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며 | 7 서론·21 1부 이론적 배경·47 더글라스와 크리스테바의 비체 이론 53 | 이리가레의 성차 이론 78 2부 그로츠: 뫼비우스 띠로서 몸 1 몸을 다시 사유하기: 여성 몸의 재형상화·91 여성의 몸: 억압의 공유점이자 저항의 공간 92 | 몸의 이중성 95 | 총체적인 지각변동의 필요성 104 2 몸 논의의 구조·111 페미니즘적인 비판의 정교화 111 | 이론적 초점의 이동 115 | 몸의 재형상화를 위한 세 가지 모델 122 3 섹스화된 몸과 성차·129 성차 130 | 유체의 은유 140 4 짚어가기·156 몸의 이중적 측면은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가 157 | 몸 이론과 여성 몸의 재형상화 간의 부조화 159 | 남/여 이원론으로 축소된 성차 162 3부 버틀러: 물질화된 몸과 비체화된 존재들 1 문제틀의 전환: 물질성의 중시에서 물질화 규범의 문제로·171 몸의 문제를 논하는 이유 172 | 존재론적 긍정을 넘어서 175 | 구성 개념을 다시 사유하기 178 2 몸의 물질성과 ‘비체’·184 물질과 의미화 작용 184 | 권력역학의 효과로서 물질성 189 | 경계 설정으로서의 몸: 물질성과 비체 194 3 물질화 규범으로서 섹스·200 성별 이원론체계로서의 젠더 200 | 섹스와 젠더의 관계 206 | 물질화 규범으로서 섹스 211 | ‘여성적 특수성’의 강조에 대한 문제제기 232 4 짚어가기·237 물질의 실존에 관한 문제, 그리고 문제틀의 전환 238 | ‘현실’과 맞닿아있는 정치적 실천 250 | 이원론을 넘어서는 성차 256 | 존재론과 인식론의 뒤섞임 270 토대와 관련된 질문들 275 | 토대적 범주에 의존하지 않는 전복 가능성 283 4부 그로츠와 버틀러의 몸 이론 비교 1 본질주의/구성주의·301 그로츠: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긍정 302 | 버틀러: 구성 개념의 재사유를 통한 존재론/인식론 구분 해체 308 2 섹스/젠더·315 그로츠: 젠더 개념의 폐기 316 | 버틀러: 규범적 권력으로서의 섹스와 젠더 323 3 성차와 섹슈얼리티·330 그로츠: 유동성과 고정성 사이의 갈등 331 | 버틀러: 남/여 이원론에 한정되지 않는 성차들 339 4 ‘여성의 몸’·350 그로츠: ‘여성의 몸’의 자명성 351 | 버틀러: ‘여성의 몸’의 해체 360 결론·367 참고문헌 |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