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제1장 개론 1. 개설 2. 기본 필법 제2장 시대별로 본 글씨 1. 암각화 2. 서계 3. 갑골문 4. 전서 5. 소전 6. 예서 7. 진서 8. 행서 9. 초서 제3장 한글 1. 판본체 2. 궁체 3. 홀림체 4. 국한문혼서 5. 국문서간체 제4장 작품감상 1. 허미수 2. 윤영삼7언대련 3. 윤순 4. 김태석 5. 김가진 6. 정조 7. 신위 8. 정학교 9. 권동수 10. 오경석 11. 이하응 12. 김석준 13. 포세신 14. 강유위 15. 왕사양 16. 류검여 1 17. 류검여 2 18. 류검여 3 19. 류검여 4 20. 류검여의 홍련도와 매도 2점 21. 류검여의 와당 22. 김여초 1 23. 김여초 2 24. 김여초 3 25. 김여초 선면 26. 이응로의 수묵과 자화상 2점 27. 전간석 1 28. 전간석 2 29. 전간석 3 30. 장용남 한글 31. 전간석 한글 참고문헌

Description

필자가 쓰는 "서예 감상과 이해"라는 책의 의미는 화선지에 붓으로 글씨를 써서 작품을 만들어 놓은 글씨를 감상하는 방법을 말한다. 문자가 생기기 전의 암각화에서 시작하여 서계, 전, 예, 해, 행, 초서를 거쳐 우리나라의 한글판본과 궁체까지의 이론과 실제 서예의 예도를 게재하였고, 그리고 작가들의 작품을 게재하여 한점 한 점에 해설을 붙여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