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문학의 예술적 대가 장파트리크 망셰트가 창조한
프랑스 누아르의 혁신 ‘네오폴라르’의 최고 걸작
“군살이 조금도 없이 뼈만 발라낸 듯한 날렵한 이야기,
작정하고 정색하며 덤벼드는 비현실의 누아르”
_김용언 (〈미스테리아〉 편집장)
“쿨하고 컴팩트하며 충격적일 정도로 독창적이다”
_〈뉴욕타임스〉
‘우리 시대의 위대한 윤리문학’을 표방하며 프랑스 누아르 장르를 혁신한 ‘네오폴라르(néo-polar)’를 통해 문학사의 새로운 장을 열어젖힌 장파트리크 망셰트의 대표작 《웨스트코스트 블루스》가 출간됐다. “인간 조건과 사회에 관한 실존적 탐구”를 통해 “프랑스 범죄문학을 근간부터 뒤흔들어 완전히 재창조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프랑스 범죄문학의 거장이자 마법사’ ‘범죄문학의 예술적 대가’라는 표지를 단 망셰트의 작품이 국내에 소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웨스트코스트 블루스》는 한 중년 남자의 평탄한 삶에 생긴 작은 균열이 그를 평화로운 일상에서 잡아채서는 전혀 예상치 못했던 폭력과 살인의 연쇄 속으로 던져 넣는 이야기다. 평범한 인물이 저도 모르는 사이에 살인자들의 타깃이 되어 쫓기다 오히려 그들에게 반격을 가해 복수한다는 일견 단순해 보이는 스릴러 플롯이지만, 소설은 매끈하고 세련된 평온과 거칠고 조야한 폭력을 병치함으로써 안온한 부르주아적 환상을 깨뜨리는 질문을 던진다.
간결하고 건조한 문장으로 구축한 압축적이고 밀도 높은 스토리, 블랙 코미디와 같은 부조리한 상황이 주는 웃음,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 소용돌이치는 스릴과 카타르시스, 그 속에 흐르는 웨스트코스트 스타일 쿨 재즈 선율과 농후한 버번위스키 향의 매혹까지 그 어느 하나도 놓치지 않는 이 작품은 1980년 자크 드레 감독, 알랭 들롱 주연의 〈세 번째 희생자((Trois hommes à abattre)〉로 영화화되기도 했다.
씁쓸하고 공허한 일상을 파고든 부조리한 폭력
간명한 사실적 행위 묘사 너머 날카로운 진실의 폭로
조르주가 이렇게 사념을 잠재우고 이 음악을 들으며 외곽순환도로를 달리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생산관계 속 그의 위치에서 찾아야 한다. 조르주가 올해 최소 두 명을 죽였다는 사실은 고려 사항이 아니다. 현재진행형의 일은 때로는 과거의 일이기도 하다. _18쪽
소설의 주인공 조르주 제르포는 대기업 자회사의 임원이자 단란한 가정의 가장으로, 신자유주의 시대 현대인의 전형이다. 거대 기업의 일원이라는 “생산관계 속 그의 위치” 때문에 심리적 불안과 스트레스에 시달리면서도 매일 똑같은 일상을 견뎌내야 하는 조르주는 심야에 자동차로 도로를 질주하면서 공허한 마음을 달래곤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자동차 사고를 당한(사실은 총상을 입은) 낯선 이를 병원에 데려다주고 귀찮은 일에 휘말리기 싫어 슬그머니 병원을 빠져나와 집으로 돌아간 조르주는 이틀 후 별생각 없이 여느 때와 다름없는 휴가를 떠난다. 여기에 불쑥 “조르주가 올해 최소 두 명을 죽였다는 사실은 고려 사항이 아니다”라는 담담한 어조의 충격적인 문장처럼, 예기치 못한 비일상적 폭력이 틈입한다. 두 명의 살인 청부업자들이 조르주의 뒤를 쫓기 시작한 것이다. 현대사의 급변 속에 구차하게 목숨을 연명해가는, 한때 독재 권력의 하수인이 그들의 배후로, 조르주가 도운 인물의 암살을 지시한 장본인인 그가 입막음을 위해 다시 조르주의 암살을 지시한 것.
상대가 그의 머리와 관자놀이를 가격하더니 다시 붙잡아 물속에 집어넣었다. 숨을 들이마실 틈도 없었다. 물로 흥건해진 시야에 웃고 떠드는 어린이들, 십대 소녀들, 공놀이하는 사람들, 흑인의 이미지가 스치듯 지나가는 동시에, 귓가에서 웃음소리, 비명, 물보라가 폭발하듯 터져 나왔다. (…) 그리고 이 자그마한 세계 전체는 제르포가 암살당하는 중이라는 사실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_70쪽
이제 제르포는 일상의 노선에서 이탈해(달리는 열차에서 바깥으로 내던져지는 장면은 의미심장하다) 언뜻 비현실적으로 보이지만 ‘연골과 뼈가 생생히 느껴지는’ 목숨을 건 추격전에 휘말리고, 독자들은 “안온하게 살아온 이 부르주아 남자가 전문 암살자의 추적 앞에서 어떻게 살인자의 본색을 각성하고 드러내기에 이르는지”를 숨 쉴 틈 없이 따라가게 될 것이다.
스타일리시하고 쿨한 문체가 선사하는
독하고 강렬한 독서의 쾌감
소설은 고급문학과 대중음악이라는 지표들, 영화, TV, 상품 브랜드 등 화려한 문화적 코드들, 자연스럽게 전유하는 역사적·사회적 사건들과 함께 철제 골조와 같이 냉철한 문장들의 기막힌 배치를 통해 강렬한 독서의 쾌감을 선사하며, 특히 시점에 혼란을 주는 영화적 내러티브 기법으로 독자들에게 날 선 긴장감을 부여한다. “망셰트와 함께 있으면 누구도 안전하지 않다. 이 책에서도 우리는 금방 평정심과 균형을 잃고 이야기의 어디쯤에 와 있는지 자주 확신할 수 없게 된다. 그러니까 쉽게 말해서, 우리가 읽는 글이 과거의 회상인지 아니면 몽상인지, 혹은 어떤 의미에서 영원한 반복 속에 갇힌 건지 알 수 없는 것이다.”
작가는 소설을 “사회의 실패를 벌거벗기고 외관과 기만과 조작의 베일을 찢어버림으로써 탐욕과 폭력이야말로 사회를 추동하는 진정한 원동력임을 만천하에 드러낼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했고, 간명한 사실적 행위 너머의 날카로운 진실을 전하는 이 위대한 누아르 걸작을 통해 그 목표를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