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을 내면서 1장 서양고중세사의 연구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머리말 / 서양고중세 연구의 성과 / 중학교 역사교과서 서술을 통해 본 서양고대사 교육 현황 중학교 역사교과서 서술을 통해 본 서양중세사 교육 현황 / 맺음말 2장 서양근현대사 연구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머리말 / 시대별 한국서양사학의 동향과 성과 / 탈유럽중심주의와 비교사, 교류사, 지구사의 등장 교육과정과 서양근현대사 연구성과의 반영 / 서양사 연구와 교육을 위한 제언 / 맺음말 3장 동양고대사의 연구성과와 세계사교과서 서술 머리말 / 중국고대사 연구성과와 교과서 기술 / 교과서의 서술 원칙 분석 / 맺음말 4장 동양근세사 연구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머리말 / 2007, 2011 역사과 교육과정과 집필 기준의 세계사 관련 주요 특징 북방 유목민족에 대한 새로운 연구시각과 중학교 역사교과서 서술 내용 검토 / 맺음말 5장 한국고대사의 연구성과와 역사교과서 서술의 방향 머리말 / 역사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검토 /최근 한국고대사의 연구동향과 성과 한국고대사 관련 주요 주제와 교과서 서술 방향의 모색 / 맺음말 6장 고려시대사의 연구성과와 교과서 서술 내용 검토 머리말 /성취 기준과 집필 기준 분석 / 8종 교과서의 서술 내용 분석 / 맺음말 7장 한국근세사 연구의 성과와 국사교육 머리말 / 1960~1970년대 조선시대사 연구와 국사교육 / 1980~1990년대 조선시대사 연구와 국사교육 21세기 조선시대사 연구와 국사교육의 방향 / 맺음말 8장 한국근현대사의 연구성과와 교과서 서술 머리말 / 근대 민족운동의 흐름 / 식민지 조선 사회의 성격과 토지조사사업 일제하 민족해방운동 / 해방과 신국가 건설 / 박정희 정부 시기의 경제성장 /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