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차적 관점

슬라보예 지젝
838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6(15)
Rate
3.6
Average Rating
(15)
<시차적 관점>은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1989)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1993) <까다로운 주체>(1999)의 뒤를 잇는 주저이며, 스스로 대작(Magnum Opus)라고 칭한 대표적인 저술이다. 이 책은 ‘바틀비 정치학’을 비롯하여 여러 층위에서 수 많은 논의를 촉발시키고 있다. 지젝이 온갖 분야를 넘나들면서 개입하는 이유는 결코 자신의 지식을 과시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특히 현대과학 중에서도 최첨단을 자랑하는 뇌과학과 대결하는 것도 단순히 관심분야가 폭넓어서가 아니다. 자기 의식과 정서를 물리와 화학, 신경학으로 설명하려는 뇌과학과 대결하지 않고서는, 즉 모든 것이 자연과학적으로 해명될 수 있다는 환원론과 대결하지 않고서는, 인간 행위의 지평, 참여와 실천을 위한 지평을 결코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4장). 지젝은 초기 저술부터 줄곧 규정과 능동성보다는 수동성, 물러남과 같은 부정성에 주목해왔다. 한편 많은 비판자들은 부정성과 수동성에서 어떻게 저항의 전략이 가능한지를 추궁해왔다. 지젝은 이 책에서 여기에 정면으로 답한다(3부 특히 6장). 지젝이 취하는 전략은 허먼 멜빌의 소설 <바틀비>(Bartleby)의 주인공인 바틀비의 태도 "나는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을 선호합니다”(I would prefer not to)이다(743쪽 이하). 지젝은 국지적인 문제와 각종 운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부정하고자 하는 것에 기생하는 정치학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단순히 모든 참여를 거부하겠다는, 행동과 참여의 내용에 반대한다는 뜻이 아니다. 또 완전히 새로운 대안이 바틀비의 몸짓에서 곧바로 도출된다고 주장하는 것, 지금의 체계를 넘어서는 질서를 상상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간과하는 것도 아니다. 새로운 질서를 건설하는 활동은 가장 근본적인 차원에서 “나는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을 선호합니다”에 의해 지탱된다는 것이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Rating Graph
Avg3.6(15)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서주: 손 곁에 있는 변증법적 유물론 010 제I부 별의 시차: 존재론적 차이의 덫 1장 _주체, 이 “내적으로 할례 받은 유대인” 038 간질이는 대상 | 칸트의 시차 | (칸트의) 이율배반의 정신으로부터 탄생하는 (헤겔의) 구체적 보편 | 주인기표와 그 부침 | 부디 바람이 잠잠하길 | 정치경제학 비판에 나타난 시차 | “무(無)가 자랑하는 이 유일한 대상…” 2장 _유물론적 신학을 위한 기본 구성요소 142 소년, 여인을 만나다 | 헤겔주의자로서의 키르케고르 | 거절 | 순수한 희생의 덫 | 칸트주의자 되기의 어려움 | 성육신이라는 희극 | 정치적인 범주로서의 오드라덱 | 지나치게 많은 생명! 간주1: 케이트의 선택, 또는 헨리 제임스의 유물론 252 제2부 태양 시차: 아무도 아닌 사람 되기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 3장 _신성한 똥되기의 참을 수 없는 무거움 296 태양에 덴 화상 | 당신의 동굴을 되찾아라! | 코페르니쿠스, 다윈, 프로이트 … 그 외 다수 | 가상의 새로운 과학을 향하여 | 각성에 대한 저항 | 신이 방문할 때 | 탈이데올로기의 탈승화된 대상 | 위험하다고? 어떤 위험을 말하는가? 4장 _자유의 고리 402 “전제의 정립” | 인지주의자 헤겔? | 그릇된 불투명성 | 감정은 거짓말을 한다, 또는 다마지오의 오류 | 헤겔, 마르크스, 데넷 | 물리학에서 디자인으로? | 무의식적인 자유 행위 | 유혹의 언어, 언어의 유혹 간주2: 사회적 연관들 속의 대상 a, 또는 반-반유대주의의 교착 상태 500 제3부 달의 시차: 감산의 정치학을 위하여 5장 _잉여가치에서 잉여권력으로 536 존재적 오류, 존재론적 진리 | 내맡기라고요? 그럴 수는 없습니다! | 스탈린주의 뮤지컬 이론에 대하여 | 생명정치적 시차 | 네 가지 담론의 역사성 | 정치적 범주로서의 주이상스 | 우리는 여전히 세계 속에 살고 있는가? 6장 _이데올로기의 외설적 매듭 그리고 그것을 푸는 방법 646 학문적인 럼스프린가, 또는 권력과 저항의 시차 | 인간의 권리 대 인간 아닌 것들의 권리 | 액자화된 폭력 | 닭의 무지 | 누가 근본주의라는 거물 악당을 두려워하는가? | 소수파 연합을 넘어서! | 이데올로기 이론가로서의 로베르트 슈만 | 미국 하위문화의 사막에 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달걀과 오믈렛과 바틀비의 미소 주(註) 755 옮긴이 후기 825 찾아보기 832

Description

왜 지젝인가 1989년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으로 혜성처럼 등장한 지젝은 매년 2권 이상의 책을 쏟아내며 단숨에 서구 지성계의 그야말로 ‘스타’가 되었다. “마르크스주의자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가벼웠고 영화이론가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무거웠으며 정신분석가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이론적이었고 정통 철학자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임상적”인 그의 글들은 프랑스철학 이후의 공백을 틈타 유행하는 지적 유희일 뿐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20년이 지난 지금 지젝은 이런 비판 어린 시선을 일축하며 전 지구적 자본주의 아래에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려는 진영의 중심에 서 있다. 지난 3월 13일에서 15일에 걸쳐 런던 버크벡 대학교에서 열린 “공산주의의 이념에 관하여”라는 심포지움은 지젝이 서구 지성계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지젝이 소장으로 있는 버크벡 인문학연구소에서 개최한 이 심포지움에는 알랭 바디우, 마이클 하트, 토니 네그리, 자크 랑시에르, 장-뤽 낭시, 지안니 바티모, 테리 이글턴, 피터 홀워드 등 세계적인 진보 지식인이 대거 참여했다. 캘리니코스가 비판적으로 말하긴 했지만, 입장이 분명한 하나의 진영을 구축하기 어려운 지금 이런 대가들을 한자리에 모을 수 있는 사람은 지젝이 유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뿐만 아니라 출간된 지젝에 관한 연구서만도 십여 권에 이르며, 지젝 연구를 위한 국제 저널과 연구센터가 생길 정도로 지젝은 우리 시대의 문제를 사유하는 데 가장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왜 「시차적 관점」인가? 「시차적 관점」은 수많은 지젝의 책 중에서도 독보적이다. 지젝의 저술은 라캉의 이론을 대중문화를 통해 소개하는 책, 9/11이나 이라크 전쟁 등의 국제적 문제에 시의적절하게 개입하려는 책, 자신의 이론적 작업을 구축해나가는 책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물론 이들은 서로 얽혀 있다). 「시차적 관점」은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1989)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1993) 「까다로운 주체」(1999)의 뒤를 잇는 주저이며 스스로 대작(Magnum Opus)라고 칭한 대표적인 저술이다(지젝의 글 쓰는 속도를 감안하면 상당한 기간이 지난 뒤 나온 주저이다. 그리고 가장 두껍다!). 화려한 수사를 구사하는 유행 철학자라고 여기다가 「시차적 관점」을 읽고 이 시대의 가장 실천적인 철학자로 생각하게 되었다는 옮긴이의 말처럼 「시차적 관점」은 기존의 지젝 사유를 집대성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실천의 가능성을 위해 분명한 한걸음을 내딛는다. 시차적 관점이란 책의 제목이자 책 전체를 가로지르는 키워드는 시차(視差, parallax)이다. 시차의 사전적 의미는 “관찰자가 어떤 천체를 두 지점에서 보았을 때 대상의 위치가 달라보이는 것”을 말한다. 지구와 가까이 있는 별을 지구와 멀리 있는 천체를 배경으로 놓고 볼 때, 관측하는 위치에 따라 가까이 있는 별이 전혀 다른 천체를 배경으로 해서 보이는 현상(지구의 공전 때문에 일어난다)을 일컫는 용어이다. 지젝이 이 용어를 천문학적 용례를 그대로 따라 사용하지는 않는다. 천문학적 시차는 관찰자의 시점에 따라 고정된 대상이 달라보이는 것을 지칭하지만 지젝의 의도는 이와 정확히 반대이다. 지젝이 가장 피하고자 하는 것, 더 정확히 말해 가장 논박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입장에 따른 관점이 차이이기 때문이다. 지젝은 이 개념을 두 가지 점에서 바꾸어 사용한다. 우선 그는 관점의 변화가 단순한 위치의 변화가 아니라, 대상 자체의 변화를 야기하는 훨씬 더 근본적인 상황에 초점을 맞춘다. 또 양립할 수 없는 두 개의 관점은 우리 지식의 한계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대상 자체의 비일관성’을 지칭한다는 것이다. “‘시차’란 두 층위 사이에 어떠한 공통 언어나 공유된 기반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결코 고차원적인 종합을 향해 변증법적으로 “매개/지양”될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율배반(antinomy)을 뜻하는 것이 아닌가? 시차적 간극이라는 개념은 결코 변증법에 되돌릴 수 없는 장애물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며, 그보다는 우리로 하여금 그 전복적 핵심을 간파할 수 있게 만드는 열쇠를 제시한다는 것이 이 책의 주장이다.”(14쪽) 둘이 아니라 하나 그 어떤 중립적 기반도 없이 서로 모순상태에 빠져 있는 것을 해결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이 둘을 초월하는 새로운 입장을 정립하는 것이었다. 관념론인 형이상학적 초월이든 유물론인 변증법적 종합이든 두 대립을 뛰어넘는 무엇을 구축하려 한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천 개의 고원’이 펼쳐져 있다고 하는 요즈음 이런 시도는 시대착오적으로 보인다. 그래서 우리는 해결되지 않고 방기되어 있는 대극을 도처에서 발견할 수 있다. 칸트 철학과 헤겔 철학, 인간적 존재와 사물인 존재자(하이데거)라는 양 극, 필연과 당위(1부); 나와 자아란 신경 신호일 뿐이라는 자연과학적 입장과 ‘나’란 결코 과학적으로 해명 불가능하다는 철학적 입장(2부); 우리의 삶을 속속들이 규제하는 법과 어느 시대보다도 더 ‘즐기라’고 강요하는 외설적 초자아라는 양 극, 정치와 경제, 넘쳐나는 인권과 인간 아닌 인간이라는 양 극, 인권과 시민권이라는 이율배반 등(3부). 지젝은 이 모두를 서로 다른 두 개의 대립으로 보기보다는 하나와 그 자체의 간극으로 보아야 한다고, 시차적 관점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바로 이럴 때에만 출구 없는 교착 상태를 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천과 저항을 위한 자리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젝이 온갖 분야를 넘나들면서 개입하는 이유는 결코 자신의 지식을 과시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특히 현대과학 중에서도 최첨단을 자랑하는 뇌과학과 대결하는 것도 단순히 관심분야가 폭넓어서가 아니다. 자기 의식과 정서를 물리와 화학, 신경학으로 설명하려는 뇌과학과 대결하지 않고서는, 즉 모든 것이 자연과학적으로 해명될 수 있다는 환원론과 대결하지 않고서는, 인간 행위의 지평, 참여와 실천을 위한 지평을 결코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4장). 지젝은 「시차적 관점」에서 우리에게 시차적 관점을 가지라고 요구하며 거의 매쪽마다 우리의 고정관념, 굳어진 관점을 전복시킨다: 정의나 인권, 민주주의의 문제에 무관심한 하이데거와 마찬가지로 자유민주주의적인 하버마스조차 윤리적 참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지 못한다고 말하며(179쪽); 하트와 네그리의 담론은 지구적 자본주의의 발달된 잠재력을 풀어놓을 뿐이며(525쪽); 인권은 결코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운 것처럼)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진 정치 이전의 권리가 아니다(666쪽) 등등. 이 과정에서 지젝은 국부적인 문제에 관심을 제한하는 최근의 이론적 경향과는 달리 전체적이고 보편적인 그림을 그려보이기 위해 노력한다. 이 책이 지젝의, 그리고 현대철학의 하나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면 바로 이런 깊이와 넓이 때문일 것이다. 새로운 실천의 가능성 우리의 시대는 ‘차이’의 시대이다. 개인적, 민족적, 성적, 정치적 차이를 드러내고 보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가치로 인정받는다. 하지만 지젝은 이 정체성의 정치학이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내고 전 지구적 자본주의가 작동하는 데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게이, 레즈비언, sm 등의 성적 정체성과 유대인, 히스패닉 등의 인종적 정체성이 강조될수록 정확히 여기에 맞추어 이들 각각을 위한 시장이 만들어지며 자본주의를 다시 매끄럽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는 것이다(여전히 국가주의와 획일화가 지배적인 우리나라의 경우와는 다소 다를 수 있지만). 그렇기에 지금 다시 요청되는 것은 ‘보편성’이라는 주장이다. 물론 하나의 구체성 아래 나머지의 차이를 무시하는 보편성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비움과 없음을 기반으로 하는 보편성이 요구된다는 것이다(73쪽 이하). 지젝은 초기 저술부터 줄곧 규정과 능동성보다는 수동성, 물러남과 같은 부정성에 주목해왔다. 한편 많은 비판자들이 부정성과 수동성에서 어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