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의 심리학 해설

칼 구스타프 융 and other
256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8(11)
Rate
3.8
Average Rating
(11)
인문학이 뽑은 심리학의 3대 거장 시리즈 '칼 구스타브 융' 편. 칼 구스타브 융은 분석심리학의 창립자이다. 그는 환자의 존엄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사려 깊은 심리학자였다. 틀에 박힌 방법으로 환자들을 치료하는 일을 경계했으며 개인에 대한 개별적 이해가 필요함을 주장했다. 권위보다는 환자를 생각했고 환자를 이해하고 도울 수 있다면 다른 학파의 방법도 개의치 않았다. 융은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스스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목회자가 많은 집안 분위기에서 성장하면서 그는 일치하지 않는 모순들과 오랜 시간 싸워야 했는데, 그 모순을 덮어 버리지 않고 답을 찾기 위해 끈질기게 공부하고 토론하고 성찰하였다. 이와 같은 성장 배경은 융이 환자를 인격적으로 배려하면서 치료하고자 한 신념이 되었고, 반복적으로 자기성찰을 하며 자신만의 사상 체계를 확립해 가도록 이끌었다. 융이 연금술에 몰두하게 된 배경도 여기에서 나왔다 하겠다. 이 책 1부 '나의 이야기'에서는 융이 유년기와 청소년기 시절 겪은 방황이 내밀하게 드러나 있으며, 어떻게 정신의학에 발을 내딛게 되었는지부터 프로이트와의 만남과 결별 그리고 그 이후 자기만의 정신분석학을 만드는 과정이 담겨 있다. 2부 '융 심리학의 해설'에서는 그가 창시한 분석심리학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정신분석학에서 융이 갖는 의의와 위치를 소개하고 있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Rating Graph
Avg3.8(11)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머리말_사려 깊은 심리학자 융 제1부 나의 이야기 제1장 어린 시절 제2장 10대 시절, 부모와의 갈등 제3장 아버지의 죽음 제4장 프로이트와의 만남 제5장 무의식과의 대결 제6장 연금술과의 만남 제7장 사상 제2부 융 심리학의 해설 제1장 인격이란 무엇인가 제2장 인격의 활동 제3장 인격의 발달 과정 제4장 개인의 성격을 유형화하다 제5장 상징과 무의식 제6장 심리학의 의의

Description

환자를 위해서라면 다른 학파의 방법도 상관없다 여러 갈래로 분화된 인격의 조화로운 통합을 추진한 심리학자 틀에 박힌 치료를 경계하고 환자에 대한 개별적 이해를 주장하다 사려 깊은 감수성과 지적 성찰로 환자를 돌본 심리학의 거장 칼 구스타브 융은 분석심리학의 창립자이다. 그는 환자의 존엄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사려 깊은 심리학자였다. 틀에 박힌 방법으로 환자들을 치료하는 일을 경계했으며 개인에 대한 개별적 이해가 필요함을 주장했다. 권위보다는 환자를 생각했고 환자를 이해하고 도울 수 있다면 다른 학파의 방법도 개의치 않았다. 융은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스스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목회자가 많은 집안 분위기에서 성장하면서 그는 일치하지 않는 모순들과 오랜 시간 싸워야 했는데, 그 모순을 덮어 버리지 않고 답을 찾기 위해 끈질기게 공부하고 토론하고 성찰하였다. 이와 같은 성장 배경은 융이 환자를 인격적으로 배려하면서 치료하고자 한 신념이 되었고, 반복적으로 자기성찰을 하며 자신만의 사상 체계를 확립해 가도록 이끌었다. 융이 연금술에 몰두하게 된 배경도 여기에서 나왔다 하겠다. 이 책 1부 ‘나의 이야기’에서는 융이 유년기와 청소년기 시절 겪은 방황이 내밀하게 드러나 있으며, 어떻게 정신의학에 발을 내딛게 되었는지부터 프로이트와의 만남과 결별 그리고 그 이후 자기만의 정신분석학을 만드는 과정이 담겨 있다. 2부 ‘융 심리학의 해설’에서는 그가 창시한 분석심리학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정신분석학에서 융이 갖는 의의와 위치를 소개하고 있다. 먼저 1부 노년까지를 다룬 융의 자서전을 읽으면 심리학자의 삶을 심리학적으로 이해하는 색다른 경험을 함과 동시에 그의 사상 세계 또한 더욱 쉽고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음을 다스려야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안 지성인 융의 어린 시절을 보면 그가 인간의 마음에 커다란 관심을 두고 심리학자로서 자신의 진로를 선택한 배경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된다. 융의 아버지는 목사였고 그 외에도 집안에 목회자들이 많아서 어린 시절부터 종교적 대화, 신학적 논의, 설교를 듣는 일이 일상적이었다. 융은 매일 밤 기도를 하며 마음의 안식과 위로를 얻었지만 집안 어른들의 대화에는 융이 납득하기 힘든 모순이 있었다. 신학자인 그들의 말이 본질을 비껴가고 있다고 느낀 융은 집에 있는 아버지의 신학 관련 책들을 모조리 찾아 읽었지만 그래도 불신을 극복할 해답을 찾지 못하였다. 그가 유년기에 느낀 불일치는 부모의 불화, 아무런 설명 없이 갑자기 맞닥뜨린 누이동생의 출생, 온전한 신앙을 갖지 못한 채 신앙인으로 살았던 아버지의 내적 모순, 세상에 나가 깨닫게 된 경제적 격차 등으로부터 나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서 융은 자아가 분리되는 경험을 하여야 했으며, 이는 그가 평생에 걸쳐 연구한 심리학의 주제가 되었다. 대학에 들어간 융은 내적 분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연과학, 인문과학, 철학, 신학을 아우르며 탐구하였고 그 과정을 거쳐 의학자로서의 길을 결정하게 된다. 융은 그중에서도 정신의학을 자신의 전공 분야로 선택한다. 융이 이 길을 자신의 숙명으로 여겼다는 사실은 당연하게도 느껴진다. 융은 스스로를 감금하듯 정신의학 연구에 몰두하며 치료의 열쇠를 찾고자 노력했다. 섬세하고 사려 깊게 환자를 대하며 인간을 이해하고자 한 융 융은 환자의 정신 치료와 분석을 함에 있어 환자 개개인을 우선시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진전되도록 배려했다. 융은 언제나 환자의 입장에서 생각했으며 그들의 자율성을 존중해 주었고,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그것이 어느 학파의 방법이든 개의치 않았다. 그에게 중요한 건 환자의 치료였다. 융은 피분석자들을 자신과 대등한 인격체로서 대하며 대화를 나누었고, 그들 가운데 대다수가 융의 제자가 되어 몇십 년이 지난 뒤에도 친분을 유지하였다. 융은 자신의 성장기를 통해, 아동기와 청년기에는 부모와 교육자가 끼치는 영향이 절대적일 정도로 크다는 사실을 잘 알았다. 그래서 환자를 치료할 때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상담하는 횟수를 달리했으며, 환자 스스로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분석할 수 있도록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환자의 상태를 볼 때 그의 미래 계획과 목표까지 고려하며 한 사람을 온전히 이해하고자 진심을 다하였다. 이처럼 융은 여러 관점을 갖고 환자의 상태를 이해하기 위해 되도록 다양한 지식을 쌓고자 했다. 학자로서의 융은 그렇게 콤플렉스, 집단무의식, 내향형과 외향형의 성격 유형 등의 이론을 정립하고 분석심리학을 창안하였다. 또한 신화의 해석, 기독교에 대한 분석도 손 놓지 않고 진행해 자기 인생의 해답을 얻고자 하였다.

Collec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