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을 열며 강의실을 개방하다 004 1부 기호학 기호학, 미술의 이름을 부르다 1교시 강의 강의를 시작하며 017 우리가 알아야 할 기호학자는 누구인가? 020 소쉬르 기호학의 핵심은 무엇인가? 022 라캉, 소쉬르의 도식을 전복하다 027 퍼스는 왜 포스트모더니즘에서 환영받는가? 035 바르트: 사진에의 관심, 신화에의 각성, 저자의 죽음 040 데리다, 언어를 의심하다 046 심화 발제로의 진행을 위해 054 강의 후 와글와글 058 2교시 심화 발제 기호학과 미술사 방법론 들어가며 063 Ⅰ. 기호학적 미술사 연구의 대표사례 064 Ⅱ. 기호학적으로 읽은 홀바인의 <죽은 그리스도> 069 발제를 마치며 081 3교시 응용 발표 Case 1. 빅터 버긴 083 Case 2. 제니 홀저 087 Case 3. 바바라 크루거 092 Case 4. 마사 로슬러 096 Case 5. 사이 톰블리 100 Case 6. 최정화 104 2부 정신분석학 정신분석, 미술의 심리를 분석하다 1교시 강의 강의를 시작하며 119 꼭 알아야 할 정신분석학자 3인: 프로이트, 클라인, 라캉 119 클라인, 초기 주체의 인식 형성에 대해 탐구하다 127 대상관계 이론과 영국(유럽)의 정신분석학계 133 ‘중심화된 주체’에서 ‘탈중심화된 주체’로 바뀌다 137 라캉, 시각과 연관하여 주체를 분석하다 140 주체의 인식은 왜 ‘부분’에서 ‘전체’로 나아가는가? 148 심화 발제로의 진행을 위해 153 강의 후 와글와글 155 2교시 심화 발제 정신분석학과 미술사 방법론 들어가며 159 Ⅰ. 1990년대 이후 정신분석학 담론의 전 161 Ⅱ. 멜라니 클라인의 ‘부분대상’으로 읽는 여성 작가들의 신체 중심적 작품. 170 발제를 마치며 178 3교시 응용 발표 Case 1. 필립 거스톤 183 Case 2. 게르하르트 리히터 188 Case 3. 로버트 고버 193 Case 4. 루카스 사마라스 198 Case 5. 야요이 쿠사마 202 Case 6. 에바 헤세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