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일러두기 오에 컬렉션을 발간하며 제1부 새로운 소설 방법론 1. ‘소설의 목소리’를 듣다 새롭게 문학을 바라보며 소설의 방법론 새로운 문학 입문서 밀란 쿤테라의 소설 쓰기 2. 다양한 레벨에서 관계 맺기 『그리운 시절로 띄우는 편지』와 『신곡』 일상어와 문학어 『신곡』의 다양한 감동 다양한 읽기의 효과 신세대 작가의 소설 작법 3. 기본적 수법 ‘낯설게 하기’ (1) 작은 하나의 말 이화, 낯설게 하기 시클롭스키의 『러시아 포멀리즘 논집』 소설과 르포르타주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 4. 기본적 수법 ‘낯설게 하기’ (2) 무용의 낯설게 하기 문학의 낯설게 하기 말의 낯설게 하기 나쓰메 소세키의 『명암』 문학, 소리를 갖다 5. ‘낯설게 하기’에서 전략화·문체화로 살아 있는 듯 생생한 문체 사물을 사물로 바라보기 울림을 가진 말 글쓴이의 전략 파악하기 문학을 혁신하는 힘 제2부 새로운 문학의 원리 6. 상상력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1) 야나기타 구니오의 상상력 발자크의 『환멸』 체호프의 『결투』 열린 마음 닫힌 마음 7. 상상력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2) 타르콥스키의 〈노스텔지아〉 바슐라르의 『공기와 꿈』 상상력의 기능 인간다운 결의 말은 세상 그 자체 8. 문학, 세상의 모델을 만들다 야우스의 『도전으로서의 문학사』 문학과 사회의 관계 로트만의 『문학 이론과 구조주의』 톨스토이의 전쟁 모델 새로운 ‘기대의 지평’ 9. 읽기와 쓰기의 전환 장치 (1) 그리운 모국어 살아 있는 모든 것은 노래를 부른다 읽기와 쓰기의 전환 로렌스 스턴의 『트리스트럼 샌디』 찰스 디킨스의 『황폐한 집』 10. 읽기와 쓰기의 전환 장치 (2) 읽는 행위 쓰는 행위 구상하는 행위 로베르트 무질의 『특성 없는 남자』 제3부 새로운 문학의 미래 11. 익살꾼 = 트릭스터 익살꾼의 몸짓 메타포로서의 익살 익살의 신화 익살의 신화적 원형 전복을 꿈꾸며 비상하는 트릭스터 『전쟁과 평화』 속 트릭스터 12. 신화적 여성 (1) 신화적 존재가 발휘하는 힘 신화에서 비롯된 유아 원형 신화에서 비롯된 여성적 원형 윌리엄 포크너의 『촌락』 윌리엄 포크너의 『마을』 13. 신화적 여성 (2) 수신자 남성 수신자와 발신자의 구도 이노센스 남성 발자크의 『마을의 사제』 커다란 장해와 거대한 정열 14. 카니발과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 제사와 축제, 비참과 골계 바흐친의 『도스토옙스키론』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이부세 마스지의 『제비붓꽃』 15. 새로운 글쓴이에게 (1) 말의 활성화 활성된 말의 예 글쓰기에 임하는 자세 16. 새로운 글쓴이에게 (2) 문학에 임하는 자세 공동체를 향한 호소 히로시마와 핵 문제 조지 캐넌의 『핵무기 망상』 마지막 소설 해설: 남휘정 연보: 오에 컬렉션 간행 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