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004 머리말 경제를 알면 세상을 꿰뚫어보는 안목이 생긴다! 1장 | 경제, 어떻게 움직이나 021 경제란 무엇인가 022 경제가 성장한다, 무슨 뜻일까 023 경제 상태는 뭘로 알아보나 024 미시경제와 거시경제, 어떻게 다른가 026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어떻게 다른가 028 금융이 어떻게 실물경제 좌우하나 030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뭐가 다른가 031 시장이 어떻게 경제를 움직이나 034 자본주의는 어떻게 일어나고 사회주의는 어떻게 무너졌나 039 유럽 사민주의는 자본주의와 어떻게 다른가 043 유럽 경제난, 극우 세력이 해결할 수 있을까 2장 | 경기 049 경기 좋을 때란 어떤 때? 051 잘나가던 경기, 어쩌다 꺾이나 055 경기 흐름, 뭘로 알아보나 059 경기 나빠지면 생산·출하·재고는 어떻게 움직이나 060 불황인데 재고가 줄어든다고? 062 경기 좋아지면 왜 금리 오르나 064 경기 나쁜데도 금리 오를 때는 언제? 067 경기정책은 왜 필요한가 070 재정정책은 어떻게 경기 살리나 076 통화정책은 어떻게 경기 살리나 경기 흐름으로 보는 현대 한국 경제사: 080 ① 1970년대 오일쇼크로 맞은 불황 083 ② 1980~1990년대 전반, 3저 호황 087 ③ 1990년대 후반, 엔 저 불황과 재벌 몰락 093 ④ 1997~1998년, 외환위기로 닥친 불황 098 ⑤ 1999~2003년, 짧은 경기 회복과 해외발 불황에 이은 내수 불황 100 ⑥ 2004~2007년, 부동산 투기 대응 실패로 깊어진 내수 불황 102 ⑦ 2008~2012년, 대기업 편향 정책과 해외발 경제위기로 가중된 내수 불황 106 ⑧ 2013~2016년, 경제 과제 외면해 불황 만성화 108 ⑨ 2017~2021년, 성장 정책과 부동산 정책 실패로 양극화 심화 3장 | 물가 115 수박값은 어떻게 정해지나 118 얼마에 팔아야 더 많이 팔 수 있나 119 엿값을 엿장수 맘대로 못 한다고? 120 경기 좋아지면 왜 물가 오르나 122 가계 소비가 어떻게 물가 움직이나 124 유가 오르면 왜 물가도 오르나 기사독해 국제유가 상승 여파로 생산자물가지수↑ 126 유가는 뭐가 움직이나 석유 정치경제학: 128 ① 중동 유가는 왜 늘 문제인가 130 ② 미국은 왜 중동에 개입하나 기사독해 5차 중동전쟁 터지나… “美 빠져라” 이란, 이스라엘 공격 임박 유가는 왜 내려도 문제일까: 134 ① 유가 폭락이 산유국과 수입국 모두에 타격인 까닭 137 ② 2014년 유가는 왜 폭락했나 139 ③ 2020년 유가는 왜 폭락했나 141 물가 등락은 뭘 보고 아나 기사독해 4월 물가 상승 둔화에 한은 “예상 부합… 농산물·유가 불확실성 커” 144 소비자물가·생산자물가는 어떻게 알아보나 146 근원 인플레이션과 헤드라인 인플레이션, 뭐가 다른가 149 기대 인플레이션은 어떻게 측정하나 기사독해 2월 기대인플레 3.0% 유지… “체감 물가 아직 높아” 150 물가지수로 물가만 보는 게 아니라고? 152 공식 물가와 체감 물가, 왜 다를까 기사독해 물가 둔화세라는데… ‘체감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 154 인플레이션은 경기를 어떻게 추락시키나 159 인플레이션은 왜 서민의 적, 부자에게 기회인가 162 부동산·주식 투자 때는 왜 인플레이션 뒤끝을 조심해야 하나 163 인플레이션은 왜 소비 양극화를 부를까 165 인플레이션은 언제 생길까 167 수요 인플레이션은 어떻게 막나 170 비용 인플레이션·스태그플레이션에는 어떻게 대응할까 175 디플레이션은 뭐가 문제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