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의 과학

Hannah Critchlow
344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2(92)
0.5
3.5
5
Rate
3.2
Average Rating
(92)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오랜 세월동안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다르다고 여겨졌다. 자유의지를 가지고 태어나 온전한 의식을 갖추고 살아가는 생물이 바로 인간이라 믿었다. 그러나 자유의지가 없다면? 만약 우리의 삶이 대부분 미리 정해져 있고 이는 우리의 뇌와 연결되어 있으며 우리가 점심 메뉴를 고르는 것이나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 심지어 우리가 무언가를 믿고 선택한 것이 사실은 진짜 선택이 아니라고 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영국 왕립 헌장을 받은 왕립기관 과학위원회가 선정한 영국의 선도적인 실천 과학자 100인이자 대표적인 과학 커뮤니케이터 10인 중 한 명인 한나 크리츨로우 박사는 최신 뇌 과학과 신경과학을 근거로 인간의 운명과 자유의지에 관해 설명한다. 눈부시게 발전해온 과학기술은 인간이 자유의지를 가진 주체적인 존재가 아니라 무의식과 생물학적 요소에 큰 영향을 받는 생물임을 밝혀왔다. 만약 자유의지가 없다면, 우리가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어떻겠는가. 극단적인 비관주의와 이기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하지만 한나 크리츨로우 박사는 우리가 운명과 인생을 통제할 수 없지만 그것이 비관주의와 이기주의라는 나쁜 방향으로 빠져들 필요가 없음을 말한다. 우리를 생각하고 행동하게 만드는 뇌와 의식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2(92)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0+

Table of Contents

1. 자유의지냐 운명이냐 내가 말하는 운명과 자유의지의 정확한 의미 뇌 과학의 황금기 뻥튀기 신경과학을 피하라 나는 어쩌다 뇌 과학에 빠져들었나 생물학적 운명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이기 2. 발달 중인 뇌 날 때부터 운명이 정해진다? 10대는 선천적인 산물인가, 후천적인 산물인가? 여기서부터는 온통 내리막? 3. 배고픈 뇌 케일이냐 도넛이냐? 우리는 어떻게 선택하는가 인류는 선천적으로 과식을 하도록 태어났나? 건강한 식습관은 엄마의 배 속에서 시작된다 진화, 후성유전학, 식습관 살찔 수밖에 없는 운명에서 벗어나기 4. 보살피는 뇌 섹스는 어떻게 우리를 사랑에 빠뜨리는가 육아 본능에 대한 놀라운 진실 기쁨, 성격, 사회적 뇌 5. 지각하는 뇌 맞춤형 현실 우리의 서류철에 존재하는 결함 감각 과부하와 못 믿을 현실 대안의 지각 방식 결함 해결하기 - 집단의식 지각, 편견, 운동 쇼비니즘 6. 믿는 뇌 신념은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 신념은 지각의 부산물이다 똑똑하지만 우리만 그런 것은 아니다 어떻게 그리고 왜 우리는 신념에 그렇게 매달리는가? 정말 생각을 바꿀 수 있을까? 치료로서의 신념 변화 신념, 운명 그리고 자유의지 열린 마음 연습하기 7. 예측 가능한 뇌 미래를 바꾸기 위해 미래를 예측하기 미래를 아는 데 따르는 위험은 무엇일까? 고통스러운 운명을 바꾸기 아는 것의 한계 어째서 어떤 사람은 자신의 운명을 피할 수 있고, 어떤 사람은 안 그럴까? 건강이 아닌 행동 예측하기 8. 협동하는 뇌 인간의 타고난 본성이라는 미신 신경과학을 현실에 적용하기 새로 등장하는 연민의 신경과학 연민에 바탕을 둔 마음가짐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이유 에필로그 감사의 말 참고문헌

Description

영국 아마존 베스트셀러 선데이 타임스 탑 텐 베스트셀러 우리는 운명론적 존재인가, 자유로운 존재인가? 최신 신경과학에서 밝혀진 연구 자료를 통해 인간의 몸과 뇌 그리고 마음을 알고 이해를 높여 인지의 저변을 넓히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자 오랜 세월동안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다르다고 여겨졌다. 자유의지를 가지고 태어나 온전한 의식을 갖추고 살아가는 생물이 바로 인간이라 믿었다. 어떤 결정을 내릴 때 자유로운 주체로서 누굴 만날지, 어떤 음식을 먹을지 결정하며 살아가는 누구보다 자유로운 생물이이라 여겼다. 그러나 자유의지가 없다면? 만약 우리의 삶이 대부분 미리 정해져 있고 이는 우리의 뇌와 연결되어 있으며 우리가 점심 메뉴를 고르는 것이나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 심지어 우리가 무언가를 믿고 선택한 것이 사실은 진짜 선택이 아니라고 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영국 왕립 헌장을 받은 왕립기관 과학위원회가 선정한 영국의 선도적인 실천 과학자 100인이자 대표적인 과학 커뮤니케이터 10인 중 한 명인 한나 크리츨로우 박사는 최신 뇌 과학과 신경과학을 근거로 인간의 운명과 자유의지에 관해 설명한다. 눈부시게 발전해온 과학기술은 인간이 자유의지를 가진 주체적인 존재가 아니라 무의식과 생물학적 요소에 큰 영향을 받는 생물임을 밝혀왔다. 만약 자유의지가 없다면, 우리가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어떻겠는가. 극단적인 비관주의와 이기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하지만 한나 크리츨로우 박사는 우리가 운명과 인생을 통제할 수 없지만 그것이 비관주의와 이기주의라는 나쁜 방향으로 빠져들 필요가 없음을 말한다. 우리를 생각하고 행동하게 만드는 뇌와 의식이 있기 때문이다. 불안과 공포증 등 질환들은 자녀에게도 이어질까? 우리 몸의 유전자와 뇌는 음식 결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인간은 어떻게 이상적인 파트너를 찾도록 되어 있을까? 최신 뇌 과학, 신경과학 최신 연구 결과로 인간의 운명과 자유의지를 파헤치다! 많은 사람들은 인간은 운명대로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라 자유롭게 운명을 만들어가는 존재라 생각한다. 그러나 최신 신경과학과 뇌 과학은 우리의 생각과 반대되는 결과를 밝혀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벤저민 리벳 교수의 손목 움직이기 실험, 리처드 탈러의 넛지 이론 등 많은 실험들이 인간은 선천적인 생물학적 운명과 주변 환경에 의해 살아가는 존재라는 사실을 말해왔다. 우리는 생각만큼 자신의 운명을 통제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할 수밖에 없다. 선천적인 생물학적 요소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생각 이상으로 우리가 무언가 하겠다고 의식적 결정을 내리기 전에 무의식에서 영향을 발휘한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인간에 대한 이해가 시작될 것이다. 한나 크리츨로우 박사는 최신 신경과학, 뇌 과학 연구를 통해 개인의 자율성과 자유의지가 갖고 있는 한계를 밝혀내고 있다. 우리가 아는 것 이상으로 훨씬 많은 부분이 신경생물학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말한다. 음식 선택과 파트너 선택이라는 가장 기초적인 부분부터 신경생

Collections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