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서문 2 제1장 신생민주주의와 법집행 01 국가 공권력 조직과 민주주의 18 02 신생민주주의 국가의 법집행 조직 35 03 경찰개혁과 민주적 경찰 49 04 방법론, 사례, 연구 설계 54 05 책의 구성 63 제2장 민주화와 법집행개혁의 정치 01 민주적 경찰의 수립 69 02 경찰유형의 다양성 82 03 경찰개혁의 정치 91 04 결론 109 01 국가 공권력의 형성 114 02 권위주의 하의 정치와 관료 127 03 권위주의 경찰 148 04 결론 170 01 민주화와 경찰개혁의 조건 175 02 정치지도자의 경찰개혁 186 03 경찰개혁의 정치 211 04 결론 215 01 국가 공권력과 법집행 219 02 법집행의 책임성 231 03 법집행 변화의 경로 258 04 결론 262 제3장 국가 공권력과 권위주의적 법집행 01 국가 공권력의 형성 114 02 권위주의 하의 정치와 관료 127 03 권위주의 경찰 148 04 결론 170 제4장 한국: ‘자의적 집행자’에 대한 개혁 01 민주화와 경찰개혁의 조건 175 02 정치지도자의 경찰개혁 186 03 경찰개혁의 정치 211 04 결론 215 제5장 한국: ‘공정한 집행자’로의 불완전한 이행 01 국가 공권력과 법집행 219 02 법집행의 책임성 231 03 법집행 변화의 경로 258 04 결론 262 제6장 대만: 제약된 ‘자의적 집행자’에 대한 개혁 01 민주화와 경찰개혁의 조건 265 02 정치지도자의 경찰개혁 279 03 경찰개혁의 정치 301 04 결론 305 제7장 대만: ‘중재자’로의 전환 01 법집행 능력 309 02 법집행의 책임성 322 03 국가 공권력의 변화 330 04 결론 348 제8장 멕시코: ‘궁정 경비병’에 대한 개혁 01 민주화와 경찰개혁의 조건 351 02 정치지도자의 경찰개혁 365 03 경찰개혁의 정치 392 04 결론 397 제9장 멕시코: ‘궁정 경비병’의 지속 01 법집행 능력 401 02 법집행의 책임성 421 03 국가 공권력의 변화 440 04 결론 446 제10장 민주화, 국가폭력, 그리고 법치 01 권위주의적 경찰에 대한 개혁 450 02 경찰의 변화 467 03 법치와 민주주의의 공고화 487 04 결론 503 참고문헌 506 찾아보기 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