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일러두기 옮긴이의 말 서론: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식의 입문을 위하여 I. 한 순회巡廻 철학자의 여정 1. 청소년기(1889~1911) - 바이닝거의 독자 비트겐슈타인 2. 케임브리지에서의 첫 번째 체류와 『논리-철학 논고』(1911~1919) 3. 잃어버린 시기(1919~1929) 4. 케임브리지로의 귀환과 제2차 세계대전(1929~1945) - 소련에서의 비트겐슈타인 5. 말년(1945~1951) II. 논리적 원자주의의 영광과 불행: “전기” 비트겐슈타인 1. 철학에서의 언어적 전환 2. 『논리-철학 논고』의 존재론 3. 인과성, 귀납, 그리고 미신 4. 언어 그림 이론 - 실재의 그림으로서의 명제 - 모사 형식 5. 말함과 보임 6. “구체제”의 철학과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 어떤 철학 방법? 7. “형이상학적 자아”와 유아주의 - 유의주의의 언표 불가능한 진리 8. 비트겐슈타인과 비엔나 학단: 많은 오해 - 비트겐슈타인과 비엔나 학단: 카르납의 회고적 시각 III. “더 높은 것”: 윤리, 신비, 미학 1. 언표 불가능한 윤리 - 자살, 근본적인 윤리 문제 - 한 군인의 삶의 철학 - 행복의 기술 2. 신비와 종교 - 비트겐슈타인의 삶과 사유에서 종교 3. 미학 - 심미적 감상이란 무엇인가? IV. “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1. “아우구스티누스식 언어관”에 대한 비판 - “거친 대지로 되돌아가자”: 쓰임으로서의 의미 2. 언어놀이, 가족 유사성, 그리고 삶의 형태 3. 언어에 의해 걸린 마법에 맞서는 투쟁으로서의 철학 - 정의定義를 일목요연한 봄으로 대체하다 4. 사적 언어의 불가능성 - 초청 연사를 부지깽이로 위협할 수 있는가? - 규칙을 따른다는 것은 무엇인가? 5. 내면성[의 그림]에 대한 비판 - 비트겐슈타인과 케인스: 교차하는 평행선? 6. 심리학에 대한 비판 V. 인식론자 비트겐슈타인 1. 나는 내가 꿈을 꾸고 있지 않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확실성의 문법과 앎의 문법 - 오류의 문법 - 의심의 문법과 외적 세계의 문법 2. 어떤 인류학적 설명? - 발생적 설명에 맞서: “연관들을 본다” 3. 정신분석의 은밀하지만 강력한 매력 4. “순수 수학” 혹은 반박 불가능성의 환상적 낙원 결론: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암살자? 참고 문헌 1. 비트겐슈타인 문헌 약호 2. 비트겐슈타인의 저작 3. 일반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