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일 평론선집

조동일
224p
Where to buy
Rate
4.0
Average Rating
(1)
조동일은 '청맥'을 중심으로 활동한 대표적인 평론가였다. 그의 비평은 '청맥'에 발표된 문학비평 가운데 가장 많은 지면과 분량을 차지했을 뿐만 아니라, 전통의 주체적 인식과 한국적 리얼리즘의 형성 과정 등을 문학사적 연속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순수문학의 한계와 참여 전통의 퇴화와 계승의 방향 민요와 현대시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한국문학과 동아시아문학 <아리랑>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세계에 공헌하는 한류 학문 해설 조동일은 해설자 하상일은

Description

조동일은 ≪청맥≫을 중심으로 활동한 가장 대표적인 평론가였다. 그의 비평은 ≪청맥≫에 발표된 문학비평 가운데 가장 많은 지면과 분량을 차지했을 뿐만 아니라, 전통의 주체적 인식과 한국적 리얼리즘의 형성 과정 등을 문학사적 연속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평론선집’은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한국 근현대 평론을 대표하는 주요 평론가 50명을 엄선하고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를 엮은이와 해설자로 추천했습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습니다. 1960년대 조동일의 문학비평은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논의할 수 있다. 첫째는 주체적 전통론에 입각한 문학사의 연속성에 관한 인식이고, 둘째는 민중 의식의 성장이라는 계급의식의 변화를 토대로 한국적 리얼리즘의 형성 과정을 살펴본 것이며, 셋째는 1960년대 모더니즘 문학과 순수문학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바탕으로 문학의 현실 참여를 강력하게 제기했다는 점이다. 물론 이러한 비평 의식은 1960년대 현실주의 문학비평의 일반적인 문제 틀과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무엇보다도 한국 근대문학의 흐름을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연속성 위에서 일관되게 분석했다는 점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그동안 고전문학 분야를 중심으로 문학사, 문학 사상 등의 연구에 탁월한 성과를 보여 주었다고 평가된 조동일이, 1960년대에는 당대의 역사와 현실에 직접 맞서는 비평적 실천에 대해 깊이 고민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은, 1960년대 한국 문학비평사의 외연을 확장하는 문제적 지점임이 틀림없다. 따라서 1960년대 현실주의 문학비평 연구에서 조동일의 비평가적 위상과 의미를 발견하려는 시도는 한국 문학비평사의 재정립이라는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