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서문_음악에 도래한 추상화의 시대 1장. 왜 바흐로부터 출발하는가? _ 바흐의 무중력 그리고 리게티의 구름 - 바흐, 음악의 ‘무중력’을 표현하다 - 리게티, (뜬)구름을 잡는 음악 2장. ‘새로운 음악’을 시작하다 _ 쇤베르크의 음악과 현상학적 환원 - 화음의 세계를 넘어 ‘응집력’의 세계로 - 쇤베르크의 현상학적 환원_조성음악을 넘어선 보편적 질서의 탐구 - 새로운 음악의 응집력_화음이 아닌 ‘유사성’과 ‘상동성’ - 쇤베르크는 자신의 원칙에 철저했는가? 3장. 전자음악의 탄생 _ 쇤베르크의 한계를 넘어서 - 전자음악의 혁명성_새로운 재료는 새로운 형식을 만든다 - 쇤베르크는 새로운 재료에 맞는 기술을 사용했는까? - 전자음악의 탄생_쇤베르크를 넘어서 4장. ‘더’ 새로운 음악을 찾아서 _ 베베른과 불레즈 - 여전히 새롭지 않은 오래된 관습을 타파하다 - 아도르노의 편협함_쇤베르크 이후 새로운 음악에 대해 비판적인 이유 - 안톤 베베른_수직축과 수평축을 넘어선 ‘대각선적인 것’의 혁명 - 새로운 음악의 혁명_거시적 구조로부터 미시적인 ‘강도’의 차원으로 - 사건으로서 음의 미시적 세계_다시 바흐, 리게티와 만나다 5장. 음악적 반복의 새로운 시도 _ 미국 미니멀리즘 음악 - 반복형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왜 필요한가? - 동일성을 생산하는 전통음악의 반복구조 vs. 차이를 생산하는 현대음악의 반복구조 - 전통음악의 재현주의를 거부한 미니멀리즘 라 몬트 영의 반복구조 | 테리 라일리의 반복 구조 스티브 라이히의 반복 구조 | 필립 글래스의 반복 구조 - 반복과 사건, 그리고 강도의 세계 각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