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서론. 경이롭고 기괴한 19세기 사진 아카이브 제1장 범죄사진의 탄생?베르티옹의 범죄수사학 1. 절대적 닮음의 추구 2. 미학적 사진에서 과학적 사진으로 3. 사진, 프로젝션, 기계 4. 사진의 한계 5. 정면사진에 의한 식별 6. 측면사진에 의한 식별 7. 닮음에서 같음으로 8. 사진에서 과학철학의 땅으로 제2장 사진과 언어?베르티옹의 초상언어 1. 말로 된 초상화 2. 사진에서 언어로?거리에서 개인 식별 3. 언어묘사와 사진 4. 사진 이미지, 언어, 수?묘사의 방법 5. 신체의 환원 6. 초상언어의 한계 7. 베르티옹의 초상언어가 남긴 것 제3장 19세기 기술복제시대의 범인 식별 1. 사진을 어떻게 광범위하게 배포할까 2. 사진 발명 이전 3. 사진을 이용한 공개수사 4. 네거티브?포지티브 복제를 통한 개인 식별 5. 사진과 인쇄매체의 결합 6. 포토그라피의 주목할 만한 특성 제4장 인간 유형의 발명?골턴의 합성사진 1. 유형의 가시화 2. 골턴 이전 얼굴의 유형화 3. 골턴의 합성사진 만들기 4. 합성사진의 사용 분야 5. 합성사진의 아카이브적 의미 6. 합성사진의 경과와 그 평가 제5장 인종의 발명?헉슬리의 인류학 사진 1. 인간의 유형화와 인종주의 2. 인류학과 사진의 결합 3. 헉슬리의 인체측정사진 4. 인체측정사진의 한계 5. 헉슬리의 사진이 남긴 것 제6장 히스테리의 발명?샤르코의 신경정신의학 사진 1. 정신의 청진기로서의 사진 2. 의학적 관찰?눈에서 사진으로 3. 의학적 유형화의 도구로서 사진 4. 동작사진과 히스테리 5. 히스테리 사진의 한계 6. 히스테리 사진이 남긴 것 제7장 이미지와 선?마레의 크로노포토그라피 1. 마레의 꿈?“움직임을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 2. 동작 분석을 위한 그래픽 방법 3. 동작 분석을 위한 사진적 방법?크로노포토그라피 4. 기하학적 크로노포토그라피?이미지에서 그래프로 5. 크로노포토그라피의 의의와 영향 제8장 사진에서 영화로?마레의 영화 발명 1. 누가 영화의 발명자인가? 2. ‘움직이는 그림’에서 ‘움직이는 사진’으로 3. 움직이는 감광판의 크로노포토그라피?마레의 영화 발명 4. 마레의 발명과 영화의 탄생 결론. 팽창하는 사진들의 우주 속에서 참고문헌 도판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