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드

최영희 and other · Kids
180p
Where to buy
content
Rate
Comment
More

최영희 작가의 어린이 SF 장편동화 『써드 1』은 디스토피아적 인공지능 세상을 배경으로 한다. 도시에는 로봇들이 머물고, 인간들은 국가도 사회도 해체된 채 로봇들이 허락한 곳에서 ‘마을’을 이루고 살아간다. 그러던 어느 날, 숲에서 마을의 주민 압둘라가 죽은 채 발견된다. 도시에서 온 로봇 조사관 리처드와 돼지치기 인간 소녀 요릿은 한 팀이 되어 숲을 조사하기 시작한다. 숲속에서는 인간의 것도, 로봇의 것도 아닌 기이한 흔적들이 발견되고 급기야 리처드와 요릿은 정체를 알 수 없는 거대한 괴물을 마주치기에 이른다. 그러나 괴물은 요릿과 리처드를 오히려 도와주고 인간의 언어로 말을 걸어오는데…. 이 괴물은 어디에서 온 걸까? 괴물은 왜 마을 사람을 죽인 걸까?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 6 돼지치기 요릿 …… 12 조사관 리처드 …… 21 숲으로 …… 30 구덩이 …… 40 괴물 …… 52 감시자 …… 66 박사 …… 80 닥터 프랑켄 …… 94 믿음과 함정 …… 106 선택 …… 118 써드 …… 129 닥터 프랑켄의 수조 …… 145 오두막에서 …… 160 에필로그 …… 170 작가의 말 …… 176

Description

“인간은 실수를 반복하고, 효율적이지 못해.” 로봇이 인간을 지배하게 된 세상에서 삶의 의미를 묻는 장편동화 인간의 능력을 훌쩍 뛰어넘더니 아예 문명의 주인 자리를 꿰차버린 기계인간, 그리고 하루아침에 모든 걸 빼앗기고 황무지로 추방당한 인간. 인간은 자동차도 항생제도 전기도 없는 황무지에서 살아가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다시 처음부터 기술을 발전시켜 나간다 해도 기계인간을 따라잡을 수 없을 것이다. 최영희 작가의 어린이 SF 장편동화 『써드 1』은 디스토피아적 인공지능 세상을 배경으로 한다. 도시에는 로봇들이 머물고, 인간들은 국가도 사회도 해체된 채 로봇들이 허락한 곳에서 ‘마을’을 이루고 살아간다. 그러던 어느 날, 숲에서 마을의 주민 압둘라가 죽은 채 발견된다. “인사드려라, 요릿. 도시에서 온 조사관님이다.” “도시요? 그럼 쟤가 로봇?” 오래전 추방령이 내려진 뒤로 도시에는 단 한 명의 인간도 남아 있지 않았다. 로봇들에게 도시의 모든 걸 넘겨주고 빈털터리로 쫓겨났으니까. “어헛! 예의 바르게 굴어야지.” 촌장님은 요릿을 돼지우리 앞으로 끌고 갔다. “내일 조사관을 동북쪽 숲으로 안내해야 한다. 숲을 잘 아는 약초꾼들이 하필이면 다른 마을로 약초를 팔러 떠났지 뭐냐. 보름은 지나야 돌아올 텐데, 조사관이 내일 당장 숲에 가야 한다고 하고…. 암만 생각해도 너밖에 떠오르질 않더구나. 너는 약 초꾼들만큼이나 숲길에 밝잖니.” _15~18쪽 도시에서 온 로봇 조사관 리처드와 돼지치기 인간 소녀 요릿은 한 팀이 되어 숲을 조사하기 시작한다. 숲속에서는 인간의 것도, 로봇의 것도 아닌 기이한 흔적들이 발견되고 급기야 리처드와 요릿은 정체를 알 수 없는 거대한 괴물을 마주치기에 이른다. 그러나 괴물은 요릿과 리처드를 오히려 도와주고 인간의 언어로 말을 걸어오는데…. 이 괴물은 어디에서 온 걸까? 괴물은 왜 마을 사람을 죽인 걸까? ‘책’과 ‘이야기’의 힘을 믿는 한 인류는 계속된다! SF 소설의 영원한 주제, “나는 누구인가?” 『써드 1』은 수천 년간 인간이 이룩한 모든 문명을 빼앗긴 상황에서, 인간에게 남은 ‘로봇과 다른 점’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그리고 작가는 인간 집단이 가지고 있는 상상력, 로봇들이 ‘망상’이라고 부르는 것, 주인공 요릿의 언니가 ‘꿈’이라고 부르는 그것에 답이 있다고 답한다. 바로 ‘이야기’의 힘을 믿는 것이다. 『써드 1』에서 요릿의 마을에는 단 한 명의 할아버지만이 ‘독서’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오래전 로봇들이 인간들을 쫓아낼 때 책을 모조리 빼앗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로봇들의 도시에 창고를 만들어 꽁꽁 숨겨 두었다. 기계인간들의 ‘분서갱유’인 셈이다. 그러나 필요한 데이터에만 접근하고 수집하는 로봇들과 달리, 인간들은 할아버지의 입을 통해 오랜 시간 간접적으로 수많은 책의 이야기를 접하고 전승해 왔다. 온전치 않은 기억으로 전해진 이야기의 빈틈을 메꾸는 건 아이들의 몫이 되었다. “책을 지키고 이야기를 지켜 낸다면, 인간은 무너진 세상을 다시 세울 수 있다!” _ '작가의 말'에서 최영희 작가 역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데 그치지 않고, 『써드 1』 속 마을 할아버지처럼 이야기의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취한다. 소설을 관통하는 또 다른 소설인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시작으로, 『빨간 모자』, 『인어공주』와 같은 동화뿐만 아니라 알퐁스 도데의 『별』, 제인 오스틴의 『노생거 수도원』,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를 곳곳에서 언급하며 어린 독자들로 하여금 책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한다. 특히, 최초의 SF 작가라고 여겨지는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은 『써드 1』 속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실마리가 된다.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괴물이 던진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써드 1』의 괴물에게로 이어지며 정체성을 정의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도록 만든다. 존재가 규정되지 않은 괴물이 “나는 누구인가?”라는 엉뚱한 질문을 던진다. 이 근원적인 질문은 ‘삶의 의미’를 고민하게 하며, 어린이들이 동화를 더욱 입체적으로 읽도록 돕는다. _이시내(초등 교사) 추천의 글에서 ‘인간다움’이란 어떤 것인가? ‘존재’는 무엇으로 이름 지어지는가? 어린이 독자들에게 던지는 철학적인 질문들 로봇은 만들어지는 재료와 방식 때문에 마음이나 영혼 따위는 없을 것처럼 보인다. 기계인간에게 마음이 없다고 말하려면 인간의 마음도 어디에 있는지 알아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인간의 마음이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 감동적인 영화나 찡한 장면을 보았을 때 가슴 한구석이 저려 오는 걸로 보아 그 언저리에 마음이 있는 것 같다. 하지만 현대 과학이 밝혀낸 바에 따르면 마음도 두뇌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일종일 뿐이다. 그렇다면 전기 신호로 움직이는 기계인간도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닐까? 도시에서 온 수사관 리처드는 사람들과 섞여 있을 때에도 위화감이 없게 용모가 만들어진 로봇이다. 체격 조건이나 능력도 또래 나이의 인간과 유사하게 설계되었다. 주인공 요릿과 숲을 탐사하다가 깊고 큰 구덩이에 빠지던 순간에는 자신의 몸을 희생하여 요릿을 구하기도 한다. 아무리 재조립을 통해 ‘리셋’될 수 있는 로봇이라지만 이렇게 ‘효율적’이지 못한 선택은 기계인간에게도 마음이 있는 것은 아닐지 생각해 보게 한다. 요릿이 로봇들을 비하하며 ‘고철족’, ‘로봇팔의 후손’ 등으로 부를 때 강한 거부감을 드러내는 점에서도, 여럿이 모여 문명을 이루고 판단과 결정을 내리며 살아간다는 점에서도 인간과 기계인간의 경계가 희미해진다. “기계인간도 마음이 있고 생각이 있어. 너희 인간들은 끝까지 인정 안 하는 것 같지만.” _112쪽 ‘인간’이라는 정체성만으로 기계인간을 상대하는 인간들, 그런 인간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며 ‘완벽한 인간’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기계인간들, 인간의 상상력을 탐냈다가 미쳐버린 기계인간, 그리고 세상에 없던 새로운 존재인 괴물 등 『써드 1』은 다양한 등장인물들을 통해 존재론적 고민과 마주하며, ‘인간다움’에 관한 여러 철학적인 고민을 하게 돕는다. ⁂ 허블어린이 시리즈 소개 허블어린이 시리즈는 김초엽의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천선란의 『천 개의 파랑』 등을 출간해 SF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브랜드 ‘허블’의 어린이를 위한 장편동화 시리즈이다.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영감과 감수성의 원천이 되어줄, 어린이들을 위한 SF 장편동화를 엄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