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 하먼의 새로운 제국주의론

크리스 하먼
192p
Where to buy
content
Rate
4.7
Average Rating
(3)

마르크스주의 용어인 '제국주의'라는 낱말은 이제 강대국의 횡포를 뜻하는 정도의 말로 누구나 느슨하게 사용하는 말이 됐다. 그러나 정작 그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이고 어떤 동역학으로 움직이는지는 말하는 사람마다 제각각이다. 이 책은 레닌, 부하린, 홉슨, 카우츠키, 힐퍼딩, 로자 룩셈부르크, 스탈린, 바란, 군더 프랑크, 네그리, 홀러웨이 등 다양한 '제국주의론들' 사이의 논쟁의 역사를 다룬다. 또한 고전적 제국주의 시대, 냉전 시대, 오늘날 '세계화'시대의 제국주의가 각각 어떻게 다른지 파고든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제1부 고전적 제국주의론 제국주의론에 대한 비판들 독점, 국가, 금융자본 부하린과 전쟁몰이 레닌, 제국주의, 식민지 나라들 제2차세계대전 ― 제국주의론의 확인 제2부 냉전 시기의 제국주의 유럽 제국들의 종식 식민주의 이후의 제3세계 ― 가혹한 현실의 수용 제3부 제국주의와 ‘세계화’ 국가, 자본, ‘세계화’ 미국 ― 헤게모니, 군대, 제2차 냉전 두 전략의 실패 새로운 미국의 세기 프로젝트 새로운 제국주의와 오늘날의 미국 경제 경쟁하는 제국주의들 전쟁, 착취, 제3세계 오늘날의 반제국주의 정치 미국 제국주의의 딜레마 후주

Description

마르크스주의 용어인 ‘제국주의’라는 낱말은 이제 강대국의 횡포를 뜻하는 정도의 말로 누구나 느슨하게 사용하는 말이 됐다. 그러나 정작 그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이고 어떤 동역학으로 움직이는지는 말하는 사람마다 제각각이다. 크리스 하먼의 이 짧은 소책자는 이러한 다양한 ‘제국주의론들’ 사이의 논쟁을 다루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 논쟁은 역사가 제법 길다. 레닌이 유명한 소책자 ≪제국주의 ―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를 쓴 것 자체가 카우츠키의 초제국주의론을 비판하기 위해서였다. 레닌, 부하린, 홉슨, 카우츠키, 힐퍼딩, 로자 룩셈부르크 등은 제국주의의 동역학을 각각 다르게 설명했고 강조점도 달랐다. 크리스 하먼은 여기서 더 나아가 스탈린이 레닌의 제국주의론을 얼마나 앙상하게 희화화했고, 그것이 어떻게 폴 바란과 안드레 군더 프랑크의 종속이론으로 이어졌는지 보여 준다. 또 이 종속이론과 (전혀 공통점이 없어 보이는) 오늘날의 자율주의 ‘제국’론 둘 모두 결국은 레닌이 그토록 비판한 카우츠키의 초제국주의의 한 변형이거나 재탕일 뿐임을 설득력 있게 보여 준다. 이 책은 레닌을 무비판적으로 지지하지도 않는다. 레닌의 제국주의론의 약점이 무엇인지도 철저하게 살핀다. 또한 고전적 제국주의 시대, 냉전 시대, 오늘날의 ‘세계화’ 시대의 제국주의가 각각 어떻게 다른지 파고든다. 특히 오늘날 ‘세계화’ 시대의 상식으로 통하는 주장들이 대체로 부정확하거나 과장돼 있음을 밝히는 부분은 꼭 읽어 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