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국가의 개념 규정
‘물리적 폭력 행사의 독점’ | 폭력의 정당성과 합법성 | 폭력의 자기 정당화와 주도권 | ‘폭력의 역사의 철학’
2장 폭력의 조직화
질서와 지배의 확립 | 복종의 획득―권력과 폭력 | 폭력과 권력의 규범적 구별과 기능적 구별 | 권력에 의한 폭력의 조직화와 가공 | 수단을 넘어서는 폭력
3장 부(富)의 사유화(私有化)와 폭력
부의 사유화와 폭력의 사회적 기능 | 세금 징수의 근거 | 설립된 국가, 획득된 국가 | 소유권·치안·안전 | 국가 형태의 규정 요인과 ‘국가 없는 사회’
4장 국가 고찰의 방법론
국민국가 비판의 함정 | 국가·이데올로기·주체―‘국가=허구’론의 오류(1) | 국가와 언설―‘국가=허구’론의 오류(2)
5장 주권의 성립
폭력의 일원화와 주권국가의 성립 | 근대 이전의 국가 형태 | 폭력의 독점과 정치의 자율화 | 영토와 국경 | ‘대지의 노모스’와 세계 지도의 탄생 | 국경과 영토에 의한 국가의 탈(脫)인격화
6장 국민국가의 형성과 민족주의
국민국가와 민족주의의 개념적 구별 | 국가 폭력의 ‘민주화’ | 도덕적·경제적 주도권의 확립 | 권력관계의 탈(脫)인격화 | 주권 권력과 ‘생(生)-권력’의 결합 | 민족 동일성의 구성
7장 국가와 자본주의
포획장치와 자본주의 | 전체주의의 실현―국가의 현재 | 영토를 벗어나는 국가 | 공리(公理)를 둘러싼 투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