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서문
서문
서설 : 고고학의 학문적 성격과 목적
제1부_고고학의 기본 틀
1 과거 탐구자들 : 고고학의 역사
1. 사변기
2. 근대고고학의 시작
3. 분류와 통합
4. 고고학의 전환점
5. 고고학의 세계화
6. 요약
추천 문헌
테글
1. 폼페이_고고학 조사의 과거와 현재
2. 진화론적 사고의 영향
3. 19세기 북미 고고학의 선구자들
4. 야외조사 기법의 발전 과정
5. 고고학의 여성 개척자들
6. 과정주의고고학의 핵심 개념들
7. 해석고고학 혹은 탈과정주의고고학
8. 차탈휘익 유적에서의 해석고고학들
9. 점점 넓어지는 고고학의 지평
2 무엇이 남았는가? : 다양한 증거들
1. 고고학적 증거의 기본 범주들
2. 형성 작용들
3. 문화적 형성 작용들 - 사람들은 고고학적 기록으로 남은 것들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가?
4. 자연적 형성 작용들 - 자연은 고고학적 기록으로 남은 것들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가?
5. 요약
추천 문헌
테글
10. 실험고고학
11. 습지 보존의 예_오제트 유적
12. 건지 보존의 예_투탕카멘 왕묘
13. 한랭 보존의 예1_배로우 유적
14. 한랭 보존의 예2_알프스의 냉동인간
3 어디서? : 유적 및 유구의 탐사와 발굴
1. 고고학 유적 및 유구의 발건
2. 유적 및 유구의 평면배치에 대한 평가
3. 발굴
4. 요약
추천 문헌
테글
15. 시드니 키프로스 탐사사업
16. 표본추출 전략
17. 고고학의 공중탐사
18. 떼오띠와깐 도면작성 사업
19. 여러 시기가 중첩된 텔 할룰라 유적의 지표면 조사
20. 수중고고학
21. 레드 배이 난파선_발견과 발국
22. 로마시대 록시터 시의 지구물리학적 탐사
23. 자기 측정
24. 통제실험 고고학 유적
4 언제? : 연대 결정법과 편년
상대연대결정법
1. 층서법
2. 형식학적 변천 순서
3. 언어학적 연대 결정법
4. 기후와 편년
절대연대측정법
5. 역법과 역사학적 편년
6. 매년 주기 이용법 : 해빙 연층법과 나이테 연대측정법
7. 방사성 시계 이용법
8. 축적전자 연대측정법
9. 햇수 환산이 가능한 상대연대결정법
10. 편년의 연계
11. 범세계적 편년체계
13. 요약
추천 문헌
테글
25. 마야력
26. 방사성탄소 붕괴의 원리
27. 방사성탄소측정연대의 공표
28. 방사성탄소측정연대의 보정 방법
29. 아프리카 인류 조상 유적들의 연대측정
30. 테라 화산폭발의 연대측정
제2부_다양한 인간 경험의 발견
5 옛 사회들은 어떻게 조직되었는가? : 사회고고학
1. 사회의 성격과 규모의 설정
2. 사회조직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여타 자료들
3. 이동성 수렵채집사회 연구 기법
4. 분절사회 연구 기법
5. 군장사회 및 국가 연구 기법
6. 개인 및 정체성의 고고학적 연구
7. 정체성의 출현과 사회
8. 젠더 및 아동기의 조사
9. 사회집단 및 출계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연구
10. 요약
추천 문헌
테글
31. 메소포타미아의 취락 분포 정형
32. 언어를 통한 옛 족속의 존재 추정
33. 수렵채집민 야영지의 넓이와 밀도
34. 인자분석과 군집분석
35. 영국 웨섹스 지방의 선사시대 초기 사회
36. 마야 각 중심지의 영역
37. 다차원척도법(MDSCAL)
38. 마운드빌 사회의 분석
39. 갈등과 전쟁
40. 고대 페루의 남과 여
6 환경은 어떠하였는가? : 환경고고학
1. 지구 전체 환경의 조사
2. 경관의 연구
3. 식물 환경의 복원
4. 동물 환경의 복원
5. 인문 환경의 복원
6. 요약
추천 문헌
테글
41. 해저 및 빙하 시추 자료를 이용한 기후 복원
42. 기후의 순환_엘니뇨의 경우
43. 동물 퇴적물
44. 화분분석
45. 이랜즈만 동굴
46. 자원 가용권 분석법
47. 옛 환경의 복원 GIS를 이용한 카호키아의 예
48. 쿡 저습지의 옛 농원
7 옛사람들은 무엇을 먹었는가? : 생업과 식단
1. 식물 음식은 식단에 관 무엇을 말해줄 수 있는가?
2. 동물 자료로부터의 정보
3. 동물유체로부터 식단, 계절성, 순화를 연구하기
4. 동물자원들은 어떻게 이용되었는가?
5. 인간유체로부터 식단을 평가하기
6. 요약
추천 문헌
테글
49. 고인간식물학_사례연구
50. 영국 버쯔의 철기시대 농장 실험
51. 서아시아 농경 기원의 연구
52. 화석과정연구
53. 동물 뼈의 계수 작업
54. 동물 이빨의 연구
55. 들소 떼 몰아 잡이 유적
56. 농경 기원의 연구_아부 후레이라 유적의 사례
57. 조개더미의 분석
8 옛사람들은 어떻게 도구를 만들고 사용하였는가? : 기술의 고고학
1. 변성이 되지 않은 소재: 돌
2. 변성이 되지 않은 여타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