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체론

시라이 사토시
33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6(8)
0.5
4
5
Rate
3.6
Average Rating
(8)
Comment
More
[광고] <아임 스틸 히어> 보드배너[광고] <아임 스틸 히어> 보드배너

이 책의 제목은 ‘국체론’이다. 별로 들어보지 못한 생소한 단어가 아닐 수 없다. ‘국체(國體)’란 ‘천황제를 중심으로 한 일본의 통치 체제’를 뜻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국체’를 이해해야만 ‘파멸로 가는 일본’의 정체성을 직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명문대를 나온 정치학 박사인 젊은 지식인이 ‘파멸’이라는 단어까지 사용하며 자국을 비판한 이유는 무엇일까? 상징적인 역할만 하는 천황제가 어떻게 일본을 파멸시키고 있다는 걸까? 질문의 대답은 천황제가 현재까지 존속할 수 있었던 배경에 있다. 이 책은 국체의 형성기와 안정기, 붕괴기를 분석함으로써 패전 이후 천황제를 지키고 민주주의를 버린 일본 우익의 정체성과 대미 종속국가 일본의 본질을 예리하게 파헤친다. 왜 아베 정권이 한국에서 전쟁이 일어나기를 바라는지, 왜 일본은 패전 후에도 독일처럼 과거사를 반성하지 않는지, 왜 아베 정권은 경제적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한국에 적대적인 태도를 취했는지, 외부인의 시선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던 일본 사회의 본질을 샅샅이 꿰뚫어볼 수 있을 것이다.

Rating Graph
Avg 3.6(8)
0.5
4
5

Author/Translator

Comment

3

Table of Contents

서문-왜 지금 ‘국체’인가 연표-반복되는 국체의 역사옮긴이 해제 제1장 천황은 ‘말씀’을 통해 무슨 말을 하려 했나 1 ‘말씀’의 문맥 2 천황의 기도 3 전후 레짐의 위기와 상징 천황 제2장 국체, 두 번 죽다 1 ‘잃어버린 시대’ 헤이세이2 역사극은 두 번 되풀이된다 3 전전 국체의 3단계 4 전후 국체의 3단계 5 천황과 미국 제3장 근대국가의 건설과 국체의 탄생 (전전 레짐 : 형성기)1 메이지 유신과 국체의 형성 2 메이지 헌법의 양면성 3 메이지의 종언 제4장 천황과 미국의 결합 -‘전후 국체’의 기원 (전후 레짐 : 형성기①) 1 ‘이해와 경애’의 신화 2 천황제 민주주의 제5장 ‘천황을 지켜라’ 국체호지의 정치 신학 (전후 레짐 : 형성기②)1 포츠담선언 수락과 국체호지2 국체는 털끝만큼도 변경할 수 없다3 국체의 풀 모델 체인지4 정이(征夷)하는 미국 제6장 이상의 시대, 그 어긋남 (전후 레짐 : 형성기③) 1 폐허·암시장에서 ‘전후 국체’의 확립으로2 정치적 유토피아의 종언 제7장 국체의 불가시화에서 붕괴로 (전전 레짐 : 상대적 안정기~붕괴기) 1 전전·전후 ‘상대적 안정기’의 공통성 2 메이지 레짐의 동요와 좌절3 ‘국민의 천황’이라는 관념 4 천황제와 마르크스주의자 5 기타 잇키와 ‘국민의 천황’제8장 ‘일본의 미국’-‘전후 국체’의 종착점 (전후 레짐 : 상대적 안정기~ 붕괴기) 1 쇠퇴하는 미국, 위대해지는 미국 2 점점 더 이상해지는 대미 종속 3 예속과 부인 4 두 개의 아이덴티티 제9장 국체의 환상과 그 힘 1 국체의 환상적 관념 2 국체가 초래한 파멸 3 다시 ‘말씀’에 대하여 주석

Collections

2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