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 인 & 아웃

김예란 and other
330p
Where to buy
content
Rate
3.6
Average Rating
(4)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영화란 무엇인가?’, ‘대중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접했을 때 명쾌하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영화를 ‘공부’하고, 그것을 학습의 대상으로 삼는 일은 다소 등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학습의 대상으로 영화를 공부하는 것과 여가선용의 대상으로 영화를 즐기는 것, 이 둘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일이 이 책의 목표이다. 먼저 제1부에서는 ‘영화 속의 세상’이라는 부제하에 영화와 관련된 각종 기본지식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2부에서는 ‘영화 밖의 세상’이라는 부제하에 영화를 통한 세상 읽기를 시도한다. 제1부가 영화라는 매체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제2부는 영화와 영화 밖 세상의 관계에 대해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각 장은 풍부한 사진자료들이 함께한다. 일차적으로 사진자료들은 본문에서 설명되고 있는 주제들에 대한 예시이자 보충일 것이다. 하지만 사진자료들은 그 자체로 또 하나의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기도 하다. 이 책은 결국 즐기는 대상으로서의 영화와 학습의 대상으로서의 영화의 결합, 그리고 영화라는 영상언어와 영화에 대한 코멘트를 담고 있는 문자언어의 결합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제1부 영화 속의 세상 제1장 영화의 탄생 제2장 영화의 역사 1 제3장 영화의 역사 2 제4장 영화의 역사 3 제5장 영화언어 제6장 내러티브와 장르 제7장 영화제작 제8장 영화산업 제9장 대중문화와 관객 제10장 문화비평과 영화비평 제2부 영화 밖의 세상 제11장 영화와 인간 1 제12장 영화와 인간 2 제13장 영화와 사회 1 제14장 영화와 사회 2 제15장 영화와 정치

Description

‘영화 속 세상’과 ‘영화 밖 세상’을 통해 본 대중영화의 이해 ‘영화란 무엇인가?’, ‘대중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접했을 때 명쾌하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왜냐하면 어떠한 방식으로든 영화를 ‘즐기는’ 문화는 꽤 널리 퍼져 있는 반면, 영화를 ‘공부’하고, 그것을 학습의 대상으로 삼는 일은 다소 등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학습의 대상으로 영화를 공부하는 것과 여가선용의 대상으로 영화를 즐기는 것, 이 둘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일이 이 책의 목표이다. 먼저 제1부에서는 ‘영화 속의 세상’이라는 부제하에 영화와 관련된 각종 기본지식을 제공한다. 영화의 탄생을 가능하게 한 이전시기의 기술적인 발명들과 초기영화의 두 흐름인 사실의 기록과 상상의 재현이라는 문제, 무성영화 시대의 코미디나 유성영화 시대의 뮤지컬 등의 초창기 영화의 발달사와 동시대 유럽에서 태동한 갖가지 다양한 영화사조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각국의 영화계 현실과 당시에 새로이 부상하던 영화사조들, 아시아권 영화의 대표적인 사조들, 영화언어의 형식적인 구성요소들, 영화의 제작과정과 영화산업의 특징과 변천사, 내러티브와 장르, 스토리와 플롯이라는 개념 등을 개괄적으로 다룰 것이다. 다음으로 제2부에서는 ‘영화 밖의 세상’이라는 부제하에 영화를 통한 세상 읽기를 시도한다. 제1부가 영화라는 매체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제2부는 영화와 영화 밖 세상의 관계에 대해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영화와 인간 주체의 문제, 영화에 나타난 현대사회의 모습과 그 문화적 함의, 그리고 한국 영화와 대중의 정치적 경험 등이 제2부의 주제어들이다. 더불어, 각 장은 풍부한 사진자료들이 함께한다. 일차적으로 사진자료들은 본문에서 설명되고 있는 주제들에 대한 예시이자 보충일 것이다. 하지만 사진자료들은 그 자체로 또 하나의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기도 하다. 이 책은 결국 즐기는 대상으로서의 영화와 학습의 대상으로서의 영화의 결합, 그리고 영화라는 영상언어와 영화에 대한 코멘트를 담고 있는 문자언어의 결합이다.

Collections

2