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1장. 프롤로그: 17세기 초 인목대비 폐위 논쟁의 중요성 01. 인목대비 폐위 논쟁 관련 기존 연구 검토 02. 이 책의 구성과 내용 2장. 세자 광해군: 용상을 향한 멀고도 험한 길, 1592~1608 01. 세자 책봉 과정 02. 세자 광해군과 국왕 선조 03. 세자 광해군과 대군 영창 04. 세자 때 경험의 의미 3장. 국왕 광해군의 왕위계승 경쟁자 제거, 1608~1613 01. 장자 임해군 제거 02. 계축옥사의 전개 추이 03. 인목대비, 계축옥사의 돌발 변수 04. 적자 영창대군 제거 4장. 영창대군 제거의 후유증과 제1차 폐위 논쟁, 1613~1615 01. 정온의 사직 상소와 광해군의 친국 02. 정온 처벌의 여파 03. 인목대비 관련 교서 반포와 폐위 논쟁의 점화 04. 광해군의 언관 제압 추이 5장. 생모 추숭: 공성왕후와 인목대비, 1610~1617 01. 추숭을 둘러싼 조정 논쟁과 절충안 02. 절충안의 파기와 광해군의 전략 03. 논쟁의 전환점과 추숭의 완결 04. 광해군의 모후 6장. 제2차 폐위 논쟁과 광해군의 복안, 1617~1618 01. 유생들의 대비 폐위 상소와 그 배후 02. 신덕왕후 사례와 광해군의 생각 03. 대비 폐위 정청과 광해군의 역할 04. 대비의 유폐와 광해군의 의도 7장. 중국 사례 인용과 논쟁의 성격 01. 전설시대의 순과 고수 02. 춘추시대의 문강과 애강 03. 한나라의 염태후 04. 진나라의 양태후 05. 당나라의 무태후 06. 당나라의 장황후 07. 논쟁의 역사적 성격 8장. 반정의 명분과 폐모론의 강화 01. 정변 당사자들의 거사 동기 02. 반정교서에서 밝힌 거사 명분 03. 조선 후기 저술에 나타난 명분 인식 04. 명분의 조정과 그 유산 9장. 에필로그: 충의 관념화와 ‘효치국가’의 탄생 01. 충과 효가 상충할 때 02. 이 책의 핵심 내용 정리 03. 효치국가의 탄생과 조선 후기의 왕권 04. 폐위 논쟁의 역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