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도시 아파트의 한 베란다에서 시작된 아주 사적인 정원 이야기 “말 없는 생명과 함께하는 삶은 생각보다 많은 것을 요구했고 그보다 더 많은 것을 내게 돌려주었다.” 수많은 이들의 일상에 초록과 고요를 선사한 19만 팔로워 선요(ju_seonyo)의 내 작은 정원 이야기, 그 6년간의 조용한 기록. 작은 초록이 위안이 될지도 모르겠다고 기대하며 창가에 작은 식물을 들였다. 빛을 따라 잎이 움직이고 조금씩 자라났다. 잎이 마르면 들여다보고 바람의 온도가 변해가면 물을 조절하고 손으로 흙을 만지고… 그렇게 매일 아침 반짝이는 각자의 초록이 삶의 방향을 조금씩 바꿔주었고, 아주 작고 아늑한 정원이 탄생했다. 어느새 식물을 키우는 일이 곧 자신을 돌보는 일이 되고, 네 평 베란다 정원이 생활의 중심이자 휴식과 회복의 공간이 되었다. 바쁜 일상에서 나만의 리듬을 찾는 조용한 시작. 정원을 꿈꾸는 모든 이들에게 보내는 작은 초대장. 실패한 화분과 다시 심은 씨앗, 청나래고사리가 움츠렸던 잎을 천천히 펼치는 봄에서 구근이 흙을 비집고 표면으로 올라오는 겨울까지, 꽃과 나무와 뿌리와 잎이 지켜온 시간을 기록했다. 지난 6년 동안 흔들림 없이 글과 사진을 더한 일기는 결국 그 곁을 지키던 자신에 관한 기록이기도 했다. 나를 투명하게 바라보게 하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날에도 그 하루를 살아낸 자신을 인정하게 해주었다. <내 작은 정원 이야기>는 식물을 좋아하고 집을 가꾸는 일이 자신을 돌보는 일과 맞닿아 있다고 믿는 이들을 위한 특별한 책이다. 바쁜 일상에서 나만의 리듬을 찾는 조용한 시작을 안내한다. 문예진, 성보람, 오송민, 이소영 추천. 이를테면 우리가 식물을 사랑할 때 따라오는 것들… 저 먼 미지의 어디가 아닌 우리 집이 가장 특별하고 새로운 장소가 되는 방법. <예진문의 취미기록>의 문예진 작가는 “그동안 나는 완벽한 때를 기다리다 시도조차 하지 못했던 적이 얼마나 많았는지. 작은 화분 하나가 숲이 되어가는 과정을 보며 초라할지라도 나에게 주어진 환경에서부터 시작해보자는 용기를 얻었다”고 리뷰했고, 식물세밀화가 이소영 작가는 “이 책에는 원예 교과서에 없는 것들이 있다. 이를테면 우리가 식물을 사랑할 때 따라오는 것들. 기다림을 즐기는 마음, 예상치 못한 돌발 현상을 마주하는 담대함, 재개발을 앞둔 오래된 마을의 아름다움을 알아채는 안목, 그리고 저 먼 미지의 어디가 아닌 우리 집이 가장 특별하고 새로운 장소가 되는 방법”이라 추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