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그 불가능한 죽음

김진수
372p
Where to buy
content
Rate
Comment
More

1990년 「문학과사회」에 '죽음의 신화적 구조 - 박상륭의 <죽음의 한 연구>'를 발표하며 평론 활동을 시작한 김진수의 첫 비평집. '성찰'과 '환상'이라는 두 개의 낭만주의 비평론의 준거틀로 1990년대의 문학적 성과들을 분석하고자 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1. 정처 없음의 풍경 실재성 부재와의 싸움 90년대 시의 탈정치성과 그 문제점 일상, 길, 또는 정처 없음의 풍경 새로운 천년의 시학? 2. 세기말의 쓸쓸한 그리움 시가 있던 자리의 풍경 불꽃과 피의 시학 길의 추억, 불모와 적요의 풍경 세기말의 쓸쓸한 그리움 길이 끝난 곳에서 시작되는 길 3. 벽 앞의 어둠 비와 바람 속에서 - 함성호의 시세계 출구 없는 세계의 어둠 - 윤의섭의 시세계 '탈피'와 '회귀'의 꿈 - 이인순의 시세계 빈 중심, 정처 없는 바깥의 풍경 - 김소연의 시세계 불길한 삶과 불온한 욕망의 긴장 - 윤효의 시세계 벽 앞의 어둠 - 이철성의 시세계 '어둠의 얼굴'의 현상학 - 고통을 껴안고 고통을 넘어서기 4. 아, 박상륭! 죽음의 신화적 구조 - 박상륭의 <죽음의 한 연구> 대지의 은총과 생명의 축제 - 박상륭의 <죽음의 한 연구> 개정판 해설 '몸 입기'의 지난함과 지복함 - <칠조어론> 1, 2 되돌아오는 삶, 불가능한 죽음 - '마음의 우주'의 한 풍경 5. 위기의 시대와 비평 대중 문화 속에서의 시의 위상 위기의 시대와 비평의 위기 90년대 문학 비평의 비판적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