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 ‘보이지 않는 나’와의 만남 1부 시야를 넓힐수록 정말 ‘나’가 마법처럼 커질까? 1장 내 안의 ‘보이지 않는 나’는 누구일까? - 나의 과거를 훤히 기억하는 건 누구일까? - 미래를 내다보는 ‘보이지 않는 나’는 누구인가? - 두뇌에 생각을 넣어주는 건 누구인가? - 셀프1과 셀프2 2장 물리적 시야를 넓혀볼까? - 우주 사진을 보면 정말 성적이 뛰어오를까? - 천장이 높은 방에서는 정말 창의성이 높아질까? - 컴퓨터와의 거리를 넓힐수록 정말 쉬워질까? - 시야를 넓힐수록 정말 더 건강해질까? - 시야를 넓힐수록 운도 좋아질까? 3장 심리적 시야를 넓혀볼까? - 먼 거리를 상상할수록 협상성공률도 점점 높아질까? - 넓은 지역을 상상해도 창의성이 높아질까? - 외국문화를 받아들일수록 창의성도 높아질까? - 다국적 시각을 가질수록 협상력이 높아질까? - 비교대상을 넓힐수록 정말 덜 고통스러울까? - 시야를 넓히면 정말 다른 문이 보일까? 4장 시간적 시야를 넓혀볼까? - 길게 내다볼수록 정말 더 성공할까? - 길게 볼수록 정말 나를 더 정확히 보게 될까? 2부 공간을 넓힐수록 정말 ‘나’가 마법처럼 커질까? 1장 ‘나’의 공간을 남에까지 넓혀볼까? - 상대방의 눈으로 바라보면 마법처럼 갈등이 풀릴까? - ‘나’가 아닌 ‘누군가’의 눈으로 보면 정말 더 현명해질까? - ‘나’가 아닌 ‘누군가’의 눈으로 보면 정말 더 쉬워질까? - 닮고 싶은 사람을 받아들이면 정말 닮아갈까? 2장 ‘나’의 공간을 물건과 동물에까지 넓혀볼까? - ‘나’의 공간은 대체 어디까지일까? - 박쥐처럼 소리로 볼 수 있을까? - 흰개미처럼 에어컨 없는 건물도 지을 수 있을까? - 물고기처럼 얼음물 속에서도 살 수 있을까? - ‘나’의 공간을 무한히 넓히면 ‘나’도 무한해질까? 3장 공부를 할 때도 효과가 있을까? - 공간을 넓힐수록 정말 성적이 쑥쑥 올라갈까? - 시간적 거리를 더 넓히면 어떻게 될까? - 공부 사이의 시간적 거리를 넓히라 - 반복암기보다 문제를 풀 때 공간이 생긴다 4장 시야가 좁아지면 정말 ‘나’도 작아질까? - 시야가 좁아지면 정말 탈출하고 싶어질까? - 시야가 너무 좁아지면 정말 포기하고 싶어질까? - 시야가 좁아지면 정말 천재성도 닫혀버릴까? 5장 시야에 따라 ‘나’는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한다 - 시야를 넓히면 창의적인 일을 잘하고, 좁히면 구체적인 일을 잘한다 - 메시지 전달자, 전달 내용, 전달 장소의 시야를 일치시키라 - 큰 그림은 먼 곳에서 제시하라 #1부, 2부 리뷰 - 시야를 넓힐수록 ‘나’는 정말 마법처럼 점점 커진다 3부 텅 빈 공간이 정말 ‘진정한 나’일까? 1장 왜 시야를 넓히는 대로 거침없이 퍼져나갈까? - 시야를 무한히 넓혀볼까? - 내 몸과 만물도 정말 텅 빈 공간일까? - 두뇌의 생각이 허상을 만들어낸다 - 시야를 넓히면 ‘현실은 동영상’임을 알게 된다 - 시야를 넓히면 모든 시끄러움이 공간 속으로 사라진다 2장 왜 텅 빈 공간에서 끝없이 요술이 쏟아져나올까? - 텅 빈 공간은 요술 빛 알갱이들로 가득하다 - ‘개체 나’ vs. ‘전체 나’ - 빛 알갱이들은 두 개의 몸을 갖고 있다 - ‘나’도 빛 알갱이처럼 두 개의 몸을 갖고 있다 3장 전지전능한 빛 알갱이를 보면 나를 알 수 있다 - 위기가 닥치면 폭발적인 힘을 발휘한다 - 측정 불가능한 무한한 힘을 갖고 있다 - 어떤 장벽도 넘어선다 - 거리에 구애받지 않는다 - 과거도 바꿀 수 있다 4장 ‘셀프1’이 닫히면 ‘셀프2’가 퍼져나간다 - 육신의 장애는 영적 도약을 위한 것이다 - 벗어나지 못할 시련은 설계되지 않는다 - ‘빛으로 된 나’는 음식을 안 먹어도 살 수 있을까? - 시야를 넓힐수록 물질적 환영에서 점점 벗어나게 된다 - 무한한 빛의 세계가 영원한 ‘진실’이다 4부 텅 빈 공간이 부리는 요술 1장 텅 빈 공간에서 모든 것이 흘러나온다 - 내 몸을 돌아가게 하는 것은 정말 나일까? - 텅 빈 공간이 내 몸을 돌아가게 한다 - 지능은 정말 두뇌에서 흘러나오는 것일까? - 텅 빈 공간에서 무한한 지능이 흘러나온다 - 텅 빈 공간이 우주를 완벽하게 돌아가게 한다 2장 공간의 크기가 현실 창조력의 크기이다 - 별에게 소원을 빌면 정말 이뤄질까? - 다른 생각이 달라붙지 않아야 한다 - 생각을 완전히 놓아주면 저절로 이뤄진다 - 이미 풀렸다고 상상하면 정말 이뤄질까? 3장 텅 빈 공간은 정말 모든 답을 알고 있을까? - 왜 생각을 멈추면 답이 나올까? - 모든 답은 텅 빈 공간에 저장된다 4장 텅 빈 공간에서 답을 얻으려면? - 문제를 풀다 가벼운 일을 하라 - 왜 가벼운 일을 할 때 생각이 잘 떠오를까? - 좀더 어려운 문제에 대한 답도 나올까? 5장 있는 그대로 관찰하면 텅 빈 공간이 나타난다 - 몸에 귀를 기울이면 꼭 필요한 만큼만 먹게 된다 - 있는 그대로 관찰만 해보라 - 생각만 끼어들지 않으면 몸이 알아서 공을 쳐준다 6장 좋아하는 장면을 상상하면 마음이 활짝 열린다 - 좋아하는 동물, 꽃, 물고기를 상상하라 - 과거의 즐거웠던 추억을 상상하라 - 좋아하는 게 있으면 마음이 닫히지 않는다 5부 시야를 무한히 넓히려면? 1장 왓칭은 ‘들여다보기’이다 - 들여다보면 텅 빈 공간이 생긴다 - 가만히 들여다보면 생각과의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