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이 연구에서 도출된 중요한 국제정치학의 이론적 및 경험적 결론은 미국의 모호한 대북정책과 북한의 균형화 전략을 현실주의 이론의 시각으로 설명할 수 있고, 경험적 측면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이 책은 냉전 이후 미국의 외교 안보정책과 북한의 핵정책을 병렬적으로 다룬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국제정치이론의 자유주의적인 시각에서 북한 핵문제를 대체로 북한 내부의 문제(예를 들어, 북한의 핵개발을 정권의 일탈행동으로 보고, 이에 따라 핵 위기의 원인이 전적으로 북한에 있다고 가정)로 취급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미국 외교 안보정책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하여 온 점이 없지 않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연구는 국제정치이론의 현실주의적 시각(북한은 자신의 안보이익을 위해 핵무기를 추구한다는 가정)에서 북한 핵 문제를 다루고 있다.
***
이 책은 현실주의 시각에서 특히 다음 두 가지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째, 탈냉전기 미국의 대북정책 수행을 국제체제 내 미국의 단극적(unipolar) 지위로 설명할 수 있는가? 둘째, 그러한 단극의 국제체제 내에서 북한정권은 미국을 상대로 자신의 생존을 위해 어떠한 대안을 가질 수 있는가?
-한글판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