 수 없이 오랜 시간 축적되어온 공통의 약속이기도 하다. 짤막한 단어 하나, 표현 하나에도 인류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가 내포되어 있을뿐더러, 여전히 그 표현 아래에는 장대한 세월이 살아 숨 쉬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흔히 ‘말에는 영혼이 있다’ ‘말 뒤에 말이 있다’는 표현을 사용하곤 한다. 그리고 그 ‘말’ 뒤에 숨어 있는 인류 역사 수천 년을 이 책 《어원이 인문학이다》가 영어의 어원으로써 풀어낸다. 역사 이야기는 늘 흥미롭다. 한국사든 세계사든. 역사와 얽힌 이야기, 역사에서 파생된 말은 수도 없이 많다. 해당 언어권의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알지 못하면, 즉 인문적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도 셀 수 없이 많다. 지구가 하나의 마을이라 불리는 오늘날, 국제 공용어인 영어는 어른부터 어린아이까지 두루 배우는 외국어가 되었다. 《어원은 인문학이다》는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영어의 뿌리를 향해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 한국까지, 더는 낯설기만 한 외국어가 아닌 영어의 어원을 만난다. 오늘날 지구촌 공용어인 영어에는 어떤 흥미진진한 역사와 문화, 지식이 담겨 있을까. 어원의 끝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말을 읽고, 인류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문화와 역사를 빚어내는 어원과의 여행을 떠나보자. 영어에서 캐낸 소소한 재미와 확실한 교양으로 가볍게 읽어도 폭넓은 상식이 축적되는 책 ‘플라톤의 사랑’ 즉 플라토닉 러브가 정말로 남녀 간의 순수한 정신적 사랑을 뜻하는 것일까? 우리가 흔히 쓰는 ‘나이스’와 ‘프리랜서’는 원래 어떤 뜻일까? ‘극단적 배타주의자’를 뜻하는 ‘쇼비니스트’는 어떻게 시작된 말일까? ‘턱시도’가 아메리카 원주민의 종족 이름이었다는 것을, ‘세뇌’를 뜻하는 영어가 한국전쟁에서 시작되었다는 사실을, ‘상하이’라는 영어 단어가 있다는 이야기를 혹시라도 몰랐다면, 지금부터 이 책을 통해 알게 된다. 우리에게 가장 친근한 외국어인 영어의 어원을 찾아가는 여정을 너무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영어에서 캐낸 소소한 재미와 확실한 교양이 읽는 즐거움을 더해줄 뿐이다.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장대한 인류의 역사와 문화를 흥미진진하게 전달해주는 동안, 우리는 옛이야기를 읽는 기분으로 지식을 축적해간다. 단어의 현재적 의미뿐 아니라 그 뿌리를 찾아 본래의 의미를 찾아 나서다 보면, 어느덧 당시 사람들이 단어를 만들면서 불어넣었던 고유한 의미와 조우한다. 어원을 확인하는 과정은 곧 인류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시간이기에, 하나하나의 어원을 알아갈 때마다 그 속에 숨어 있던 역사가 펼쳐진다. 그리고 영어의 어원을 통해 더 넓은 세상으로 시야가 넓혀진다. 그때마다 차츰 우리와는 다른 타인을 이해하는 폭이 넓어진다. 그만큼 새로운 세상이 열려간다. 내가 모르는 이야기, 혹은 어쩌면 알고 있던 이야기에서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충분하다. 오랜 역사와 문화가 켜켜이 쌓여 있는 ‘어원’을 통해 영어와 역사와 폭넓은 지식과 상식이 내 안에 스며들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어부터 라틴어와 프랑스어, 한중일 삼국에서 기원한 현대 영어까지 두루 아우르는 지식의 향연 《미움받을 용기》로 유명한 기시미 이치로는 출판계에서 ‘추천사를 쓰지 않는 작가’로도 유명하다. 그랬던 그가 드물게 한국어판 특별 추천사를 냈다. 한국의 많은 독자들이 이 책을 읽으시기를 기대한다는 바람을 담아. 추천한 이유는 명료하다. 그리스어와 그리스철학이 전공이었던 그리고 현재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그 작가의 눈에도 깜짝 놀랄 만큼, 영어의 어원 가운데 하나인 고대 그리스어가 완벽한 해설과 함께 담겨 있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시작된 어원의 역사적 이야기는 라틴어와 프랑스어,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와 한중일 삼국에서 기원한 현대 영어까지 모두 아우른다. 그러나 영어의 어원을 찾아가는 이 여정을 너무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너무 무겁거나 딱딱하지 않게, 쉬운 언어로 명료하고 재미있게 풀어간다. 오히려 재미있는 역사책 한 권을 읽으면서 그와 관련된 지식까지 함께 습득하는 셈이다. 흥미진진 영어를 둘러싼 역사와 문화, 지식의 향연이 지금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