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한국사 시리즈 (전 3권)

구효선 and 10 others · History
1456p
Where to buy
content
Rate
3.2
Average Rating
(3)
Comment
More

한국고대사, 고려왕조사, 조선왕조사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한 세 권의 책. 고조선에서 발해까지의 역사와 고려사의 흥망성쇠, 5백 년 조선의 역사를 흥미진진한 이야기 형식으로 들려준다. 각 시대를 풍미한 여러 인물들, 다양한 역사상의사건들을 풍성한 도판과 지도, 사료와 함께 담았다. <이야기 한국고대사>에서는 고조선에서 발해까지의 우리 역사를 다룬다. 각 분야사별로 해당 전공자가 집필했으며, 청소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문체로 서술했다. 또한 편의를 위해 학술적인 주를 따로 붙이지 않고, 각종 삽화와 주제별 에피소드를 실어 한국고대사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내도록 했다. <이야기 고려왕조사>에는 태조부터 공양왕까지 고려사 500년이 담겼다. 고려 개국에서 국가의 초석을 닦는 전개기,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하는 국가의 안정기, 수준 높은 귀족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눈부신 발전기와 외세의 침략기, 무신정권과 전국 각지에서 일어나는 민란으로 혼란함을 맞는 황혼,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을 수탈하고 조선건국에 이르기까지, 고려사의 흥망성쇠를 풀어간다. <이야기 조선왕조사>는 조선의 역사를 정치사 중심으로, 왕대별로 살폈다. 5백 년이라는 시간 동안 일어났던 사회.문화적 변화까지 반영해 조선사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돕고, 학계의 성과들을 반영해 정조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고자 했다. 고종과 순종을 제외한 25대 철종까지의 역사가 다양한 도판과 함께 실려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이야기 한국고대사> 고조선 부여 삼한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통일신라 발해 <이야기 고려왕조사> 고려의 성립과 전개 태조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성종 목종 현종 고려의 발전과 혼란 덕종 정종 문종 순종 선종 헌종 숙종 예종 인종 의종 명종 신종 희종 강종과 고종 원종 고려의 황혼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과 충정왕 공민왕 우왕 창왕 공양왕 고려왕조표 찾아보기 참고문헌 고려의 성립과 전개 <이야기 조선왕조사> 서문 - 이야기로 풀어본 조선의 역사를 시작하며 개국의 여명 맹장의 기운이 드리우니 이성계의 황산대첩 조선 건국의 여명, 위화도회군 구세력의 몰락 선죽교의 핏자국, 정몽주의 충절 제1대 태조 무학과 석왕사 수도 이전 프로젝트 장자방을 자처한 정도전 제1차 왕자의 난 제2대 정종 형제간의 권력다툼, 제2차 왕자의 난 제3대 태종 함흥차사의 진실과 조사의의 난 원경왕후 가문의 비애 미치광이 세자와 염불하는 왕자 신문고의 설치와 태종우 제4대 세종 집현전의 설치 대마도 정벌 훈민정음 창제와 활발한 문화사업 명재상, 황희 어린 세손을 잘 보필하라 제5대 문종 눈물로 젖은 용포 문종비 현덕왕후의 분노 제6대 단종 수양대군과 한명회의 운명적 만남 수양대군의 계유정란 제7대 세조 더럽게 사느니 차라리 죽는 게 낫다, 사육신과 생육신 단종의 한 많은 귀향길 이시애의 반란 제8대 예종 남이.강순의 옥사 왕조 최초의 사옥, 민수의 사옥 제9대 성종 태조의 도량, 잘산군의 즉위 한명회와 압구정 문물 정비와 사림세력의 등용 불행의 씨앗을 잉태한 윤씨의 폐위 제10대 연산군 영명한 군주의 최초 시험 무대 직필이 화를 부르다, 무오사화 금삼에 깃든 피가 불러온 화, 갑자사화 제11대 중종 심판의 날이 밝아오다, 중종반정 7일 만에 뒤바뀐 운명, 왕비 신씨의 폐위 조광조의 개혁정치와 기묘사화 제12대 인종 계모의 핍박에도 효성 다한 인종 제13대 명종 여걸 문정왕후의 수렴청정 외척의 다툼이 화를 부르다, 을사사화 불교의 르네상스를 꿈꾼 보우 황해도 대적, 임꺽정 제14대 선조 방계에서 왕위를 계승하다 성리학적 이상사회 건설을 위하여, 붕당의 분화 붕당을 원치 않던 이이 정여립 역모사건과 기축옥사 7년전쟁, 임진왜란의 발발 전세를 바꾼 이순신과 수군의 활약 조명연합군의 활약과 행주대첩 강화 교섭과 정유재란 북인의 득세와 영창대군의 출생 제15대 광해군 외로운 자리에 선 광해군의 시련 정인홍과 회퇴변척 어머니를 폐하고 형제를 죽이다 실리외교를 지향한 대외정책 제16대 인조 인조반정, 보위에 오르기까지 논공에 불만을 품은 이괄의 반란 삼전도의 치욕, 정묘.병자호란 소현세자의 죽음과 강빈 옥사 제17대 효종 북벌의 꿈 실현을 위하여 청국의 러시아 정벌과 조총수 파병 송시열의 재입조 제18대 현종 사상논쟁이 정치논쟁으로, 제1차 예송 할머니의 순절을 더럽힐 수 없다 남인의 집권 계기가 된 제2차 예송 제19대 숙종 탁남과 청남의 대립, 남인의 분기 서인의 집권, 경신환국 임술고변과 노.소론의 분당 왕자의 출생과 기사환국 갑술환국과 장희빈의 최후 노론의 승리로 일단락된 논쟁, 회니시비 노론과의 정치타협, 정유독대와 대리청정 제20대 경종 노론의 연잉군 왕세제 책봉운동 신축옥사와 소론의 집권 목호룡의 고변과 임인옥사 제21대 영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