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추천사 역자서문 연해자평 인 이 책의 주요내용 일러두기 참고도서 연해자평 권1 1. 오행이 처음 생겨난 때 2. 천간지지가 나옴 3. 천간의 상합 4. 천간의 소속방위와 지지의 소속 5. 지지의 음약 소속 6. 지지의 6합 7. 지지의 3합 8. 지지의 상충 9. 지지의 상천 10. 지지의 상형 11. 간지의 글자 뜻 12. 지지의 동물 본뜸 13. 60화갑자 납음과 주해 14. 천간의 생왕과 사절 15. 오행발용의 예 16. 월 일으키는 법 17. 시 일으키는 법 18. 태원 19. 태식 20. 변화 21. 상통 22. 옥당천을귀인 23. 천관귀인 24. 태극귀인 25. 삼기귀인 26. 월덕귀인 27. 월덕의 합 28. 천덕귀인 29. 천주귀인 30. 복성귀인 31. 삼원 32. 십간의 록 33. 역마 34. 천사 35. 화개 36. 십간의 학당 37. 십간의 식록 38. 금여록 39. 공록 40. 교록 41. 암록 42. 협록 43. 원성 44. 제좌 45. 육갑공망 46. 절로공망 47. 4대공망 48. 10악대패일 49. 4폐일 50. 천지전살 51. 천라지망 52. 양인 53. 대운 일으키는 법 54. 소운 일으키는 법 55. 오행의 상생상극 56. 절후가 57. 천간지지의 암장총결 58. 절기가 59. 지지의 장둔가 60. 사계월의 대절결 61. 미래 월삭 절기의 오묘한 노래 62. 유년 절기의 일시각을 세는요결 63. 일간을 주로 삼는다 64. 월령 65. 생왕 66. 5행의 생왕쇠절과 길흉 67. 5행의 묘고와 재인 68. 관살혼잡은 제복이 필요함 69. 오행 생극제화의 희와 해 70. 하지와 동지의 음양상생 71. 자평거요가 72. 상해정진론 73. 희기론 연해자평 권2 1. 착한 성품을 이음 2. 간명방법 3. 정관 4. 관성태과 5. 편관 6.칠살 7. 인수 8. 정재 9. 편재 10. 식신 11. 도식 12. 상관 13. 겁재 14. 양인 15. 형합 16. 복덕수기 17. 잡기 18. 일궈 19. 일덕 20. 일인 21. 괴강 22. 금신 23. 시묘 24. 내십팔격 25. 외십팔격 연해자평 권3 1. 육친총론 2. 육친가 3. 아버지 4. 어머니 5. 처첩 6. 형제자매 7. 자식 8. 부인총결 9. 여명부 10. 여명부귀빈천 11. 여명귀격 12. 여명천격 13. 곤랑도화 14. 여명을 노래함 15. 어린이 16. 어린이 관살의 예 17. 성정 18. 질병 19. 대운 20. 태세길흉 21. 오운의 화기 22. 화기십단금 23. 신취팔법 24. 격국생사인용 25. 태세를 충극함 26. 잡론구결 27. 군흥론 28. 흥망 29. 보배로운 법(1) 30. 보배로운 법(2) 31. 촌금수수론 32. 논명세법 33. 상관설 34. 심경가 35. 요상부 36. 락역부 37. 상심부 38. 현기부 39. 유미부 40. 오행원리소식부 연해자평 권4 1. 금옥부 2. 벽연부 3. 조미론 4. 인감론 5. 애증부 6. 만금부 7. 설요첩치현묘결 8. 연원집설 9. 과갑가 10. 사언독보 11. 신약론 12. 기명종살론 13. 오언독보 14. 정월시결 15. 2월시결 16. 3월시결 17. 4월시결 18. 5월시결 19. 6월시결 20. 7월시결 21. 8월시결 22. 9월시결 23. 10월시결 24. 11월시결 25. 12월시결 26. 십간ㅊ상 27. 십이지체상 연해자평 권5 1. 정관시결 2. 편관시결 3. 인수시결 4. 정재시결 5. 편재시결 6. 식신시결 7. 상관시결 8. 양인시결 9. 형합시결 10. 일귀시결 11. 금신시결 12. 일덕시결 13. 괴강시결 14. 시묘시결 15. 잡기재관시결 16. 시상편재시결 17. 시상일위귀시결 18. 비천록마시결 19. 율을서귀시결 20. 합록시결 21. 자요사시결 22. 축요사시결 23. 임기용배시결 24. 정란차격시결 25. 귀록격시결 26. 육음조양시결 27. 공록공귀시결 28. 육각추건시결 29. 육임추간시결 30. 구진득위시결 31. 현무당권시결 32. 윤하시결 33. 종혁시결 34. 가색시결 35. 곡직격시결 36. 염상격시결 37. 복덕격시결 38. 기명종재격시결 39. 기명종살시결 40. 살중유구시결 41. 천원일기시결 42. 화기시결 43. 천원일자시결 44. 형충시결 45. 극처시결 46. 극자시결 47. 운회시결 48. 운통시결 49. 대질시결 50. 수원시결 51. 표탕시결 52. 여명시결 53. 장생시결 54. 목욕시결 55. 관대시결 56. 임관시결 57. 제왕시결 58. 쇠병사시결 59. 모교시결 60. 절태시결 61. 태양시결 62. 오행생극부 63. 낙록자소식부 64. 팔자촬요법 65. 격국생사인

Description

천간과 지지의 생겨난 유래를 밝힌 점인데 이는 음양오행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참고해야 할 부분이다. 자평학에서 사용하는 합충형해파, 신살, 사주뽑는 법, 지장간, 오행의 생극제화 등 기본적인 내용을 모두 망라하고 있다. 자평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용신과 격국에 대한 용어가 최초로 나온다. 용신은 15절과 63절에서 최초로 나오며, 격국은 71, 72, 73절에 설명되어 있다. 격국에 대한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71, 72, 73절을 읽으면서 권 2의 해당 격국부분과 권 5의 해당 시결부분을 같이 읽으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1.1. 권2 격국에 대한 구결과 시결이 자세하다. 격국을 내18격과 외18격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격국에 대한 명조를 예로 들었는데, 명조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지 않은 것이 아쉽다. 하지만 이 부분은 적천수를 통하여 보완하면 자평학의 이론과 통변을 완벽하게 겸비하게 될 것이다. 1.2. 권3 육친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다. 참고로 육친에 대한 설명은 연해자평과 적천수의 설명이 다르므로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예를 들면 아버지를 연해자평은 편재로 보고, 적천수는 인수로 본다) 성정性情과 질병론이 설명되어 있고 또한 고법古法 삼명학에서 나오는 소아관살 등의 이론이 나온다. 고법 삼명학의 내용은 이 책의 전반全般에 걸쳐 두루 나오지만 정확한 이해를 위한 주석이 부족하다. 고전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부賦가 나오기 시작한다. 자평학을 심도있게 하고자 하는 독자라면 암송하는 경지까지 이르기를 바란다. 1.3. 권4 권 3에 이어서 부賦가 계속된다. 이 책에는 자평학에 대해 고인들이 남긴 부賦가 거의 모두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 없는 부賦는 삼명통회에 수록되어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특히 삼명통회, 명리정종은 내용이나 학문적으로나 연해자평과 토대를 같이 하므로 참고해서 본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월건 및 10간과 12지의 체상體象 등은 궁통보감과 같이 읽으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1.4. 권5 권 1에서 권 4까지의 내용에 대한 시결이 대부분이다. 낙록자소식부가 수록되어 있는데 자평학의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각 절마다 공통된 특징이 있다. 1.5. 특징 절의 맨 앞에는 태극 등의 본체론이 나오는데 주로 주역의 문장을 원용한다. 그 다음에는 일간을 주로 하고, 월령의 심천, 재관의 향배, 격국의 고저 등을 설명하는 점이다. ➌ 앞의 설명이 끝나면 해당 절의 본론이 나온다. 이와 같이 거의 모든 절마다 같은 내용이 중복되어 나오므로 책을 읽다보면 다소 지루할 수 있다. 또한 본론의 내용도 저작자의 일관된 의도하에 체계적으로 기술된 것이 아니라 산문형식으로 나열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읽다보면 산만함을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를 반복해서 읽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자평학에 대해 깊은 깨달음이 올 것이다. 다만 역자의 역량이 미치지 못해 충분한 주석을 달지 못한 것을 아쉽게 생각하고 이는 후일後日을 기약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