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서 | 한자 고문자의 흐름 1부 바위와 도기에 새긴 글자 — 원시 한자의 탄생 1장 원시 한자의 출현 용이 전해준 문자 | 신석기 시대에도 문자가 있었을까 | 도기 파편에 남은 원시 한자 | 원시 한자의 발생 | 다양한 원시 한자의 발견 | 동굴과 바위에 새겨진 원시 한자 | 중국의 암각화 | 암각화에 나타난 원시 한자의 흔적 2장 원시 한자의 탄생 배경 언어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 문자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 수렵 채집 사회에서 농경 사회로의 전환 | 씨족 사회의 탄생을 보여주는 글자 | 농경 사회에 찾아온 불청객, 역병 | 씨족 연맹 하나라는 실제로 존재했을까 | 문자에 표현된 하의 의미 | 역사서에 기록된 하나라 이야기 | 하나라 유적이 발굴되지 않은 이유 3장 원시 한자의 탄생 원리 한자 창제 전설에 숨은 문자 탄생의 비밀 | 뇌 과학으로 보는 문자 창조의 원리 | 문자를 얻고 잃은 것 2부 뼈에 새긴 글자 — 한자의 완성 갑골문 1장 갑골문의 탄생 상나라의 역사 | 갑골문은 어떻게 발견되었나 | 갑골이라는 단어의 기원 | 갑골문이 묻혀 있던 곳 | 갑골문이 만들어질 당시 중원의 모습 | 갑골문은 어떻게 제작했을까 | 갑골문의 구성 | 갑골문의 주요 내용 | 갑골문의 형태적 특징 | 갑골문 해석의 역사 | 갑골문에 얽힌 다양한 해석 | 갑골문이 밝혀낸 역사적 사실 | 진의 진실 2장 갑골문 속 사회 풍경 갑골문에 나타난 여성 | 글자에 남은 노예 사회의 흔적 | 조상과 제사 | 초월적 존재 제의 등장 | 갑골문은 사람의 마음에는 관심이 없었다? | 보이지 않는 것을 그리는 글자 — 귀신과 죽음 | 새로움은 익숙함에서부터 | 글자에서 들려오는 음악 소리 | 고대 중국에서 음악의 위상 | 시간을 세는 방법 | 갑골문에는 여름과 겨울이 없었다? 3장 갑골문의 특징 그림에서 문자로 | 붓 — 한자의 형태를 결정하다 ① | 대나무 — 한자의 형태를 결정하다 ② | 갑골문 글자의 방향 | 갑골문의 동물은 개와 돼지에서부터 | 소와 양 | 갑골문이 직선으로 이뤄진 까닭 | 형성자 — 표음기호와의 만남 | 가차자 — 마지막 퍼즐의 완성 3부 청동기에 새긴 글자 — 고대 국가의 한자 금문 1장 주나라 — 새로운 문명의 시작 주나라의 역사 | 농업 국가의 기원 | 주나라의 건국과 금주령 2장 세계관의 변화 — 인격신 제에서 보편 윤리 천으로 천의 화려한 등장 | 『주역』, 천의 원리를 풀어내다 | 천의 핵심, 천명사상 3장 문자의 연속성 — 중국이라는 정체성이 시작되다 상나라 문자의 계승 | 중국의 기원 4장 신의 세계에서 인간 세상으로 내려온 문자 문자 보급으로 인한 세계관의 변화 5장 금문의 문화적 특징 예기 — 무용지물의 청동기 | 거대 신전을 대신한 청동기 | 정의 등장 — 움직이는 권력의 상징 | 정의 상실과 주 왕실의 쇠퇴 6장 청동기에 새긴 문자 청동기 시대에 청동은 없었다? | 중국의 청동기 문명 | 금문 — 청동기에 새긴 문자 | 초기 금문의 특징 | 본격적인 금문의 시대 | 청동기 명칭에 대한 오해와 진실 7장 금문의 황금시대 대우정 — 천명을 처음 기록한 정 | 모공정 — 예술적인 금문 | 리궤 — 역사 기록을 보충하다 | 호궤 — 가장 아름다운 금문 | 서주 후기 금문의 특징 8장 금문의 발전 과정 금문의 형태 변화 | 금문의 내용 변화 4부 기축 시대의 한자 — 육국고문 1장 춘추 시대 — 공화에서 시작해 맹서로 유지된 사회 공화의 시대 | 춘추 시대의 시작 | 패자의 등장 | 회맹 정치 | 저무는 춘추 시대 2장 공자 — 논쟁 시대를 열다 문자를 사용하는 새로운 계급의 출현 | 백가쟁명 | 금문에 나타난 공자의 모습 3장 춘추 시대의 언어와 문자 춘추 시대의 표준어 | 춘추 시대의 문자 4장 철기 사용으로 촉발된 전쟁 시대 철기 시대의 시작 | 철기 문화의 탄생을 보여주는 글자 | 철기 가공법을 보여주는 글자 | 금속에 글자를 새기는 전통이 단절되다 5장 혁신과 개성의 전국 시대 전국 시대의 시작 | 새로운 지배층의 출현 | 주체적 개인의 탄생 | 봉건제를 벗어나 제국의 기틀을 세우다 | 외래문화의 수용 6장 교육 수단이 된 동방의 문자 문자의 대중화 — 인본주의를 이끌다 | 본격적인 배움과 가르침의 시대 7장 서쪽 변방에 보존된 전통 문자 서주 왕실의 문자 8장 조충서 — 소외된 남방 문자 동서남북의 기원 | 남방 문화에 대한 편견 | 남방의 화려한 문자 9장 새와 봉황의 문자 조충서의 배경 — 고대 중국의 새 숭배 문화 | 새의 신 — 풍과 봉 10장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