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언자와 보낸 마지막 하루

손홍규 · Novel
396p
Where to buy
content
Rate
3.0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이야기로 하여금 인간을 그리고 스스로를 탐색케 하는 소설 본연의 기능을 잘 지켜 내는 작가 손홍규의 새로운 장편소설. 여러 작품을 통해 시대의 아픔과 인간의 절망을 밀도 있게 그려 왔던 작가는 이번엔 네 개의 시대 속 상실을 펼쳐 놓는다. 제목과 차례에서 보여 주듯, 소설은 인물들의 ‘마지막 하루’를 향해 나아간다. 마지막에서 비롯된 이야기가 종내 마지막으로 향하는 것이다. 고통과 슬픔으로 점철된 마지막 순간, 옅어져 가는 존재가 느끼는 희미하지만 분명한 촉감과 온기. 그것은 함께 있지 않아도 곁을 지키는 사랑하는 이의 손길과 마음이다. 그 감각이 그들 또 우리로 하여금 죽음으로써 삶을 보게 한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Ⅰ 1. 1895년 4월 24일 ? 07 2. 1956년 7월 19일 ? 38 3. 2009년 5월 23일 ? 70 4. 2014년 4월 16일 ? 99 Ⅱ 5. 1895년 4월 24일 ? 135 6. 1956년 7월 19일 ? 168 7. 2009년 5월 23일 ? 200 8. 2014년 4월 16일 ? 230 Ⅲ 9. 1895년 4월 24일 ? 263 10. 1956년 7월 19일 ? 295 11. 2009년 5월 23일 ? 329 12. 2014년 4월 16일 ? 361 작가의 말 ? 394

Description

1895년, 1956년, 2009년, 2014년……. 어둡고 쓰라린 과거 속에서 마주한 상처 입은 면면 그들이 남긴 상흔이 말해 주는 쓸쓸하고 먹먹한 이야기 마음에 깊은 고요를 만들고, 그 안에 많은 사유를 담는 작가 스치듯 지나가게 두지 않는다. 지긋이 바라보도록 붙든다. 그러고는 우리 마음속 깊은 곳, 아주 깊은 곳에서 무언가를 길어 올린다. 이야기로 하여금 인간을 그리고 스스로를 탐색케 하는 소설 본연의 기능을 잘 지켜 내는 작가 손홍규의 새로운 장편소설이 출간됐다. 2001년 등단 이후 노근리 평화문학상, 백신애문학상, 오영수문학상, 이상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문단에서 입지를 굳혀 온 작가는 꾸준하고 끈기 있게 자신만의 소설 세계에 깊이를 더하고 있다. 빠르게 흐르는 이야기, 좁은 보폭으로 달리는 문장들이 넘치는 가운데 손홍규식 속도와 무게와 시선은 더욱 빛을 발한다. 《예언자와 보낸 마지막 하루》는 그것을 증명하는 소설이다. 네 개의 다른 이야기, 그것을 관통하는 하나의 감각 고통과 절망을 에우는 꿈 그리고 사랑을 말하다 여러 작품을 통해 시대의 아픔과 인간의 절망을 밀도 있게 그려 왔던 작가는 이번엔 네 개의 시대 속 상실을 펼쳐 놓는다. 서글픈 현실, 존재적 슬픔, 닥쳐온 절망……. 멍든 이야기 속 끝내 스러진 숨을 마주하게 하면서도, 작가는 우리를 캄캄한 어둠에 가두지 않는다. 누군가의 꿈이었던 이들의 존재 가치, 그들이 굳게 품었던 곧은 신념, 내가 아닌 우리를 위해 노래한 희망, 생을 잃는 순간까지 잊지 않은 사랑……. 어쩌면 그들이 떠난 자리에서 아직 온기가 느껴지는 이유는 바로 어둠보다 빛에 가까운 이 기운들 때문일 것이다. 옅어지는 존재, 그럴수록 짙어지는 삶 차가운 죽음이 피워 낸 생의 뜨거운 순간들 제목과 차례에서 보여 주듯, 소설은 인물들의 ‘마지막 하루’를 향해 나아간다. 마지막에서 비롯된 이야기가 종내 마지막으로 향하는 것이다. 하지만 죽음이 비추는 것은 삶이다. 차가워지는 손끝은 삶의 가장 뜨거운 순간을 소환해 낸다. 작가는, 죽음으로써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 생의 마지막 지점을 향할수록 존재는 점점 옅어지고 삶은 점점 짙어진다. 저마다의 삶 속에서 운명을 결정지은 사건들이 깨진 파편처럼 자신을 비추고 또 찌른다. 지켜 온 신념과 굳게 한 약속들은 몰아치는 불안과 옭아매는 고뇌가 되어 죽음의 색으로 삶을 물들인다. 고통과 슬픔으로 점철된 마지막 순간, 옅어져 가는 존재가 느끼는 희미하지만 분명한 촉감과 온기. 그것은 함께 있지 않아도 곁을 지키는 사랑하는 이의 손길과 마음이다. 그 감각이 그들 또 우리로 하여금 죽음으로써 삶을 보게 한다. 형체 없는 존재가 남긴 짙은 흔적을 들여다보다 소설을 이루는 그 어떤 요소보다 그들이 ‘꾸었던 꿈’에, ‘잡았던 손’에 주목해 주기를 바란다. 그 희원이 품은 순수한 간절함과 그 온기가 지닌 무엇보다 강한 힘을 저마다의 감각으로 곁에 두기를 바란다. 누군가의 세상이기도 한 우리는 어떤 세상을 꿈꾸고 있는지, 생의 마지막 순간 비치는 우리의 삶은 어떤 모습일지, 우리가 간직하고 있는 온기가 누구로부터 비롯된 것인지 생각해 보길 바란다. 월간 《문학사상》에 연재되는 동안 다 보이지 않던 이음새들을 발견하는 기쁨이,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큰 부피의 이야기가 읽는 내내 마음을 채우는 감동이 존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