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컬처계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가이드

손지상
560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8(18)
0.5
4
5
Rate
3.8
Average Rating
(18)
Comment
More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

21세기인 현재 우리가 즐기고 있는 서브컬처의 계보와 역사, 흐름을 정리한 이론서.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Rating Graph
Avg 3.8(18)
0.5
4
5

🏛️ 왓챠 취향박물관 Opening Soon!

9/15 ~ 9/21, 취향을 등록해 전시에 참여하세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서론 내 기억 속 서브컬처는 왜 죄다 외국 것일까 우리 문화의 흑역사 외국의 영향을 받은 게 과연 잘못일까 이 책에서는 서브컬처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column 샤아여, 무엇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겁니까 1부 한국 서브컬처에 필요한 것 화물숭배: 그저 재미만 있으면 된다는 위험한 생각에 대하여 column 미국?소련?일본에서 SF가 자리 잡은 배경 오토 매크로처럼 작동하는 인간의 뇌 농땡이까지 부리는 인간의 뇌 상호텍스트성과 아하! 체험 드래곤볼과 블랙 팬서: 장르와 시간을 넘나들며 발견하는 상호텍스트성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 가야 할 명작과 교양 서브컬처 시스템: 유기체가 아니라 생태계 웹툰과 출판만화는 과연 같을까 column 기믹, 가젯, 클리셰 정확히 어떤 뜻인가? 2부 현실을 전복시키는 상상력 세계적인 카운터컬처/서브컬처의 역사 서브컬처의 엑기스: 전기적 상상력 양날의 검, 전기적 상상력의 위력과 위험 _사랑도 한때는 전기적 상상력이었다 _현실과 과거의 역사까지 왜곡하려 드는 전기적 상상력 _1970~1980년대 서브컬처가 낳은 괴물 _전기적 상상력의 부작용 in 우리나라 _올바른 전기적 상상력으로 우리가 얻는 것 column 일본사람들은 왜 재일교포하면 박치기를 떠올릴까 일본에 자리 잡은 전기물 1890~1900년대 코단속기본과 요미모노 1910~1930년대 소년소설과 창작 코단, 구극과 시대극의 분리 _코단샤 창업 _구극과 시대극 1910~1930년대 타츠카와분코 _라이트노벨 in 1920's _‘괴웅 손오공’의 일부 1940~1950년대 시대 전기소설, 검호와 닌자 1940~1950년대 시바타 렌자부로의 댄디즘 _거짓말, 꽤 괜찮은 장사 _극한체험이 낳은 댄디즘 1950년대 닌자물의 융성 _사회의 톱니바퀴, 직장인과 닌자 _요코야마 미츠테루 _시라토 산페이 1960년대 스포츠 근성물과 시대를 잘못 만난 남자 _데즈카 오사무를 울린 스포츠 근성물 _카지와라 잇키 _허구와 현실을 섞는 전기적 수법 _소년소설가 카지와라 잇키 __‘아이와 마코토’ 만화 스토리 원고 __‘소설 가라테 바보의 일생’의 일부 __‘리키도잔 미츠히로’의 일부 1970년대 국민작가 1970년대 전기SF, 전기로망 _라이트노벨의 기초를 닦은 히라이 카즈마사의 울프가이 _1980년대 이후의 일본 서브컬처의 바탕을 만든 왕, 한무라 료 __전기SF/전기로망의 탄생 __별세계로 이끄는 서스펜스 기법 __앨런 무어, 영국의 한무라 료 __전기, 일은 점점 커지는데 끝은 나지 않는 이야기 1970년대 나가이 고와 다이나믹 프로덕션의 괴인들 _나가이 고라는 전기적 상상력 _폭주하는 이시카와 켄, 이해 불가능한 카제 시노부 1970년대 초전기, 신본격 _아라키 히로히코, 또 다른 시대착오 전기적 상상력 1980년대 초전기 바이올런스, 유메마쿠라 바쿠와 키쿠치 히데유키 _전기소설의 한계점, 비약하되 현실에 발을 디뎌라 _1980년대 일본 서브컬처와 폭력 1980년대 위사와 크툴루와 하루키 _크툴루와 일본 _크툴루와 전기물 _크툴루와 하루키 _하루키와 옴진리교 1980년대 신본격 추리소설 _신본격은 무의미한 단어? _본격 추리과 마술의 관계 _신본격: 퍼즐러의 부활과 노벨스 시장 _신본격을 정하는 기준과 조건 1990년대 라이트노벨 전기, 판타지, 비주얼노벨 게임 _위화감이 느껴지는 1990년대 판타지 _스타일로 남은 라이트노벨 전기 1990년대 김전일과 비주얼노벨 _다각화하는 신본격 제2스테이지 _울게 하소서 2000년대 신전기, 라이트노벨 _소녀 환상과 몰락한 마초이즘 _타입문과 ‘공의 경계’ _이능력 배틀물의 근원에 있는 것 3부 바다를 건너는 서브컬처 1. 전기와 무협은 어떻게 다른가 중국 무협은 왜 명·청대에 머물까 _지역마다 다른 모습을 보이는 전기적 상상력 _무협 속 무공과 실제 무술 _무술은 왜 부풀려지는가 현실에 머무르며 체념하는 일본의 전기물 _선과 악이 합을 이루고 있는 사회 _카타기 대 야쿠자, 햇님 보기 부끄럽지도 않느냐 2. 일본인은 무협을 모른다 쿵후는 알아도 무협을 모르는 일본 이소령과 성룡 그리고 한국 _이소룡은 한국에서 인기가 있었나 _그래도 성룡을 발견한 건 우리 홍콩 무술영화는 어떻게 일본에서 인기를 얻었나 _일본 검술영화를 모방하던 홍콩 무협영화 _영화 속 쿵후와 실제 쿵후 _죽은 이소룡을 흠모한 나라, 일본 _성룡을 사랑한 나라, 일본 _일본만화 속 쿵후영화 3. 홍콩 인베이젼: 홍콩 무술영화와 미국의 서브컬처 노동자 계급의 영웅, 동양의 무술가 치바 신이치가 미국에 남긴 것 슈퍼플라이 배드 머더 블랙스플로이테이션 갱단과 홍콩 무술영화 _영화 워리어스는 실화? _폐허의 왕들 _내 아들은 평화를 위해 죽었다 힙합의 탄생과 홍콩 무술영화 _새로운 문화의 탄생 _화권수퇴: 브레이킨과 보깅 _서부를 지켜라, 쿵후 케니 4. 북두의 권으로 살펴보는 일본만화의 숨은 뼈대 나의 ‘북두의 권’ 체험 소년만화와 코단 _단편의 중요성 _요미키리의 역할 _코단에서 소년만화로 _요미키리 만드는 법 _소년만화 주간연재의 본질 대하장편 유기체 구성 _대하장편 유기체 구성이란 _요미키리 능력이 없으면 대하장편도 불가능 _소년만화의 위기, 잊혀져가는 본질 _전개 속도가 느려지는 소년만화 _칼같이 자른다더니 질질 끄는 장기연재 _북두의 권 이후 드물어진 1화 완결식 구성 _배틀물화 = 대하장편 유기체 구성 _북두의 권이 탄생하게 된 배경 _일본만화의 원작자 _‘북두의 권’ 성립 경위 _‘매드 맥스 2’의 영향은 언제 들어왔나

Collections

2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