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어원을 알고 나는 영어와 화해했다

신동윤
526p
Where to buy
content
Rate
2.5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고대 인도와 유대인의 종교관’부터 ‘그리스인의 우주론’, ‘로마인의 정치론’, ‘프랑스인의 심미론’, ‘게르만족의 과학적 합리론’을 모두 받아들인 영어는 유럽 변방의 가장 보잘 것 없던 언어에서 가장 개방적인 언어가 되어 인도-유럽어 최후의 챔피언이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현재 가장 많은 사람들이 쓰는 국제공통어로 자리 잡았으므로 영어 어원의 추적은 ‘영어 자체의 학습’은 물론 우리와는 정반대인 ‘서구인의 사고체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K 무한한 우주공간 021 C 둥근 원 067 N 생명의 물 109 D 빛을 내려준 위대한 신 137 B 넓게 퍼지는 빛의 에너지 167 T 가로질러 간 거리 223 V 끝없이 퍼지는 빛의 욕망 251 M 우주의 부스러기들 281 P 공간 속의 움직임 325 R 도도하게 흘러가다 375 Y 서로 연결하다 395 G 제 발로 걸어가다 405 L 잇거나 끊다 433 S 붙거나 분리되다 465 H 순식간에 붙거나 떨어지다 523

Description

인도-유럽어족 최후의 챔피언, ‘영어’의 어원을 정복하다 인도-유럽어족은 처음에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 흰 눈 덮인 중앙아시아 코카서스(Caucasus/cauc/하얗다) 산맥 기슭에 살았으므로 백인은 얼굴이 하얀 코카시안(Caucasian/백인)이라고 불렸다. 코카시아인들은 기원전 약 5천 년경에 남하해 한 무리는 인도아대륙으로 들어가 고대 인도에 산스크리트(Sanscrit/san=saint/성스런/scrit=script/글자)어를 남겼다. 산스크리트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인도-유럽어로써 인도-유럽어를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고전어가 됐다. 코카서스에서 남하한 또 다른 무리는 서쪽으로 진출해 이란고원에 이르러 고대 페르시아어(Persian/pers=shah=king/왕국)를 남겼다. 계속 서쪽으로 이동한 코카시아인들은 에게(Aegean)해를 넘어 그리스어(Greek)를 남기고, 차례로 라틴어(Latin), 루마니아어(Romanian), 이탈리아어(Italian), 스페인어(Spanish), 포르투갈어(Portuguese), 프랑스어(French), 독일어(German), 영어(English)를 낳았다. 역사적으로 그리스어, 라틴어, 프랑스어는 차례로 유럽지역의 국지적 공통어(lingua franca)가 됐지만 영어는 전 세계가 쓰는 최후의 국제어로 등장했다. ‘고대 인도와 유대인의 종교관’부터 ‘그리스인의 우주론’, ‘로마인의 정치론’, ‘프랑스인의 심미론’, ‘게르만족의 과학적 합리론’을 모두 받아들인 영어는 유럽 변방의 가장 보잘 것 없던 언어에서 가장 개방적인 언어가 되어 인도-유럽어 최후의 챔피언이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현재 가장 많은 사람들이 쓰는 국제공통어(Lingua Franca)로 자리 잡았으므로 영어 어원의 추적은 ‘영어 자체의 학습’은 물론 우리와는 정반대인 ‘서구인의 사고체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