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모두가 알고 있지만, 누구도 말하지 못한 이야기
21세기의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비민주적인 요소들에 대한 현직 교감의 고백과 반성
민주적인 학교를 위하여
사람들은 학교가 가장 민주적인 곳이고, 학교가 민주주의를 가르치고 있고, 민주적인 학교 교육이 대한민국에 민주주의를 확산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솔직히 말하자면, 학교는 그동안 한 번도 민주적인 적이 없었다. 학교는 철저하게 외부와 차단되어 있었고 교실은 교사의 왕국이었다. 학교의 최고 책임자인 교장은 민주적이지 않았으며, 그런 교장에게서 민주적인 경험을 하지 못한 교사들은 교실에서조차 학생들에게 민주주의를 가르치지 못했다.
민주적인 학교는 관리자와 교사의 민주적인 관계와 문화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는 다시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이 민주적인 관계를 만들어가는 출발점이 된다. 현직 초등학교 교감인 저자는 이런 확신에서 21세기의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비민주적인 요소들을 내부고발자의 심정으로 담아냈다.
학교의 민낯_ ‘이런 게 학교라니’
1부 ‘학교의 민낯’에서는 ‘술을 잘 먹는 교사가 일도 잘하고 우수한 교사이며 승진도 하게 된다’는 비정상적인 논리를 내뱉는 등의 부끄러운 관리자의 모습을 드러내 보인다. 또한 비민주적인 문화를 체득해야만 승진할 수 있고 그것이 악순환 되는, 자습은 시켜도 표가 나지 않지만, 공문을 놓치면 무능한 교사가 되는 등의 비민주적인 학교의 모습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컨설팅이라는 이름으로 이우어지는 장학지도, 보여주기식 수업 대회, 할당되는 연수, 의무참가 대회, 교사에게 떠넘겨지는 공문 등 지원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있는 교육청의 모습도 공개한다.
학교의 본모습_ ‘이런 게 학교다’
2부 ‘학교의 본모습’에서는 관리자와 교사, 교육청이 각자 어떤 역할을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말한다. 먼저 관리자의 입장에서 교사의 힘듦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격려하고 아낌없이 지원해야 한다’고 말한다. 교사는 오직 수업과 아이들의 생활지도에 매진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하는 것이 관리자의 역할이라 말한다. 또한 교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행정업무 경감을 통해 교사를 업무가 아닌 학생들 곁에 있게 해주어야 한다고 말하며, 업무를 잘하는 교사가 아니라 수업하는 교사가 정당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청이 해야 할 역할과 그런 것들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보여준다. 특히 저자는 이 책에서 여러 번 지금의 승진제도를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하는데, 최근에 이슈가 되었던 내부형 교장공모제 등과 관련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자가 교사 시절에 경험한 것과 지인들의 이야기, 교감으로 발령받은 후의 소회 그리고 교사라면 누구나 관리자에게 한 번쯤 던지고 싶었던 이야기를 담은 이 책이 구성원 모두가 함께 민주적인 학교를 만드는 데 촉매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