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애착은 개인과 사회를 위한 행복씨앗이다
1장 대한민국을 뒤흔드는
금수저, 흙수저 신드롬
잘사는 나라의 마음이 가난한 아이들
정서적 빈곤에 시달리는 대한민국
그들에게 없는, 가장 중요한 한 가지
정서적 빈곤은 수많은 문제 행동을 낳는다
2장 애착손상 권하는 사회
영국의 보육 정책은 왜 실패했나?
극단적 통제와 허용 사이에서 상처받는 아이들
아이는 접촉 위안이 필요하다
부모들의 로망에 따라 길러지는 아이들
헬육아, 독박육아에 지친 부모들
아기들이 가장 원하는 것
부모의 이혼이 자녀에게 드리우는 그림자
낳기만 해라, 정부가 키워줄게?
3장 심리적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아이들
인간의 생존 본능, 애착
내 편이 되어줄 것이란 믿음과 기대
아기들은 어떻게 애착을 형성하는가
신호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는 어른들
양육자와 아이의 애착 유형
4장 사람의 일생에 영향을 미치는 발달 트라우마
DDT보다 더 독한 DTD
수많은 ‘장애’로 진단되어 온 발달 트라우마
애착손상이 지속적으로 벌어질 때
아동기의 부정적 경험의 위험성
연결이 끊어지면 건강한 성장과 발전도 어렵다
춤을 추듯 아기와 조율하라
발달 트라우마가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발달 트라우마는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5장 누구나 안전 기지가 필요하다
성인에게도 애착 관계가 중요하다
양육자로서 나의 애착 유형은?
모성과 부성의 대물림
과잉 애착은 독친으로 이어진다
6장 어떻게 정서적 금수저로 키울 것인가
부부 싸움 대신 부부 화목으로
억압하지 말고 엄하게 키우자
아이를 부모의 따뜻한 시선 안에 두자
놀이터에 보내지 말고 놀이터가 되자
아이의 금맥을 발견하라
‘아부지’가 아니라 아버지가 되자
조건 없는 사랑을 주는 단 한 사람이 필요하다
‘행동코칭’이 아니라 ‘감정코칭’을 하라
부부가 일과 가정을 함께 세우는 큰 그림을 그려라
7장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를 위해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길
사람과 사람이 연결되는 애착 사회
노동 시간이 아니라 가족 시간을 확보하자
애착의 질을 우선시하는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라
가정이 행복해야 기업도 성장할 수 있다
애착의 2차 방어선인 학교도 나서야 한다
에필로그 함께 애착 사회를 꿈꾸며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