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베스트셀러 저자, 21세기 철학계의 록스타, 독일 본대학교 최연소 석좌 교수! 왜, 마르쿠스 가브리엘인가 독일의 철학자 마르쿠스 가브리엘은 ‘바이러스에 대한 인간의 반응은 위협을 막는다는 의미로 윤리적인 작용’이며, ‘팬데믹 이후의 세계 또한 윤리적인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그는 《지나치게 연결된 사회》를 통해 지금 우리 사회가 겪는 문제의 원인을 지나친 연결이라고 보고, 진실로 인류를 한데 묶어주는 것은 윤리라고 말하고 있다. 신실재론의 제창자이기도 한 그는 공동체 안에서 살아가고 있는 개인에게도 관심의 눈길을 거두지 않는다. ‘나’라는 개인이 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이정표 역할을 자처한다. ‘윤리적 공동체’야말로 이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 마르쿠스는 팬데믹을 겪으며 수치나 통계를 보는 것에 익숙해지는 통계적 세계관이 가진 오류를 밝혀내고, 통계보다 양질의 결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통계적 세계관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상황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한다. 가령 코로나19 감염자와 사망자의 수에 몰두한 나머지, ‘어쩌다 이렇게 되었는가?’, ‘해결하기 위해서 집단 면역을 갖출 필요가 있는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외적으로 비춰지는 수치가 아니라 그 이면에 상황을 볼 수 있는 통찰력을 갖춰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윤리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취한 결과로 돈이 모이는 경제 체제’를 만든다는 지점은 무척 새롭다. 윤리자본주의를 설명하기 위해 저자는 자신이 관여한 프로젝트와 중국 민주화의 역설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유기농 식재료 사용, 사회계발 세미나를 제공하는 등 윤리적이기에 성공한 미헬베르거 호텔 사례를 통해 공동체주의가 신자유주의를 대신하는 시대가 왔음을 알리기도 한다. 개인 간의 커뮤니티 형성, ‘연대’를 이루는 행위는 분명 무너진 기존의 질서를 세울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작용한다. ‘나’도 모르는 사이, 세상과 긴밀하게 이어졌다 커뮤니티를 이루는 주체인 ‘개인’을 마르쿠스 자신만의 언어로 다루기도 한다. 무수히 많은 타인과 이어지는 소셜 미디어가 가진 문제점을 언급하고 있다. 가령 사람들로 하여금 새로운 정체성을 강매해 돈을 번다든지, 본인이 바라지 않는 자신을 강요한다든지 등의 문제다. 이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불교와 소크라테스 철학을 예로 들며 ‘자신을 정의할 수 있는 본질이 있다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본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걸까?’하는 의문이 든다. 이에 마르쿠스는 ‘인간의 본질은 답이 아니라 질문’이라 말하는 신실존주의 사상을 통해 인류의 사고를 정의내린다. 또 ‘인생의 의미란 무엇인가?’하는 본질적인 질문에 ‘살아가는 것의 의미는 살아가는 것’이라는 위트가 넘치는 말을 남기거나,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생을 되돌아보는 경험 등을 서술한다. 이 책은 이토록 지나치게 연결된 인류 공동체 속에서 개인은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는지 이야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