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나는 스토아주의자가 되었다

마시모 피글리우치
360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5(18)
0.5
3.5
5
Rate
3.5
Average Rating
(18)
Comment
More

저자 마시모 피글리우치는 그 자신이 스토아 ‘덕후’다. 유전학, 진화 생물학, 철학 분야에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저명한 학자인 그는 자신의 삶에 스토아를 끌어들인 후부터 그야말로 인생이 바뀌는 경험을 했다고 말한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스토아의 진짜 얼굴을 보여주는 것이 철학자로서의 사명인 듯, 마시모는 따끈따끈한 스토아주의를 이용해 오히려 인생의 뜨거움을 식히는 방법을 알려준다. 교과서에나 나오는 사장된 단어쯤으로 치부했던 스토아에 대한 마시모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스토아뿐만 아니라 철학에 대한 인상마저 바뀌게 된다. 스토아는 이상적인 사회를 상상하는 대신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받아들이고 (실제적) 지혜, 절제, 정의, 용기라는 네 개의 기본적인 덕을 통해 수양을 추구한다. 하지만 굳이 이런 단어들을 외워야 한다는 압박 없이 그냥 읽으면 된다. 저자가 다양한 상황을 알아서 소개하고 거기에 맞는 우리의 태도를 알려준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5(18)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1장. 곧지 않은 오솔길 _9 2장. 여정을 위한 지도 _32 1부 욕망의 규율 : 당연히 원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3장. 어떤 일은 우리의 능력 안에 있고 어떤 일은 그렇지 않다 _49 4장. 자연에 따라 살기 _76 5장. 소크라테스와 공놀이하기 _99 6장. 신 혹은 원자들 _122 2부 행위의 수련 : 세상에서 어떻게 처신해야 하나 7장. 품성(그리고 덕)이 전부다 _145 8장. 매우 결정적인 단어 _164 9장. 역할 모델의 역할 _185 10장. 불구와 정신질환 _207 3부 승인 훈련 : 상황들에 반응하는 법 11장. 죽음과 자살에 대하여 _233 12장. 분노, 불안, 그리고 외로움을 다루는 법 _255 13장. 사랑과 우정 _278 14장. 정신의 실천 과제들 _298 부록 헬레니즘 시대의 실천 철학 학파들 _347 옮긴이의 글 _357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