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사랑은 사랑이 멀리 있어 슬퍼라!”
《체임버 뮤직》의 주제는 청춘의 사랑과 그 사랑의 상실이다. 이 목소리는 단 하나, 사랑에 빠진 청년의 목소리다. 조이스를 세상에 알린 에즈라 파운드는 “제임스 조이스의 참된 모습은 감수성이 예민한 《체임버 뮤직》의 화자”라고 말한다.
《체임버 뮤직》의 화자는 사랑, 금발머리 처녀, 그의 “임”을 노래한다. “임”은 사랑의 대상, 사랑의 주제, 사랑 그 자체, 사랑의 화신이다. 시 한 구절에 복잡한 중의를 의도하지 않는 간결한 언어와 음악이 이루어내는 절묘한 균형, 이것은 르네상스 시인들이 성취한 우아함으로 조이스는 노래로 그것을 표현하고자 했다.
음악은 사랑을 움직이는 원동력
《체임버 뮤직》의 주제는 사랑이지만, 이 사랑을 움직이는 원동력은 단연 ‘음악’이다. “감미로운 현악기 소리” “피아노 선율” “하프” “나팔” “아침 꽃 종들”, “야생벌” 등 소리와 음악은 구애에 필수적이다. 심지어 그의 시에서는 바람마저 음악적이어서 “흥겨이 휘파람”을 분다. 그만큼 음악은 조이스의 운문에, 나아가 산문에도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이스는 《체임버 뮤직》을 ‘모음곡’이라고 일컫고, 자신이 작곡가라면 직접 시집 전체에 곡을 붙일 것이라고 말했다. 《체임버 뮤직》에 담긴 시들은 조이스가 희망했던 대로 그의 생전에 40명의 작곡가들이 곡을 붙여 노래로 만들어졌다.
감미로운 테너 가수의 목소리를 타고난 데에 대한 자부심이 컸던 조이스는 스물여섯 살 때 오른쪽 눈의 홍채염으로 거머리 시술을 받으면서도 오페라 가수가 되고자 성악 레슨을 받기도 하였다. 그는 노래에 위로와 고통 및 슬픔을 잊어버리게 하는 힘이 있다고 믿었고, 그래서 사람의 목소리로 부르는 노래가 음악 중에서 최고의 형식이라고 믿었다.
《체임버 뮤직》에서 시작된 조이스의 작가 인생
제임스 조이스는 첫 책 《체임버 뮤직》으로 작가 인생을 시작하였다. 소설로 문명(文名)을 떨쳤지만, 복잡한 감정을 간결한 언어로 추리는 법은 초기의 시작(詩作)으로 배웠다. 그의 모든 작품의 저변에 흐르는 음악, 그 작은 속삭임은 《체임버 뮤직》에서 볼 수 있는 섬세한 감수성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체임버 뮤직’ 즉 ‘실내악’이라는 제목에서 암시되듯이, 이번 시집은 따뜻하고 섬세하며 유혹적인 연가(戀歌)의 진수를 보여준다. 아울러 수동 타자기로 조판된 《체임버 뮤직》에 포함된 감각적인 삽화와 조이스의 인생 스토리는 ‘20세기 최고의 작가’의 첫 시집을 감상하기에 손색이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