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Part 1 1 길과 필지, 블록 도시경관과 도시조직 불규칙한 가로망과 부정형 필지 길과 필지가 만나는 방식: 나무 구조 vs. 그물망 길의 위계와 성격: 통로 vs. 공공공간 격자형 가로망과 정형화된 필지블록의 등장 도시 구성요소로서 블록 필지와 도시의 매개체인 블록의 부재 서울의 구성단위로서 길과 필지 영역 2 건물 필지와 건물 길과 건물 가로선과 건축선 사이 공간: 건물 사이의 틈 사선제한이 만든 건축 필지단위의 건축규제 서울은 도시건축의 유형이 없다 도시건축의 고층화: 다세대와 근생 도시건축의 유형적 지속성 아파트와 단지 3 영역 서울 경계의 확장과 도성의 해체 시가지의 계획적 확장 간선가로망과 필지구획 토지구획정리사업: 조정의 수단에서 개발의 도구로 전원주거지에서 도심주거지로 강남: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만든 격자형 도시 토지구획정리지구에서 가로체계의 충돌 평면적 도시계획 동심원 구조에서 다중심의 네트워크 구조로 서울은 중심이 없는 도시 Part 2 4 슈퍼블록 근대 도시와 슈퍼블록 서울 슈퍼블록의 특징 슈퍼블록이 형성된 과정 불완전한 하우스마니제이션 강남 슈퍼블록의 계획 동아시아 도시모델로서 슈퍼블록 가로망의 이중구조: 자동차와 보행자의 공존 강남 어바니즘: 도심 속 마을 여의도와 강남의 차이 잠실 저층 주거지 슈퍼블록 슈퍼블록의 단면: 딱딱한 껍데기와 부드러운 속 5 조각보 필지조각들 서울의 대형 필지 필지의 분할과 합병 대형 패치로서 아파트 단지 도심재개발 주택재개발 출구 없는 저층 주거지 재생 중간건축의 모호성 왜곡된 지구단위계획, 조각난 정비계획구역들 6 시설의 배치 가로변 상점의 배치 자본주의적 도시화와 노선상가의 발전 가로변 주상복합건축 용도지역제의 도입 중심상업업무지구 도심공업지대 노선상업지역 가로변 근생 주거지의 상업화 고시원: 근생의 주거화 Part 3 7 가로경관 도시공간으로서 가로 옛 서울의 가로경관 서울 가로경관의 근대적 변화 가로변 건물의 높이제한 노선미관지구 가로경계의 모호성 상업가로의 입면 가로공간의 설계 8 공공공간 도시 외부공간 사적 공공공간 서울의 공지 세운상가 에피소드 광장의 이식: 교통광장 서울의 광장 만들기: 시청 앞 광장과 광화문광장 공공공간으로서 도시공원 남산과 궁궐의 공원화 일제강점기 경성의 공원계획 공원의 해제와 개발 이전 적지의 공원화 9 자연 서울: 자연 속의 도시 내사산의 침식 자연 속 도시에서 도시 속 자연으로 하천 복개: 공유수면의 택지화 한강의 도심하천화 단절된 레벨과 경계들 복원된 자연 서울의 경관계획과 자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